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instruction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수학 교과 기반 첨단 기술 및 ICT 교구 활용형 융합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EAM Instruction Material for Mathematics Subject-Based Advanced Technology and ICT Teaching Tools)

  • 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33-352
    • /
    • 2022
  • 본고는 초등수학을 기반으로 첨단기술및 ICT교구를활용한 초등융합교육자료의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현장 교육전문가 6인이 준비-개발-개선의 PDI 모형에 따라 융합교육 자료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자료는 수학, 과학, 미술, 공학 과목의 교과교육전문가 4인에 의해서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융합교육 자료는 초등 3~4학년군에서 활용 가능한 『그래프! 과거,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다리』 의 1종이고, 5~6학년군은『알쏭달쏭, 같은 듯 다른 너!』 , 『함께 만드는 가상현실 입체 공간』의 2종이며, 초등 3~4학년군과 5~6학년군에서 학년군별로 재구성해 사용 가능한 『그리고 만드는 재미있는 도형 나라』 , 『거북선 지붕을 빈틈없이 덮어라!』 의 2종이었다. 본 개발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초등교육 현장에서 원활한 융합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융합교육 자료가 개발 공유되어야 하며, 나아가 앞으로 융합교육의 확산과 정착을 위해서는 현장 초등 교사나 예비 초등 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의 함양 및 신장이 절대적인 선결 조건일 것이다.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지도자의 인식 연구 (A Study of Practical Instructors' Recognition on the Field Practice Progra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3-156
    • /
    • 2017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전반에 대해 실습지도자의 인식을 진단하여 문헌정보학 현장실습의 유용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장실습기관 실습지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에 대한 현황조사 및 인식도 측정을 실시하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실습지도자의 일반적 특성, 도서관 관련 업무 특성, 실습기관의 현장실습 현황 등 요인 중에서 현장실습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현장실습 운영 책무성'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실습 인식도를 구성하는 6가지 구성요인별로 실습지도자의 전반적 현장실습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한 결과, '실습환경', '실습 지도방법'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신입간호사를 위한 투약 간호 e-Learning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n e-Learning Program about Medication for New Nurses)

  • 성영희;권인각;황지원;김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13-112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Learning program about medication for nurses to enhance nurses' medication performance ability and to analyze learners' responses after studying with this program.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arning program, the NBISD(Network Based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suggested by Jung(I999) was applied as a basic model and the instruction design theory of Gagne & Briggs(1979) and ARCS theory of Keller(I983) were applied. After the operation of this program for one month to 34 new nurses, learners'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 Learners' knowledge of medication was greatly improved after this program. In addition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education program, help in field applicability, ease of screen shift and exploration, and tutor activities were high and the contents were regarded suitable for e-Learning. Many things were advantageous such as easy accessibility, easy understandability with pictures and flash animation, practical cases and feedback from a tutor. Provision of a supplementary handout and improvement of a tight time schedule were pointed out as things to be improved. Conclusion: This e-Learning program can be used effectively for medication education for registered nurses, student nurses, and new nurses.

정규표현식 프로세서에서의 효율적 문자 클래스 매칭을 위한 구조 (Architecture for Efficient Character Class Matching in Regular Expression Processor)

  • 윤상균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7-92
    • /
    • 2018
  • 보통의 CPU 처럼 명령어 기반으로 정규표현식 패턴 매칭을 수행하는 정규표현식 프로세서가 최근에 연구되었다. 이들 중 REMPc만이 문자 클래스 처리를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규표현식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문자 클래스들에 대해서 명령어의 오퍼랜드 필드에 비트맵 방식으로 나타내고, 하드 배선 방식으로 이 문자 클래스에 대한 매칭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문자클래스 매칭을 수행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면 Snort 규칙의 문자 클래스에 대해서 대부분의 문자 클래스를 명령어의 한 오퍼런드 또는 한 명령어로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REMPc에 비해서 적은 수의 명령어를 사용하므로 효율적인 문자 클래스 매칭을 할 수 있다.

초등수학과 수행평가도구 개발 -1, 2학년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Mathematics in the Primary School)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2호
    • /
    • pp.357-388
    • /
    • 200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mathematics in the prim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t reviews the tics in the prim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t reviews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Then the framework for portfolio developed in this study is introduced. This portfolio is called 'mathematical thinking and applying'. It aims at balanced assessment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It is composed of journal writhing, problem by the student, constructed task, work samples, written test, self assessment, teacher's comment and parents' comment. The criteria of performance tasks is categorized in impact, reasoning, accuracy and communication. The procedures of development of these task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primary school, the design of performance tasks with considering teaching unit goals, designing rubrics, discussing these tasks with teachers in primary school, modifying them when is needed, observing the process of children's task performing, interviewing with teachers and final modifying. After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re implemented, the answers by the students is analyzed using rubrics. Then anchor papers are selected. Also, the errors of children a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teachers can obtain the information of children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Finally in order to generalize this study, I suggest that we need to cooperate with the field of education and to establish expert assessment groups.

  • PDF

A Study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Their Difficulties with Its Instru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Perceptions

  • Song, ju-seung;Chung, hae-m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97-104
    • /
    • 2015
  •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distributed total 100 questionnaires by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final analysi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vided by child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and also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with the instruc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thus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arch for a direction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Both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showed a high perception level of need for and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thought tha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cross all areas and promoted their pleasure and expressive abilities. Providing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faced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musical knowledge, basic musical skills, and experiences with and confidence in musical activities. They also felt a need for teacher education.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udent-center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Model: Focusing on Earth Science)

  • 채동현;임성만;이효녕;한제준;이상균;김은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udent-center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model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school.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books, surveys, and then developed a textbook model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We have selected the three elementary school, three grades, fifty-seven students to apply the model developed textbooks. Textbook model of Earth was developed as a center of student activity. Applying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field, students were interested about the student-centered textbooks and they were felt tha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were textbook that students can study on their own. Through this research it could confirm that it should be provided feedback to causes of the reflective thinking of students in the textbook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centered textbook.

공업계 고등학교 토목과 학생의 진로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Career of the civil engineering student at Technical High School)

  • 권영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8권1호
    • /
    • pp.23-3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ir learning capability about major, their adaptability to school instruction and whether those factors of them was linked to their career in an effort to suggest workable reform measures. Technical high school seniors to grasp their basic learning capabilities and their opinions on the curricul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ivil engineering students at technical high school weren't fully able to understand what they learned because of their poor basic achievement. They should take all the required courses to fix their academic deficiencies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client-centered addition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bout particular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which they should learn to study their major. Second, many of the students chose technical high school through the advice of parents or since they weren't able to go onto academic high school. So they entered technical high school without knowing well about their major, and vocational education wasn't properly publicized. As students make a critical career decision in middle school, the government should build permanent pavilions for vocational-education exhibition where interested students can acquire information and explore their career without any restraints. Current fragrant vocational education that is based on experiential learning should be avoided. Third, the government substituted regular classroom teaching for field practice, and that resulted in providing just uniform instruction, destroying learning atmosphere and eventually holding teachers back from offering quality education. To remedy the situation, two different sorts of classes should be prepared. One type of classes are for college- bound students, and the others are for job-seeking students. College- bound students should receive education about humanities to improve their academic deficiencies, and job-seeking seniors should be allowed to take field-practice courses at authorized companies in the second semester. It's advisable personally and socially to help ensure their successful and immediate social adjustment.

  • PDF

3D게임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야각(FOV) 연구 (A Study on FOV for developing 3D Game Contents)

  • 이환중;김영봉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3-168
    • /
    • 2009
  • 3D 게임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점과 시야를 자유롭게 조종할 수 있어서 2D게임에 비해 현실감과 몰입성이 뛰어나다. 3D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자의 시점과 시야는 카메라의 위치와 카메라 렌즈의 화각인 FOV(Field of View)에 의해 결정된다. FOV는 단순한 기술적인 요소이지만 어떻게 적용되는 가에 따라 화면왜곡의 양상이 달라지며 게임의 몰입성에 많은 영향을 주고, 일부 게임 사용자에게는 멀미와 같은 신체적인 부작용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하게 모델링된 데이터에 대해 FOV 값을 조절하여 렌더링한 결과와 실제 게임에 구현된 FOV의 사례를 분석하여 3D 게임 개발을 위한 적합한 FOV 결정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인식 (A Study on the Job Specification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 이찬주;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0-52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직무 영역과 영역별 직무 내용)를 구명하고, 구명된 직무에 대해서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중요도, 곤란도, 수행 빈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를 도출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으로 구안하였다. 구안된 직무의 내용을 현장 교사 전문가 16명과 교사 교육 전문가 3명의 검토를 통하여 직무 모형을 완성하였다. 직무 모형을 바탕으로 최종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영역은 7개(중영역 포함 10개)로 교과지도, 학생지도, 학급 경영, 교육과정 편성 운영, 교무 행정 업무,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 전문성 신장으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교과지도 영역은 수업 준비 및 계획, 수업 운영, 학습 평가 3개 영역, 학생지도 영역은 교과외 학생지도, 생활지도 2개 영역, 학급 경영, 교육과정 편성 운영, 교무 행정 업무,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 전문성 신장으로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영역은 총 7개 영역(중영역 포함 10개 영역)의 46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중요도는 4.10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곤란도는 3.45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수행 빈도는 3.12로 보통 수준(한 달에 1-3회 정도 수행)으로 나타났다. 직무 중요도가 높은 영역은 학습 평가(4.32), 수업 준비 및 계획(4.28), 전문성 신장(4.27), 수업 운영(4.26), 생활지도(4.25), 학급 경영(4.17),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4.12)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곤란도가 높은 영역은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4.07), 교육과정 편성 운영(3.73), 전문성 신장(3.55), 생활지도(3.48), 학습 평가(3.35), 교과외 학생지도(3.22)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빈도가 높은 영역은 학급 경영(3.88), 수업 운영(3.77), 생활지도(3.52), 교무 행정 업무(3.40), 수업 준비 및 계획(3.17)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