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pread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21초

화염확산 알고리즘에서 Inclined Mode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Inclined Flame Spread Mode)

  • 박계원;김종훈;김운형;정재군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7-38
    • /
    • 2013
  • 본 연구는 화재 현상의 해석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학술적으로 정립이 미비된 화염확산(flame spread)에 대한 연구 중 가연물 표면의 경사상태(Inclined Mode)에 대한 것들을 중심으로 고찰을 수행해보았다. 현재 출판된 서적들의 이론과 논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PDF

BRANZFIRE 모델에서 Flame Spread 적용성 검토 (Flame Spread Calculation in BRANZFIRE Model)

  • 박계원;정재군;김운형;김종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7-78
    • /
    • 2013
  • BRANZFIRE 모델은 가연성 내장재의 화재위험성을 평가하는 존모델이다. 내장재의 화염확산에 따른 화재성장모델을 공간화재에 적용하는 다실형 존모델로서 특히 ISO 9705 시험화재 시나리오 적용에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성장모델에서의 화원 및 공간특성 따른 열방출비율과 화염확산 예측 인자의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 PDF

화염 전파모델을 이용한 소파화재 설계화원구성의 적용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Fire Scenario Design of a Couch Burning through a Fire Spread Model)

  • 김성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37-42
    • /
    • 2016
  • 본 연구는 화재전파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화재 위험성 평가에 적용되는 설계화재 구성의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화재전파해석을 위해 열중량분석과 시편연소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실험에서 얻어진 물성을 FDS 열해리 모델에 적용하여 격자크기에 따른 화재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전체적인 화재성장특성은 실화재 실험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으나 초기 피크 발열량과 전체 방출 열에너지는 약 30% 이내에서 유사한 예측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해석모델은 화재성장율이나 최대발열량 도달시간 등과 같은 화재성장특성을 예측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지속적인 모델의 개선 및 재료 물성의 상세연구를 통해 설계화재시나리오 구성에 있어서 화재모델의 적용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도로터널의 화염전파해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Propagation in Road Tunnels)

  • 권용일;유지오;이동호;권순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616-622
    • /
    • 2000
  • This paper concerns the application of smoke and fire spread to road tunnel fire problems. When a road tunnel is on fire. a fire protection system of road tunnel have to offer an adequate escape space to human.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a simulation for predicting a spreading path of smoke and fire. The evolution of the flow field is simulated with the low Reynolds number k-$\varepsilon$ turbulent model and SIMPLE algorithm based on the finite volume method.

  • PDF

화재시 비차열 유리의 복사열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for Radiant Heat Flux of Non-insulated Glazed Window in Fire)

  • 박수영;서희원;김대회;왕남웅;여인환;최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26-33
    • /
    • 2014
  • 최근 국내에서는 건축물에서 공간의 미관이나 활용성 때문에 유리창 및 유리벽체의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건축물의 내부공간은 화재시 연소확대 및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건축법에 따라 내화구조로 방화구획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화구획벽에 비차열 유리를 사용할 경우, 화재시 인접 거실로 복사열에 의한 화재의 확대, 인명 피해가 일어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차열 유리창에 대한 복사열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화실험을 실시하여 실험체 이면에서의 온도와 열류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EFFECT OF TOP END CONDITION OF FUEL BED CONTAINER ON DOWNWARD SMOLDER SPREAD

  • Sato, Kenji;Sakai, Yasuhiro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146-153
    • /
    • 1997
  •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of natural-convection downward smolder spread across a sawdust bed peripherally enclosed with an insulating contain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open- ing condition at the top end on downward smolder spread.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using relatively coarse sawdust and 25-cm-long cylindrical container The variations of temperature profiles along the bed axis with time were determined far different opening conditions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in smolder spread from open top to open bottom. It was shown that the smolder zone initiated from open top toward closed bottom penetrates the bed with keeping high peak temperature like the case of open top to open bottom spread, although mean spread rate is smaller. This indicates that the downward smolder zone can be sustained stably if sufficient air or oxygen Is supplied from the back of it by natural convection even if upward draft entering from the bottom of the bed is absent. When the top end was partially closed by mounting a cover after stable smolder spread had begun from open top toward open bottom, the temperature at the peak decreased more than 200 K and the smolder zone became to spread with thickening residue. In this case, the shape of temperature profiles continuously changed or decayed until end-effect at the open bottom end enhanced the reaction. The temperature at the shrunk peak, free from the end-effect, was almost identical with the temperature at the exothermic oxidative-degradation zone in smolder spread from open top to open bottom.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inferred for natural-convection downward smolder spread that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char is very sensitive to the oxygen supply by natural convection in the space above the smolder zone, and that the top end opening condition strongly alters the completeness of reactions, structure, and behavior of the smolder zone.

  • PDF

공동주택의 화재조사 - 현장조사 및 연소실험에 의한 초기 화재확대과정 추정 - (Investigation of an Apartment Fire - Site Surveys and Burn Tests for Estimation of the Progress on Initial Fire Spread -)

  • 남동군;하세미유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20-129
    • /
    • 2009
  • 건축물 화재에서는 발화물과 주변 가연물이 소실하기 때문에 화재현장 조사만으로 출화원인을 규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조사와 화재실험을 통해 화재의 원인과 확대과정을 추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원인 불명으로 판단된 공동주택의 화재사례를 대상으로 현장의 잔존물에서 출화장소와 초기연소물을 추정하고, 출화물로 추정된 가연물을 대상으로 연소실험을 실행하여 출화원인 등을 추정하였다. 화재실험에서는 가연물의 종류 및 배치 등을 출화이전의 상태로 재현하고 출화조건을 가정하여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연소 후의 상황과 화재현장의 잔존물을 비교함으로써 출화원인 및 초기 화재확대과정을 규명하였다.

화재현황 및 현장조사를 통한 ESS의 화재 위험성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of ESS through Fire Status and Field Investigation)

  • 박광묵;김재현;박진영;방선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91-99
    • /
    • 2018
  • 최근 국내 ESS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화재사고 또한 발생하고 있다. 2018년 7월까지 총 7건이 발생하였다. 7건 모두 리튬이온배터리로 구성된 ESS 시스템으로 발화 이후 자동소화설비 또는 소방서에 의해 진화되지 못하고 전소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생한 ESS 화재현황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ESS 화재의 특징을 파악하고 발화원인을 환경적, 전기적, 열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ESS 화재가 시스템의 설치환경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국내외 리튬이온배터리 시험표준 및 ESS 시설기준 조사에서는 국내외 동향 및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화재현황 및 현장조사, 국내외 시설기준 조사 등을 토대로 ESS 화재 시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