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vulnerable area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2초

GIS기반 소방취약지 분석관리 서비스 플랫폼 개발 (A Service Platform Development on the GIS-based Analysis and Management of the Fire-fighting Vulnerable Areas)

  • Song, Wanyoung;Cho, Kwanghyun;Cho, Myeongheum;Kim, Seonggon;Kim, Sungj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69-278
    • /
    • 2015
  • 소방취약지 분석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 분석기법을 자동화하고 소방주제도를 갱신 구축하여 온라인으로 탑재하는 서비스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플랫폼을 통하여 화재진압 활동에 필요한 사전 정보가 제공되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 결과에 향후 소방취약지 활용서비스 연구가 뒷바침되면 화재진압 현장의 골든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소방분야에 적합한 공간분석과 자동화, 손쉬운 서비스 탑재 운영으로 전문적 관리와 서비스 확대 개선에 만족할 만한 기술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소방취약지 모델의 구성과 정립프로세스 논의 (Discussion on Formulation Process and Configuration of Fire-Fighting Vulnerable Zone Model)

  • 김성곤;장은미;최갑용;김희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71-77
    • /
    • 2014
  • 화재, 폭발 등의 재난현장은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위험 요소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촌각을 다투는 인명 구조나 초기에 불길을 잡지 못하면 막대한 피해로 이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출동 후 5분이내 현장에 도착하는 소방대원은 제한적인 정보와 즉각적인 현장 투입으로 인해 사고 현장의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며 임무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어 효율적인 작전 수립 및 전개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발적인 상황 대처로 소방대원 스스로의 생명을 위태롭게도 한다. 이와 같은 한계 및 위험을 경감시키며 효율적인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고 현장 및 환경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지하고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국내외 연구는 주로 대형 화재와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예상되는 공간적 영역에 대한 화재취약성 관점에서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소방 활동 관점에서의 공간적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연구한 사례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출동에서부터 진압 구조까지의 소방 활동 전주기를 대상으로 소방 활동 저해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소방취약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의 화재 취약 공간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방 취약 공간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소방취약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소방취약지 모델의 목적성 및 적용성을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전국 시도 소방본부 관할구역에 대한 소방취약지 유형 분석, 소방 활동 성능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의사 결정 과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사태 취약지에서의 토지피복상태 변화 추적 (A Trace of Landcover Change in a Landslide Vulnerable Area)

  • 양인태;천기선;박재국;이상윤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5-378
    • /
    • 2007
  • Kangwondo area is mountainous and landslide happens easily during the rainy period in summer time. Especially, when there is torrential downpour caused by the unusual weather change, there will be greater possibility to see landslide. Another reason behind landslide is the continuous forest fire in these several years. Since the surface of the earth has been changed by the fire, when rainfall comes, landslide just happens easily. Also, it is reported that landcover condition, excepted rainfall condition, is the most effect for determining landslide susceptibility area. In this study, it is determined a landslide vulnerable area and landcover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four satellite image(Landsat TM), about the landslide vulnerable area, which is pictured for each year. And which distribution change is analyzed.

  • PDF

THE APPLICATION OF GIS FOR EFFECTIVE DISTRIBU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REA

  • Yang Byung-Yun;Hwang Chul-Su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61-6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closer look at an area having shorted emergence facilities and to determine optional candidate sites instead of vulnerable area by using GIS spatial analysis. Newly determined new candidate is performed by concerning spatial efficiency and spatial equity for a public service. It was determined through using the analyzing of the physical accessibility measure, the Location-Allocation, sort of classic model in spatial statistics and general network analysis. The area of this research has been used in administrative boundary of Young-Dong in Gangneung including 13 emergency, medical hospitals, 46 fire-stations and sub-fire stations. In general terms, what all this show is that the way we are approached for geographical view from using GIS spatial analyzing technique of determined location and allocation problem by the social, economical, political factor and simple administrative discrimination at the meantime. At the same time, with problem occurred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make an Effective proposal or means, policy, decision for new candidate location-allocation suggesting optimum model.

  • PDF

진주시 소방서비스 취약지역 개선을 위한 소방권역 조정 (Fire District Adjustment for Improving Fire Service Vulnerable Areas in Jinju)

  • 유환희;구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에 현재 설치된 119안전센터에 대해 소방서비스 취약지역을 분석하고 취약지역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센터의 이전이나 새로운 증설방안을 OD cost matrix분석을 통해 소방권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주시의 행정구역 면적에 비하여 119안전센터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진주시에 있는 5개 119안전센터 중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는 천전119안전센터와 신도시개발에 따른 인구증가로 화재 위험도가 날로 증대되는 문산119안전센터(반성119지역대 포함)의 소방서비스 관할구역을 재조정하거나 센터의 이전 및 증설이 요구되었다. 또한 OD cost matrix분석을 통해 현재의 천전119안전센터를 가호동으로 이전할 경우 중요 취약지역인 정촌산업단지의 소방서비스 시간을 8분에서 3.3분으로 단축할 수 있었으며, 최근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한 금산면지역에 안전센터 증설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 화재위험지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Vulnerability Map of Fire in Seoul)

  • 강영옥;박미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2
    • /
    • 2005
  • 지금까지 재난에 대한 대비는 재해 발생시 대응 및 복구에 초점을 두었지만 예방적 차원의 접근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재해에 취약한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도시관리차원에서 필요한 방재지도의 유형으로 화재를 상정하여 화재위험지역을 선정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맞춰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화재위험지도를 시범적으로 구축하였다. 화재위험지도 작성은 방재업무에 있어 지역성에 기초하여 취약지구를 사전에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지구단위계획등의 도시계획업무에서 방재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수립 및 도시계획시설 배치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산불의 공간적 특성 (Spatial Patterns of Forest Fires between 1991 and 2007)

  • 이병두;이명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5-20
    • /
    • 2009
  • 산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산불 행동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 시 군 구 단위고 산불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발생 및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1년 부터 2007년까지 17년간 발생건수, 연소면적, 확산속도, 건당 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산불 특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GIS를 이용하여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불의 공간적 특성 변이가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전국 시 군 구는 산불위험성에 따라 5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대도시와 인근 지역은 산불위험이 낮은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나, 강원도 영동지방 4개 시 군은 가장 위험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그 뒤를 이어 남, 서해안에 인접한 시 군 구의 산불위험성이 높았다.

농촌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천군을 대상으로 -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in Rural Areas - Case study in Seocheon -)

  • 이경진;차정우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145-155
    • /
    • 2014
  • Sin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crease continuously, the authorities have needed climate change countermeasure for adapting the acceleration of climate change damages. According to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Korean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established the implementation pla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se guidelines which is the implementation pla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should be established countermeasure in 7 fields such as Health, Digester/Catastrophe, Agriculture, Forest, Ecosystem, Water Management and Marine/Fisheries. Basically the Korean local governments expose vulnerable financial condition, therefore the authorities might be assessed the vulnerability by local regions and fields, in order to establish an efficient implementation pla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Based on this concepts, this research used 3 methods which are LCCGIS,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and analysis of existing data for the multiphasic vulnerable assessment. This study was verified the correlation among 7 element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by 3 analysis methods, in order to respon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 rural areas, Seocheon-gun. If the regions were evaluated as a vulnerable area by two or more evaluation methods in the results of 3 methods' comparison and evaluation, those areas were selected by vulnerable area. As a result, the vulnerable area of heavy rain and flood was Janghang-eup and Maseo-myeon, the vulnerable area of typhoon was Janghang-eup, Masan-myeon and Seo-myeon. 3 regions (i.e. Janghang-eup, Biin-myeon, Seo-myeon) were vulnerable to coastal flooding, moreover Masan-myeon, Pangyo-myeon and Biin-myeon exposed to vulnerability of landslide. In addition, Pangyo-myeon, Biin-myeon and Masan-myeon was evaluated vulnerable to forest fire, as well as the 3 sites; Masan-myeon, Masan-myeon and Pangyo-myeon was identified vulnerable to ecosystem. Lastly, 3 regions (i.e. Janghang-eup, Masan-myeon and Masan-myeon) showed vulnerable to flood control, additionally Janghang-eup and Seo-myeon was vulnerable to water supply. However, all region was evaluated vulnerable to water quality separately. In a nutshell this paper aims at deriving regions which expose climate change vulnerabilities by multiphasic vulnerable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and comparing-evaluating the assessments.

군집분석을 통한 응급취약지역의 유형화와 유형별 대응방안 제안: 경기도 119 구급사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Analysis of Gyeonggi-do 911 emergency cases to identify emergency vulnerable area using clustering analysis)

  • 김미래;권의준;금영정
    • 한국경영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8
    • /
    • 2018
  • Emergency response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task in practice, because i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of patient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increase the number of fire stations due to the budget and efficiency problem. Under this circumstances, it is critical to consider the suitability of current arrangement for 911 fire station. This is especially true in Gyeonggi-Do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area are different.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ypes of areas that are vulnerable for emergency situations, and try to find relevant solutions for each type.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151,463 data for emergency declaration data which exceeds 10 minutes for its response. Total 19 clustering variables which are used as input variables are selec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As a result of clustering analysis, three clusters are identified and analyzed. Finally, areas whose emergence response time is in top 10% are selected and analyzed. This paper is expected to find current issues and problems of emergency response for each area, and help to understand and solve the problem for the local government.

산사태 취약지에서의 토지피복상태 변화 추적 (A Trace of Landcover Change in a Landslide Vulnerable Area)

  • 천기선;박재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9-76
    • /
    • 2007
  • 강원도 지역은 산지지형이 많고 여름철 장마나 이상기후에 의한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의해서 산사태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수년간 계속되고 있는 대형 산불들로 인하여 지표상태가 변화되어 강우사상에 의해 쉽게 산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앞서 발표된 연구논문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조건을 제외하고는 토지피복상태가 산사태 취약성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산사태 취약지를 선정하고 산사태 취약 A등급지에 대해서 4개의 서로 다른 시기에 촬영된 인공위성 영상(Landsat ETM)으로 부터 토지 피복도를 추출하여 그 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규식생지수를 추출하고 식생활력도의 분포변화를 분석하여 지표상태의 변화가 산사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 취약지에서 산림과 식생지수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