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rous p/m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5초

장미, 동백 및 맨드라미꽃 첨가 약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Yakju Added with Rose, Camellia and Cockscomb Flower)

  • 손종연;조애경;김계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66-47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Yakju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during fermentation. Method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were estimated including pH, amino acidity, total acid, ethanol content, color value, sensory test, electric donating abil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Results: The pH values of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were decreased after 2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increased after 4 days of fermentation, with final pH ranging from 4.15 to 4.27. Total acid content and amino acidity we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 ethanol content in Yakjus ferment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was rapidly increased after 2 days of fermentation, reaching the maximum content of 19.1% after 8 days of fermentation. In color evaluation, the L values of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did not changes during fermentation, whereas values of a and b were increase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were 0.67, 0.59, and 0.52 mg/mL,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in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were 0.20, 0.09, and 0.26 mg/mL, respectively. In sensory test,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Yakjus added with cockscomb flower was higher than that of Yakju added with rose or camellia flower.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were the highest in Yakjus added with rose flower, whereas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as the highest in Yakjus added with cockscomb flower.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Yakjus added with rose, camellia, or cockscomb flower might have valuable functional properties due to their antioxidant effects.

돼지의 체외수정시 Ascorbic Acid와 Ferrous Sulfate의 첨가하에서 정자 전배양의 영향 (Effect of Sperm Preincubation Medium with Ascorbic Acid and/or Ferrous Sulfate on Porcine In-Vitro Fertilization)

  • 박춘근;남희선;이장희;김인철;정희태;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5-262
    • /
    • 2000
  • 본 연구는 돼지난자의 체외수정시 Asc와 Fe$^{2+}$의 첨가하에서 정자 전배양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체외에서 성숙시킨 돼지난포난자를 0, 1, 2, 3, 4 및 5시간 전배양된 돼지동결-융해정액을 이용하여 수정한 결과, 정자침입율(37~51%)은 0.1mM Asc의 첨가하에서 정자의 전배양 기간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정자의 전배양 기간동안 1.0mM Fe$^{2+}$의 첨가시에도 정자침입율에는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정자 전배양시 Asc와 Fe$^{2+}$ 를 동시에 첨가했을 때 정자의 전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자침입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5시간 전배양시 이들 물질의 첨가시 무첨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침입율을 나타냈다 (P<0.05). 한편 Asc와 Fe$^{2+}$ 가 첨가되지 않은 배양액내에서 전배양된 정자를 이용하여 수정했을 때, 수정배양 액내에 Asc 또는 Asc+Fe$^{2+}$ 가 첨가된 경우 보다는 Fe$^{2+}$ 첨가시 유의적(P<0.05)으로 높은 정자침입율을 나타냈으며, 다정자침입율은 정자의 전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이들 물질이 첨가된 배양조건하에서는 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정자의 전배양시 Asc 와 Fe$^{2+}$ 의 첨가는 정자침입에 효과적으로 작용했으며, 전배양된 정자를 이용한 체외수정시 Fe$^{2+}$의 첨가는 다정자침입을 억제하면서 수정능력이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단계 반응에 의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Magnetite Nanoparticles by Two Step Reaction)

  • 신대규;류도형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8-155
    • /
    • 2008
  • Nano magnetite particles have been prepared by two step reaction consisting of urea hydrolysis and ammonia addition at certain ranges of pH.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queous solution of ferric ($Fe^{3+}$) and ferrous ($Fe^{2+}$) chloride (0.3 M-0.6 M, and 0.9 M) were mixed with 4 M urea solution and heated to induce the urea hydrolysis. Upon reaching at a certain pre-determined pH (around 4.7), 1 M ammonia solution were poured into the heated reaction vesse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he starting solution and the final size of magnetite, in-situ pH measurements and quenching experiments were simultaneous conducted.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starting solution resulted in the difference of the threshold time for pH uprise, from I hour to 3 hours, during which the akaganeite (${\beta}$-FeOOH) particles nucleated and grew. Through the quenching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controlling the size of ${\beta}$-FeOOH and the attaining a proper driving force for the reaction of ${\beta}$-FeOOH and $Fe^{2+}$ ion to give $Fe_3O_4$ are important process variables for the synthesis of uniform magnetite nanoparticles.

여고생의 철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과 철보충제 효과 연구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Iron Supplementation on Iron Status of High School Girls)

  • 홍순명;황혜진;서영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9호
    • /
    • pp.943-951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on supplement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on the iron status and anemia of high school girls. The subjects resided in Ulsan city in Korea and were already diagnosed as having anemia or iron deficiency. Over a period of three months, one iron tablet (80 mg Fe as ferrous sulfate/day) was administered to the iron deficient subjects and two tablets (160 mg Fe as ferrous sulfate/day) were administered to the anemia subjects.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anemia subjects were 161.24 $\pm$ 4.50 cm and 50.87 $\pm$ 5.86 kg, respectively. The average BMI (kg/$m^2$ )was 19.58 $\pm$ 2.03 and the PIBW(percent ideal body weight) were 92.52 $\pm$ 9.84%. Except for vitamin A and vitamin C intakes, the intake levels of all other nutrients were below the RDA. Total calorie intakes of anemia subjects were 73.5% of RDA. The iron intakes of subjects from food were 69. 1% of RDA and the Ca intakes were 59.1% of RDA. The basal hemoglobin(Hb) concentration of anemia subjects averaged 10.77 $\pm$ 1.33 g/dl, and this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to 12.12 $\pm$ 1.08 g/dl,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e basal ferritin, and transferrin saturations {TS (%)}of anemia subjects were 12.51 $\pm$ 15.19 ng/$m\ell$ and 8.43 $\pm$ 7.56%, respectively, and these significantly increased to 20.59 $\pm$ 22.39 ng/$m\ell$ and 15.56 $\pm$ 12.87%, respectively. The level of total iron binding protein (TIBC)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the initial 486.80 $\pm$ 70.16 $\mu\textrm{g}$/dl to 417.86 $\pm$ 67.73 $\mu\textrm{g}$/dl (p < 0.001) after iron supplementation. For the iron deficiency subjects, the ferritin, iron and TS(%) level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nd the TIBC levels were significantly (p <0.001) decreased after iron supplementation. Anemia symptoms such as 'Feeling blue (p<0.05)', 'Decreased ability to concentrate (p<0.001)' and 'Poor memory (p<0.05)'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ron supplementation in the anemia subjects. The number of tablets administere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serum hemoglobin (t=0.194, p< 0.01), serum ferritin (t=0.181, p<0.01), TS(%) (t=0.141, p<0.05), and hematocrit (t=0.254, p<0.01),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TIBC (t=-0.143. p<0.05) and red cell distribution width (RDW, t=-0.140, p<0.05). In conclusion, daily iron supplement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iron status and reducing symptoms of anemia in high school girls. (Korean J Nutrition 35 (9) : 943~951,2002)

Fenton Reaction을 이용한 Phenanthrene 오염 토양 처리에서 Acetate의 영향 (Influence of Acetate on the Removal of Phenanthrene from Contaminated Soil using Fenton Reaction)

  • 성요셉;박주양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52-357
    • /
    • 2009
  • 오염토양에 펜톤 반응을 적용함에 있어서 과산화수소의 빠른 소모로 과량의 과산화수소가 요구되어지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PAHs물질인 phenanthrene으로 오염된 토양 처리를 위해 철의 리간드로 acetate를 사용하여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확보를 통하여 공정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Acetate는 철의 몰농도에 대비하여 0.5배에서 3배(2${\sim}$12 mM)까지 주입하였고, 과산화수소는 분해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낮은 농도인 0.7%를 주입하였다. Acetate가 주입되어 과산화수소의 잔류시간은 최대 5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확보됨에 따라 phenanthrene의 제거율도 70%까지 향상되었다. 반응 중에 철은 2가와 3가로 산화환원을 반복하였고 과산화수소가 모두 분해되는 시점부터 $HO_2^-$에 의해 2가철로 환원이 이루어졌다. 과산화수소의 영향으로 반응중의 pH는 산성영역을 나타냈으며, acetate가 8 mM 이상 주입되었을때 4${\sim}$5범위 내에 머무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Fenton reaction에 의해 철의 리간드로 사용된 acetate 역시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henanthrene의 비해 분해되는 시점이 느린 것으로 나타나 분해되어지는 경쟁관계에서 phenanthrene이 우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오염 토양처리에 기존 Fenton reaction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성영역의 pH로 확장된 연구 등을 통해 좀 더 현실적인 공법으로 발전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신규 Cephalosporin-C Deacetylase(CAH) 생산 균주인 Bacillus sphaericus 366M-9의 선발 및 그 효소학적 특성 (The Isolation of Bacillus sphaericus 366M-9 Producing New Cephalosporin-C Deacetylase (CAH) and its Enzymatic Characterization)

  • 이승훈;권태종;이동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4-229
    • /
    • 2004
  • 토양으로부터 강력한 CAH activity를 갖는 균주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배양학적, 전자현미경 동정을 한 결과, Bacillus sphaericus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B. sphaericus 366M-9로 명명하였다. 또한 이 균으로부터 최초로 cephalosporin-C deacetylase(CAH)를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수율은 약 7.5% 였으며, B. sphaericus 366M-9에서 분리한 CAH-9의 최적활성 온도는 $50^{\circ}C$였으며, 효소안정 온도구간은 30~$50^{\circ}C$이다. 또한 최적 활성 pH는 7.0이었으며, 효소안정 pH구간은 pH 6.0~8.0으로 90% 이상의 잔존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효소반응속도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에서는 $K_{m}$ 값은 0.87 mM 이며,$ V_{max}$는1.22 unit/ml이었다.다.

Methyl tert-Butyl Ether(MTBE)의 in-situ Remediation을 위한 Modified Fenton Process에 관한 연구 (Removal of Methyl tert-Butyl Ether (MTBE) by Modified Fenton Process for in-situ Remediation)

  • 정영욱;서승원;김민경;이종열;공성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2호
    • /
    • pp.27-36
    • /
    • 2007
  • 기존의 연구를 통해 Fenton's reagent(FR)를 이용하여 MTBE의 제거가 가능하며, 그러나 중성 pH영역에서는 철이온이 수산화물로 침전되어 반응성이 낮아지므로 FR만을 이용한 처리는 높은 수소이온 농도조건(pH $3{\sim}4$)이라는 제약으로 인해 직접적인 토양 및 지하수의 MTBE 오염처리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처리를 위하여 NTA, oxalate, acetate 등의 chelating agent가 철이온과 반응하여 생성된 착화합물을 이용하는 modified Fenton reaction을 도입하여 중성 pH영역에서도 철이온이 안정화되어 높은 분해효율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MTBE의 분해경향은 chelating agent의 종류와 농도, 철이온 농도 그리고 pH 변화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적합한 착화합물을 선택하기 위하여 총 6개의 chelating agent(citrate, oxalate, succinate, acetate, NTA, EDTA)를 실험한 결과, 처리효율과 chelating agent의 생분해도, 독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 3가지 종(oxalate, acetate, NTA)이 선정되어 이후의 실험에서는 위의 3종만을 chelating agent로 이용하였다. 동일한 실험조건($H_2O_2$ : 5%, chelating agent : 6 mM, $Fe^{3+}$ : 2 mM, pH 7)하에서의 적용성 평가한 결과, Fe-NTA가 반응시작 30분만에 99.9%의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Oxalate의 경우, NTA보다는 그 분해효율이 낮으나 다른 chelating agent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24시간 후 최대효율 : 91.3%)을 보여주며, acetate를 이용한 경우도 본 실험에서 좋은 결과(24시간 후 최대효율 : 75.8%)를 나타내었다. 또한, 적정 철이온의 농도는 oxalate가 chelating agent로 이용되면 철이온 농도가 3 mM일때 가장 큰 분해효율을 보이며, acetate의 경우는 5 mM까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효율도 조금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MTBE의 in-situ remediation을 위한 modified Fenton 공정은 철이온을 중성 pH영역에서 안정화시켜 실제 토양에 적용하였을 때, 높은 분해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경제적인 자체 생분해도가 높은 저분자 유기산을 이용하였으므로 생물학적 처리와 연계를 가능하게 해주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토양 내 존재하는 철광석을 촉매로 이용할 경우, 주입되는 철이온 없이도 $H_2O_2$에서의 hydroxyl radical 생성을 증가 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처리기법을 도출해 낼 수 있다.

펜톤유사산화반응을 이용한 4-Chlorophenol 분해과정 예측

  • 이웅;이성재;박규홍;배범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45-148
    • /
    • 2003
  • The batch experiments showed that 0.515mM 4-chlorophenol and its oxidation intermediates could be totally decomposed within 60 minutes by 1g/L steelers' dust and 0.485mM hydrogen peroxide at pH 2.7. The rate constants in the simplified kinetic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ere estimated by fitting to the experimental data obtained in $H_2O$$_2$/steelers' dust system. Using the estimated kinetic rate constants, the simulation of 4-chlorophenol, ferrous iron, hydrogen 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concentration was performed. The predicted concentrations of 4-chlorophenol and hydrogen peroxide corresponded to the actual concentrations.

  • PDF

水銀滴下電極에서 一次反應에 對한 포라로그라프電流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Polarographic Kinetic Currents for the First Order Reactions at the Droping Mercury Electrode)

  • 김황암;태창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18
    • /
    • 1962
  • Solution to the diffusion layer for the first order reaction at a droping mercury electrode (D.M.E.) is presented. Equations are derived for polarographic currents for the reactions at the D.M.E. A factor which is applicable to the D.M.E. is derived, when we use the equations of the polarographic currents for the reactions at a plane electrode(P.E.), and the rate constants of the backward reactions are negligibly small. Polarographic currents from a combination of diffusions and reactions are obtained at the D.M.E. with special approximation. Rate constant for the reaction of ferrous ion with hydrogen-peroxide is determined at the D.M.E.,using the data of Kolthoff and Perry. The agreement of the equation with the data of Kolthoff and Perry for the kinetic current of ferric ion in the presence of hydrogen-peroxide is good. Ratios of diffusion layer at the D.M.E. to the diffusion layer at the P.E. are discussed and show that, when the rate constants of the backward reactions for the first order reactions are larger than 1/0.05 sec-1. and drop-time about 3 sec., these ratioes are about one.

  • PDF

난백의 숙감수성에 관한 연구 II. 금속염의 첨가와 pH가 난백의 열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Heat Sensitivity of Egg Albumen II. Effects of pH and/or the Addition of Metal ions on Heat Sensitivity of Egg Albumen)

  • 유익종;이성기;김영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22
    • /
    • 1989
  • 난백의 열광수성을 순화시키기 위하여 각종금속염(Fe$^{2+}$, Fe$^{3+}$ , $Al^{3+}$ , Cu$^{2+}$)을 첨가하고 가훈처리($60^{\circ}C$, 5분간) 전후 난백의 기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알루미늄염(Al$^{3+}$ )이 첨가된 난백의 pH에 대한효과도 검토하였다. 금속염의 첨가에 의해 가열처리 전후 난백의 탁도는 대체로 증가하였으나 알루미늄염의부가시 탁도의 변화가 가장 작았다. 난백의 기포력은 금속염의 첨가에 의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Fe$^{3+}$ 의 첨가효과가 가장 컸다. 특히 가열처리 후 난백의 기포력은Fe$^{3+}$ , Al/ sup 3+/ 및 Cu$^{2+}$의 첨가에 의해 크게 증가되었다. 기포안정성의 경우 열처리 전에는 Fe$^{3+}$ , Al/ sup 3+/의 첨가효과가 있었으나 열처리 후에는 Fe$^{3+}$ 와 Al/ sup 3+/의 첨가가 효과적이었다. 한편 알루미늄염을 첨가한 난백을 pH 7 -10의 범위에서 가열처리한 결과 pH 7-8.5 범위에서는 탁도 및 기포성의 변화가 크지 않았고 pH 9이상에서는 탁도와 기포성은 낮아졌으나 기포안정성은 향상되었다. 난백액에 Salmonella typhimurium을 $10^{6}$ cells/$m\ell$수준으로 접종 후 $60^{\circ}C$, 5분간의 가열처리 결과 pH에 상관없이 모두 사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