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work plot matrix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통계적 추론에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의 불꽃그림 (Firework plot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outliers in statistical inference)

  • 문승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1호
    • /
    • pp.155-165
    • /
    • 2018
  • 특이점 및 영향점은 자료분석을 하는 데 사용되는 수치적 측도들을 왜곡한다. 각종 자료분석에 있어서의 특이점 검색을 위한 검정 통계량이나 그림도구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Jang과 Anderson-Cook (Qua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International, 30, 1409-1425, 2014)은 불꽃그림이란 이름을 붙인 그림도구를 발표하였는데 특이점이나 영향점이 일변량/이변량 자료분석 및 회귀분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하여 3-D 불꽃그림 및 불꽃그림 행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꽃그림이 통계적 추론에서 특이점을 찾아내고 이러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다반응 반응표면분석에서 특이값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불꽃그림 (Firework plot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influential observations in multi-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상익;장대흥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1호
    • /
    • pp.97-108
    • /
    • 2018
  •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는 경우 이상점이나 영향점의 유무를 검정하는 회귀진단기법은 모형의 적합성을 체크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이러한 이상점이나 영향점이 존재하는 경우 회귀분석의 결과가 왜곡되어 해석이 된다. Jang과 Anderson-Cook (Qua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International, 30, 1409-1425, 2014)은 불꽃그림이란 이름을 붙인 그래픽 방법를 제시하였는데 관측값에 부여된 가중치를 1에서 0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상점이나 영향점이 회귀계수 및 잔차제곱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반응 반응표면분석에서 이러한 불꽃그림을 적용하여 보고자 한다.

일변량 자료의 왜도와 첨도에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의 불꽃그림 (Firework plot as a graphical exploratory data analysis tool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outliers in skewness and kurtosis of univariate data)

  • 문승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2호
    • /
    • pp.355-368
    • /
    • 2016
  • 특이점 및 영향점은 자료분석을 하는 데 사용되는 계량적이고 기술적인 많은 측도들을 왜곡한다. 각종 자료분석에 있어서의 특이점 검색을 위한 검정 통계량이나 그림도구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Jang과 Anderson-Cook (2014)은 불꽃그림이란 이름을 붙인 그림도구를 발표하였는데 이상점이나 영향점이 일변량/이변량 자료분석 및 회귀분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하여 3-D 불꽃그림 및 불꽃그림 행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꽃그림이 일변량 자료의 왜도와 첨도에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혼합물 실험에서 특이값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그래픽 탐색적 자료분석 도구로서의 불꽃그림 (Firework Plot as a Graphical Exploratory Data Analysis Tool to Evaluate the Impact of Outliers in a Mixture Experiment)

  • 장대흥;안소진;김영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4호
    • /
    • pp.629-643
    • /
    • 2014
  •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는 경우 이상점이나 영향점과 같은 특이값들의 유무를 검정하는 회귀진단기법은 모형의 적합성을 체크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로 잡은 지 오래이다. 이러한 점들이 존재 하는 경우 회귀분석의 결과가 왜곡되어 해석이 된다. Jang과 Anderson-Cook (2013)은 불꽃그림이란 이름을 붙인 그림도구를 발표하였는데 관측값에 부여된 가중치를 1에서 0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상점이나 영향점이 회귀계수 및 잔차제곱합(SS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3차원 그림에 추적곡선을 그려 보았을 뿐 아니라 쌍으로 대비시켜 봄으로써 분석의 시각적인 효과를 증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이러한 시도가 기존 방법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2013년에는 반영치 않은 통계량을 포함해서 더 많은 해석이 가능한지 혼합물 실험 계획을 통해 다양한 통계량의 민감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왜냐하면 작은 혼합물실험인 자료인 경우 더욱 세밀한 통계량에 대한 민감도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