• 제목/요약/키워드: fish bacterial pathogen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어류 병원성 세균의 MIC 결정을 위한 MIC Panel의 최적화 배양 조건 확립 (Establishing of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MIC Panels for MIC Determination of Fish Bacterial Pathogens)

  • 김예지;전려진;강미래;이다원;우수지;김명석;정준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43-450
    • /
    • 2020
  • No established method can be used to select effective antibiotics in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s for fish bacterial pathogens quickly and accurately. Here, we establish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major fish bacterial pathogens (Streptococcus spp., Edwardsiella tarda, Vibrio spp., Aeromonas spp., and Pseudomonas spp.) using the KRAQ1 and CAMPY2 panels. The MIC panel used 18 antibiotics of two types and we conducted experiments to establish the optimal culture medium and temperature for each species. The optimal conditions for incubating Streptococcus spp. were in cation-adjusted Mueller-Hinton broth with TES buffer (CAMHBT) at 28℃, using 5% lysed horse blood (LHB) as recommended by the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For Vibrio spp.,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28℃ in CAMHBT supplemented with 1% NaCl. The optimal conditions for culturing E. tarda, Aeromonas spp., and Pseudomonas spp. were in CAMHBT at 28℃.

Propolis의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in vitro 항균 효과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propoli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 허강준;원태경;신기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5-70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 vitro antimicrobial effects of propolis against six different fish bacterial pathogens, Aeromonas hydrophila, Edwardsiella tarda, Vibrio vulnificus, V. parahaemolyticus, A. salmonicida subsp. masoucida, A.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using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ocidal concentration (MBC) tests. In the results, propolis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bacteria used in the present study, but there was no marked difference in bacterial species except Vibrio species. Collectively, propolis was thought to be an usefulness antimicrobial substance for controlling bacterial diseases in the fish industry.

해양 유해세균에 대한 감태 추출물의 항균특성 (Antibacterial Property of Ecklonia cava Extract against Marine Bacterial Pathogens)

  • 김지훈;김세봉;황혜진;김영목;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0-385
    • /
    • 2016
  • 사람과 어류에게 감염증을 유발하는 Edwardsiella sp., Streptococcus sp. 및 Vibrio sp. 의 해양 유해세균에 대한 해조류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4종의 식용 해조류 중에서 감태 MeOH 추출물이 본 연구에서 사용 된 6종의 모든 해양 유해세균에 대해 넓은 범위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감태의 MeOH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 추출물들 중에서, EtOAc 분획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6종의 해양 유해세균에 대하여 $128{\mu}g/mL$에서 $256{\mu}g/mL$의 MIC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HPLC 분석에 의해 감태 EtOAc 분획 추출물에 phlorotannin 화합물인 dieckol이 다량 존재하고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결론적으로, 감태 추출물의 phlorotannin 화합물이 여러 유해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처럼, 해양 유해세균에 대해서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양식넙치로 부터의 Lysozyme 정제와 어류병원성 세균에 대한 정균작용 (Purific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lysozyme from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진우;박수일;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7-92
    • /
    • 1992
  • 넙치의 혈청, 체표점액 및 각 조직으로부터 lysozyme의 분리와 정제를 Chitin-coated Cellulose column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15% SDS-PAGE의 전기 영동상을 조사한 결과 넙치의 신장, 유문수, 아가미 점액 및 혈청으로부터 분리된 lysozyme은 동일한 분자량(약 14000)을 나타내었다. 넙치의 방어기작으로서 lysozyme의 역할을 밝히기 위해 그람양성 세균 2주, 그람음성 세균 5주에 대하여 넙치 신장 유래 lysozyme의 정균작용을 조사한 결과 그람 양성 2주 그람 음성 세균 2주에 대하여 정균작용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넙치 유래의 lysozyme은 그람 양성 세균뿐만 아니라 그람 음성 세균에 대해서는 생체 방어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 PDF

2007년~2011년 하절기에 양식 넙치, 조피볼락, 참돔, 새우의 세균 및 기생충 감염 현황 (Monitoring of bacteria and parasites in cultured olive flounder, black rockfish, red sea bream and shrimp during summer period in Korea from 2007 to 2011)

  • 정승희;최혜승;도정완;김명석;권문경;서정수;황지연;김석렬;조영록;김진도;박명애;지보영;조미영;김진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1-241
    • /
    • 2012
  • 2007년~2011년 하절기에 국내 동 서 남해안과 제주의 육상양식장, 가두리 및 축제식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참돔 (Pagrus major),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의 총 2,413마리에 대하여 세균과 기생충의 감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2007년~2011년) 사이 어종별 병원체에 대한 감염양상을 종합하면, 기생충과 세균의 단독감염이 혼합 감염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단독감염 가운데 기생충이 세균보다 감염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넙치, 조피볼락, 새우에서 Vibrio spp. (V. harveyi, V. ichthyoenteri, Vibrio sp.)가 가장 우점종으로 검출된 세균의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참돔에서는 Vibrio sp.와 P. damselae가 우점종 세균으로 검출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가장 우점종으로 검출된 기생충은 넙치에서 스쿠티카충 (M. avidus)과 트리코디나충 (Trichodina sp.), 조피볼락에서 아가미흡충 (M. sebastes), 참돔에서 아가미흡충 (M. tai), 새우에서 섬모충 (Zoothamnium sp.) 으로 나타났다.

Bacterial community comparison revealed by metagenomic analy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astern little tuna (Euthynnus affinis) with storage temperature differences

  • Asadatun Abdullah;Rahadian Pratama;Tati Nurhayati;Windy Sibuea;Sabila Diana Ahmad Sauq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0호
    • /
    • pp.593-604
    • /
    • 2023
  • Post-harvest handling and hygienic level of aquatic products significantly affect the quality and level of safety. Cold chain control is one of the determining factors for the quality of fish and the bacterial community that grows on the fish. Identification of spoilage bacteria and pathogens in aquatic products must be made because it will determine the physical and chemical quality. A molecular identification method with high sensitivity is the solu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quality of fish and bacterial communities that grow. The research procedures included sample collection, pH measurement, drip loss measurement, transportation and cold storage treatment, DNA extraction, DNA sequencing, sequence analysis, and bioinformatics analysis.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is study is that the simulation of the cold chain system applied to eastern little tuna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changes in the water activity value, pH, and drip loss. The insignificant change indicates that the eastern little tuna samples are still in good quality. The bioinformatics analysis showed the highest diversity and abundance of the bacterial community came from the Gammaproteobacterial class.

양식어류에 있어서 생약제제(바이오감마믹스)의 경구투여에 의한 효능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acy and safety of Bio-Gammamix by oral administratiion to cultured fish)

  • 허강준;김병기;예제길;김정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27-633
    • /
    • 1994
  • A study on efficacy and safety of Bio-Gammamix was performed to use for the preventive drug against bacterial diseases to mirror carp(Cyprinus carpio), rainbow trout(Salmo gairdneri), eel(Anguilla japonica) and flounder(Paralichthys olivaceus). The main ingredients of Bio-Gammamix were ferrous fumarate and mixed extrated powders of licorice root, ox bile and garlic. The test drug was proved to improve feeding habit and feed efficiency and decrease cumulative mortality remarkably. After administration, no side effect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We can prevent outbreaks of bacterial diseases of fish by the dosage of 1kg/ton of fish body weight perorally once or two times in a day for 7 days and Bio-Gammamix is thought to be used effectively an widely against most bacterial fish pathogens.

  • PDF

2008년 우리나라 연근해산 어류에 대한 병원체 모니터링 (Monitoring of fish pathogens in wild marine fish of Korean coastal offshore water in 2008)

  • 조미영;지보영;박경현;이창훈;이덕찬;김진우;박미선;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5-83
    • /
    • 2009
  •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포되는 자연산 어류를 대상으로 주요 어류 병원체의 검출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2008년 2월부터 10월까지 질병 조사를 실시하였다. 포항, 거제, 여수 및 제주 지역의 정치망, 양망에 채포된 어류 및 공동어시장에서 판매되는 어류를 구매하여 총 401마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체 조사 시료 중 152마리에서 17종의 병원체가 분리되었다. 기생충, 세균 및 바이러스의 검출률은 각각 21.4%, 17.0% 및 2.7%로 나타났다. 분리된 기생충류는 Scutica, Trichodina, Cryptocaryon, Dactylogyrus, Microcotyle, Benedenia, Bivagina, Heteraxin, Caligus, Epistylis 및 nematode 이며, 세균류로는 Vibrio, Streptococcus, Photobacterium, Psuedomonas가 우점적으로 분리되었고 바이러스는 조사대상인 6종중에서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및 lymphocystis disease virus(LDV)가 검출되었다. 과(科)별로 검사시료가 30개체 이상인 어류 중에서 양볼락과, 쥐치과, 가자미과, 도미과 및 전갱이과의 검출률이 59.2%, 48.4%, 34.2%, 30.6% 및 18.2%로 나타났다.

2000년~2006년 하절기 양식어류의 병원체 감염현황 (Monitoring of Pathogens in Cultured Fish of Korea for the Summer Period from 2000 to 2006)

  • 정승희;김진우;도정완;최동림;지보영;서정수;박명애;조미영;김명석;최혜승;김이청;이주석;이창훈;방종득;박미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7-214
    • /
    • 2006
  • 2000년~2006년 하절기에 국내 동서남해안과 제주의 육상양식장과 가두리양식장에서 사육중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 Osbeck),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참돔 (Pagrus major),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농어(Lateolabrax japinicus), 숭어 (Mugil cephalus), 무지재송어 (Onchorhynchus mykiss) 등 25종류 총 3,518마리에 대하여 병원체 감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연도별로 검출된 병원체에 대하여 유형별로 감염비율을 살펴보면, 세균이 2000년 22.4%, 2001년 34.5%, 2002년 14.1%, 2003년 15.3%, 2004년 17.7%, 2005년 13.5% 및 2006년 5%로 나타났다. 기생충은 2000년 20%, 2001년 33.8%, 2002년 12.4%, 2003년 14.1%, 2004년 9.2%, 2005년 10.5% 및 2006년 10.7%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는 2000년 22.4%, 2001년 13.5%, 2002년 10.3%, 2003년 5.4%, 2004년 9.7%, 2005년 10.2% 및 2006년 15.8%로 나타났다. 혼합감염은 2000년 10.3%, 2001년 0%, 2002년 44.9%, 2003년 50.9%, 2004년 31.9%, 2005년 38.4% 및 2006년 39.6%로 나타났다. 2001년까지 혼합감염은 매우 낮게 검출되었으나,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여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내었다. 조사기간을 통해 검출된 병원체 가운데 가장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낸 것은 세균이 비브리오속 (41.2%)과 연쇄구균속 (28.8%), 기생충은 원충류 (85.7%)의 스쿠티카충과 트리코디나충, 바이러스는 VNNV (42.2%)이었다.

Triclosan Resistance in a Bacterial Fish Pathogen, Aeromonas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is Mediated by an Enoyl Reductase, FabV

  • Khan, Raees;Lee, Myung Hwan;Joo, Haejin;Jung, Yong-Hoon;Ahmad, Shabir;Choi, Jinhee;Lee, Seon-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4호
    • /
    • pp.511-520
    • /
    • 2015
  • Triclosan, the widely used biocide, specifically targets enoyl-acyl carrier protein reductase (ENR) in the bacterial fatty acid synthesis system. Although the fish pathogen Aeromonas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exhibits triclosan resistance, the nature of this resistance has not been elucidated. Here, we aimed to characterize the triclosan resistance of A.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causing furunculosis. The fosmid library of triclosan-resistant A.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was constructed to select a fosmid clone showing triclosan resistance. With the fosmid clone showing triclosan resistance, a subsequent secondary library search resulted in the selection of subclone pTSR-1. DNA sequence analysis of pTSR-1 revealed the presence of a chromosomal-borne fabV-encoding ENR homolog. The ENR of A. salmonicida (FabVas) exhibited significant homology with previously known FabV, including the catalytic domain YX(8)K. fabVas introduction into E. coli dramatically increased its resistance to triclosan. Heterologous expression of FabVas might functionally replace the triclosan-sensitive FabI in vivo to confer E. coli with triclosan resistance. A genome-wide search for fabVas homologs revealed the presence of an additional fabV gene (fabVas2) paralog in A. salmonicida strains and the fabVas orthologs from other gram-negative fish pathogens. Both of the potential FabV ENRs expressed similarly with or without triclosan supplement. This is the first report about the presence of two potential FabV ENRs in a single pathogenic bacterium. Our result suggests that triclosan-resistant ENRs are widely distributed in various bacteria in nature, and the wide use of this biocide can spread these triclosan-tolerant ENRs among fish pathogens and other pathogenic bac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