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ing condition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9초

D-xylose 발효효모의 분리 및 성질 (Isolation and properties of D-xylose fermenting yeast)

  • 이종수;우철주;송형익;정기택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5-350
    • /
    • 1990
  • D-xylose로부터 직접 ethanol을 생산할 목적으로 D-xylose를 유일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효모들을 토양, 톱밥, 썩은 나무들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균주들 가운데서 ethanol 생산력이 가장 우수한 균주는 썩은 나무로부터 분리한 Candida sp. L-16으로 동정되었다. 이균주를 이용한 ethanol 발효의 최적 조건은 진탕속도 60rpm, 배양온도 28C, 초기 pH 4.5 및 D-xylose 농도 5%이었다. 알코올 생산은 배양 4일째에 최대치에 도달했고 이때의 ethanol 농도는 2.4%(v/v)로서 이론적인 ethanol 수율은 총당에 대해 74.4%이었다.

  • PDF

유산균과 Bifidobacterium longum을 혼합균으로 사용한 Flour Sourdough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Flour Sourdough using Mixed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um longum as Starters)

  • 채동진;이광석;장기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43-750
    • /
    • 2010
  • The influence of various fermenting conditions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lone (Control, Single) and in combination with mixed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Combined 1, Mixed, Combined 2), including Bifidobacterium longum,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flour sourdough preparation was examined. For the Combined 2 method, starters were incubated separately for 15 h, combined, and then further incubated for 10 h. Fermentation using Combined 2 improved the growth of mixed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but inhibited that of S. cerevisiae. This was also reflected in the extent of the pH reduction in sourdough produced in the Combined 2 step by these organisms. Among biochemical activities, $CO_2$ production and titratable acidity were increased by Combined 2, although the viable yeast counts were decreased. Aroma compounds in sourdough markedly varied according to fermentation conditions.

조선 전통 메주에서 균독소(Mycotoxin) 측정 (Detections of the Mycotoxins on the Korean Traditional Home made Mejus)

  • 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487-495
    • /
    • 1998
  • 우리 나라에 중요한 식품의 원료인 메주에 대한 균독소($Aflatoxin\;B_1$와 Ochratoxin A) 생성 여부를 인위적인 혹은 자연적인 환경에서 조사하였다. 채집된 메주에서 균을 분리하여 접종함으로, 인위적인 환경인 독소생성 배지와 콩을 이용한 배지를 이용하여 균독소 생성을 관찰하였다. 조선 전통메주에서 채집된 메주 균인 불완전 진균들은 몇 몇 균이 독소를 생성하였으나, 멸균된 날 콩에는 다만 $2{\sim}3$개의 분리균들이 $Aflatoxin\;B_1$와 Ochratoxin A를 분비하였다. 그러나, 언급된 두 개의 균독소가 함께 생성하는 분리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조선 전통메주에서는 어떤 채집된 메주에서도 위의 균독소가 $0.01{\sim}100\;ng$ 범위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메주 제조에 관련된 메주 균에서 털곰팡이(Mucor species)가 메주 제조에 초기에 작용한 균으로 전통 메주의 발효와 균독소 생성과 관계에서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lcoholic Drink Using Onion Extract.)

  • 김삼웅;오은혜;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80-985
    • /
    • 2008
  • 양파는 우리 식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식품 재료로서 그 재배 방법이 용이하여 전국 각지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양파 내에는 glutamic acid, arginine 등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어서 그 효능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양파의 수요 확대 및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하여 양파즙을 기질로 하여 알코올 발효 조건을 검토하고 나아가 발효주의 품질을 개선하여 산업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플라스크 배양 결과, 48시간 경에 정지기로 접어들고, 90시간 이후에 사멸기로 나타났다. 에탄올 생성은 114시간에서 정점을 보였다. 플라스크 배양의 최적 조건을 토대로 하여 유가 배양, 연속 배양 등 발효조 배양을 행하였다. 발효조 정치배양은 플라스크 배양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약 24시간 정도 빠르게 진행되었다. 유가배양은 배양 시작 후 72시간 때 10% sucrose가 첨가된 양파즙 배지를 첨가하여 실시되었고, 균의 사멸을 방지하고 알코올의 일정농도를 유지하게 했다. 연속배양은 배양 시작 후 72시간 때부터 24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신선한 배지를 균 생육이 유지되게 하였다. 그 결과 균 생육은 다소 감소하였지만, 일정농도의 알코올 생성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체 내에서 항괴혈병 작용, 면역 촉진 작용 등의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비타민 C(L-ascorbic acid)의 유도체인 $2-O-{\alpha}-D-glucopyranosyl$ L-ascorbic acid (AA-2G)를 양파즙 배지에 첨가하여 알코올 발효의 특성을 분석하여 발효주의 비타민 C를 강화하고 면역 증강을 촉진시키는 기능성 발효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발효와 저장 중 온도와 시간 변화에 따른 동치미 품질 특성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Time on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Analysi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 조미숙;나예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50-458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al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to maintain high quality Dongchimi during the fermentation and storage period. Dongchimi was fermented at low (5℃), medium (10 and 15℃), and high (20℃) temperatures until the acidity reached 0.2, 0.3, and 0.4%. respectively. From the consumer's preference test enrolling five consumers, Dongchimi fermented at 15℃ until an acidity of 0.3% (for approximately six days) was evaluated to be the optimal status because of its high score of overall acceptance, taste, and odor of consumers. To determine the optimal storage temperature of fermentation, Dongchimi was stored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1, 2, 5℃) for four weeks after fermenting at 15℃ for six days. During the storage period, most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 acidity, reducing sugar content, and organic acid)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2 and 5℃ groups, resulting in a significant change in descriptive sensory analysis of Dongchim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ation at 15℃ and storage at -1℃ for Dongchimi enables it to maintain the best quality for a long ti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Gatt (Brassica juncea)

  • Park, Jung-Eun;Moon, Sung-Won;Jang, Myung-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21-27
    • /
    • 2005
  • To improve Dongchimi (watery radish kimchi) quality and preservation, 0, 3, 5, 10, and 15% of gatt (Brassica juncea; leaf mustard) per radish was adde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for 45 days. Total acidity increased slowly by addition of gatt during initial fermentation period, and 15% treatment showed lowest total acidity. Total vitamin C content increased initially in all treatments depending on gatt content, and decreased thereafter. Period for reaching maximum value was delayed by addition of gatt. Highest total vitamin C was found in 15% treatments. In the case of reducing sugar, 5% treatment showed highest contents. Lactic, succinic, and tartaric acid contents consisten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while those of malic and citric decreased. Turbidity and total solid contents of Dongchimi liquid increased in all treatments as fermentation proceeded, although the extent was rather suppressed by addition of gatt. Colorimetric lightness values decreased, while the initial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in redness and yellowness. Addition of gatt at above 15% weight level per radish accelerated fermentation at the later fermentation stage thus it should be avoided. Most changes in typ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were similar depending on treatments. More acceptable Dongchimi could be prepared by fermenting at 5% gatt concentration under given conditions.

Phenolic Compounds Production, Enhancement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of Blue Berry Powder with Bacillus subtilis Light Mediated Fermentation Compounds

  • Elumalai, Punniyakotti;Lim, Jeong-Muk;Mohan, Harshavardhan;Lee, Jeong-Ho;Oh, Byung-Tae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6-66
    • /
    • 2018
  • Light fermentation has been conducted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such as normal dark light, white light, and light emitting diodes (LEDs) various color (blue, green, red, white on blueberry powder with fermenting bacteria Bacillus subtilis (B2). The bacteria B2 was isolated and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method. RYRP biologically converted to secondary metabolites through light fermentation in the presence of Bacillus subtilis, the bacteria actively involved in bioconversion process. LEDs fermentation to enhance the production of phenolic content while comparing to normal dark and white light. Among the different color LEDs, blue LEDs mediated fermentation showed higher amount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Then blue LEDs mediated fermented compound were characterized by FTIR and GC-MS, subsequently the compound was analyzed antioxidant activity test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exhibited higher.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at B. subtilis-LEDs mediated fermentation is useful for facilitating phenolic compound production and enhancing antioxidant activity, which may have greater application fermentation fields.

  • PDF

The Production of Xanthan from Brewer's Spent Grain

  • Rajiv Chetia;Bhriganka Bharadwaj;Rahul Dey;Biswa Prasun Chatterj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9-456
    • /
    • 2023
  • Sugar or dextrose increases the cost of production of xanthan gum by Xanthomonas campestris. Brewers' Spent Grain (BSG) was chosen as a source of fermentable sugars. BSG is a significant industrial by-product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from the breweries. Primarily used as animal feed due to its high fiber and protein content, BSG holds great potential as an economically and ecologically sustainable substrate for fermenting biomolecules. This study explores BSG's potential as a cost-effective carbon source for producing xanthan, utilizing Xanthomonas campestris NCIM 2961. An aqueous extract was prepared from BSG and inoculated with the bacterium under standard fermentation conditions. After fermentation, xanthan gum was purified using a standard protocol. The xanthan yield from BSG media was compared to that from MGYP media (control). The fermentation parameters, including pH, temperature, agitation and duration were optimized for maximum xanthan gum yield by varying them at different levels. Following fermentation, the xanthan gum was purified from the broth by alcoholic precipitation and then dried. The weight of the dried gum was measured. The obtained xanthan from BSG under standard conditions and commercial food-grade xanthan were characterized using FTIR. The highest xanthan yields were achieved at 32 ℃, pH 6.0, and 72 h of fermentation at 200 rpm using BSG media. The FTIR spectra of xanthan from BSG media closely resembled that of commercial food-grade xanthan. The results confirm the potential of BSG as a cost-effective alternative carbon source for xanthan production,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and solid waste.

친환경 농산물 재배를 위한 농가 자가제조 액비 사용실태 (The Survey of Actual Using Conditions of Farm-Made Liquid Fertilizers for Cultiva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 안난희;조영상;조정래;김용기;이연;지형진;이상민;박광래;이병모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5-356
    • /
    • 2012
  • 본 연구는 2009년에 친환경 농산물 재배 농가들이 사용하는 자가 제조 액비 실태를 파악하고자 친환경 농산물 인증을 받은 29농가를 대상으로 액비의 종류, 재료, 제조과정, 활용방법 및 효과 등에 대해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농가에서 사용하는 액비의 재료는 대부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이었고 제조방법은 주재료에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당밀이나 흑설탕을 첨가하고 그리고 발효 미생물원으로 부엽토, 시판미생물, 시군센터에서 보급하는 미생물 또는 토착미생물 배양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농가에서 제조하여 활용하고 있는 액비 종류는 발효액비, 천혜녹즙, 아미노산액비, 칼슘액비, 인산액비 등 이었고 이들 액비는 생육촉진, 개화촉진, 꽃눈형성, 당도증가, 저장성 증대, 병해충 저항성 증가, 그리고 고온장해 억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집된 액비의 성분분석 결과, pH와 EC의 범위는 시료간의 차이가 크며 질소, 인산 등 다량원소 함량은 대부분 적었으며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비라도 제조방법에 따라 양분함량이 각각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염 오징어젓갈의 제조를 위한 원료어육의 수분활성도와 papain과 glucose의 첨가조건 (Conditions of Water Activity of Raw Material and Adding Levels of Papain and Glucose for Processing Fermented Squid with Low Salt Concentrations)

  • 조진호;오세욱;김영명;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2-68
    • /
    • 1998
  • 발효에 의한 향미특성과 저장성이 양호한 새로운 저염 오징어젓갈의 제조기술을 개발하고자 원료어육의 수분활성도와 염농도, papain과 glucose의 첨가농도 등 적정 제조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오징어육의 수분활성도를 0.94, 0.90과 0.88로 조절하고 3, 5와 7%의 식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오징어젓갈을 $10^{\circ}C$에서 6주간 숙성하였을 때 아미노태질소는 수분활성도가 높고 염도가 낮을수록 함량이 높았으며 수분활성도 0.90이고 식염농도가 5%인 경우 관능적 품질이 양호하였고 30일 이상 유통가능하였다. 수분활성도를 0.90으로 조절하고 5% 식염으로 염장한 오징어육을 papain의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10^{\circ}C$에서 숙성하였을 때 papain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단백질의 분해가 빨랐으며 관능적 품질은 papain 0.1%를 첨가한 처리구가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수분활성도를 조절하여 5% 식염으로 염장한 오징어육은 1% glucose의 첨가로 유기산 발효를 촉진시켜 5주경에 pH 5.8로 저하하므로서 대조구의 최저 pH 6.13에 비하여 비교적 낮았으므로 저장성 연장효과가 기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