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foods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9초

전통식품 품질인증 일부 시판 된장의 효소활성 및 항당뇨 활성 (Antidiabetic Activity and Enzymatic Activity of Commercial Doenjang Certified for Traditional Foods)

  • 이소영;김인선;박소림;임성일;최혜선;최신양
    • KSBB Journal
    • /
    • 제27권6호
    • /
    • pp.361-366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activity and enzymatic activity of 24 commercial doenjang samples certified for traditional foods. Twenty four doenjang samples showed the wide ranges in enzymatic activities (protease activities 0-50.45 unit/g, ${\alpha}$-amylase activities 0-675.9 unit/g, ${\beta}$-amylase 13.6-308.6 unit/g), and there were no difference in enzymatic activity by the producing region. To evaluate the potential anti-diabetic activity of 24 doenjang samples, we examined the effec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 (DME) on 2-[n-(7-nitrobenz-2-oxa-1, 3-diazol-4-yl) amyno]-2-deoxy-d-glucose (2-NBDG) uptake. Ten samples among 24 samples significantly stimulated the uptake of 2-NBDG.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DME at 400 ug/mL, No. 17 and 23 specially stimulated 2-NBDG uptake by 1.23-fold and 1.25-fold, respectively,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ell. And there were no cytotoxicity in the C2C12 cells treated with DME at concentration of 500 ug/mL. Among 24 samples, No. 6, 7, 12, 21 and 24 showed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 activity at concentration of 10 mg/mL; however, they were less effective than acarbose which is a commercial ${\alpha}$-glucosidase inhibitor.

다시마를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 중 화학적 성분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 배태진;김경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4-152
    • /
    • 2001
  • In order to improve functionality of kochujang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foods of Korea, sea tangle powder(2, 4, 6 and 8% sea tangle powder on the glutinous rice weight basis) was added to the raw material of kochujang and then investigated the change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with control kochujang during the fermentation at 3$0^{\circ}C$ for 120 days. During 120 days fermentation,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gradually de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whereas crude fat content NaCl were slightly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of sea tangle kochujang was rapidly increased until 60 days of fermentation after that it was increased slightly up to 90 days of fermentation to the highest value and then reduced slightly or not changed approximately until 120 days. pH was reduced up to 60 days of fermentation after that it remained 4.63~4.91 in 90~120 days. Acidity was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and it was the highest value of 11.5~12.4$m\ell$ in 120 days of fermentation. Viscos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Especially a case of additional sample of 8% sea tangle powder was highly increased until 60 days. A case of color difference value, in initial time of preparation of kochujang was distinct difference of value for additional samples respectively but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among the samples not found consistent change of color difference value. L value was gradual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A value was decreased up to 30 days of fermentation and it was increased again totally at 60 days of fermentation. B value was decreased totally at initial time of fermentation and a case of control was increased again at 90 days of fermentation, the other samples increased again 60 days earlier than 30 days.

  • PDF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전통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 분석 (Comparison of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s between Doenjang and Cheonggukjang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 하광수;김진원;신수진;정수지;양희종;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22-928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장류인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와 시료간의 미생물학적 차이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α-diversity 분석 결과 된장에서 종 추정치와 풍부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 분포를 분석한 결과 문 수준에서 Firmicutes가 된장에서 97.02%, 청국장에서 99.67%를 차지하여 공통적으로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속 수준에서는 된장과 청국장에서 Bacillus가 각각 71.70%, 59.87%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PERMANOVA 분석을 수행한 결과 된장과 청국장의 미생물 분포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된장과 청국장 미생물 군집을 대표하는 biomarker를 분석하기 위해 LEfSe분석을 수행한 결과 된장에서 Bacillus subtilis, Tetragenococcus halophilus, Clostridium arbusti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였으며, 청국장에서는 Bacillus thermoamylovorans, Enter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sakei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콩을 주원료로 하는 우리나라 대표 전통장류인 된장과 청국장의 시료별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미생물 분포를 정의하고 전통장류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특성과 미생물 분포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폐당(廢糖)을 이용(利用)한 초산발효법(醋酸醱酵法) (Manufacturing Proces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Deteriorated Candy)

  • 김현오;이영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2호
    • /
    • pp.104-108
    • /
    • 1980
  • 폐기(廢棄) 사탕류를 이용(利用) 초산발효(醋酸醱酵)를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사탕류의 효모이용당(酵母利用糖)은 85% 이상(以上)으로 이용(利用)의 가치(價値)가 있다. 2) 당농도(糖濃度)는 25% 용액(溶液)으로 하여 8.3%의 주정도(酒精度)를 얻어 희석하여 초산균(醋酸菌) 배지로 사용(使用)하는 것과 질소원으로서 yeast extract 0.5%를 첨가(添加)할 매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3) 초산발효(醋酸醱酵)는 심부배양(深探部培養)으로서 발효률(醱酵率) 90%로서 시간당(時間當) 0.092% 산도(酸度) 증가률(增加率)을 얻었으며 사탕을 당질원료(糖質原料)로 한 초산발효(醋酸醱酵)는 실제의 경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김치 : 한국전통채소류 발효식품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s)

  • 이철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395-402
    • /
    • 1986
  • 우리나라 김치 종류에 대한 문헌적 고찰들을 종합하고 지난 200년 사이에 일어난 김치제조기술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최근의 과학적 방법에 의한 김치 연구결과 중에서 김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특히 맛, 영양, 안전성, 저장성에 관한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 PDF

Lactobacillus sporgenes에 의한 젖산칼슘 생산 1. 젖산발효 (The Production of Calcium Lactate by Lactobacillus sporogenes I. Lactic acid fermentation)

  • 이계관;김영만;민경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5-101
    • /
    • 1988
  • In order to produce lactic acid and calcium lactate very useful for foods and medical supplies, lactic acid fermentation was studied by Lactobacillus sporogenes, a spore forming lactic acid bacterium. When this bacterium was cultured aerobically in the spore forming medium, the spore forming rate was 96.0% as total cell number 20$\times$108/ml, spore number 19.2$\times$108/ml. One minute agitating every 1 hour in the flask culture, or agitation of 100rpm in the fermenter was most efficient to continue to ferment at 45$^{\circ}C$ for 4days in the fermentation medium containing 10% glucose as carbohydrate and CaCO3 as a neutralizing agent. This hom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um showed fermentation yield of 99.3% and more than 98.2% of the yield was L(+)-lactic acid.

  • PDF

유기농법에 의해 재배된 열무김치의 품질 및 기능적 특성 (Physi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ung Radish (Yulmoo) Kimchi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 정수진;소병옥;신상욱;노순옥;정은수;채수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197-1206
    • /
    • 2014
  •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친자연개발퇴비열무(YR-FNC), 일반퇴비열무(YR-GC)와 일반관행농법인 화학비료로 재배한 일반열무(YR-Control)로 김치를 제조하여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른 품질특성, 관능적 특성 및 기능성에 대한 차이를 관찰하였다. 열무의 일반영양성분 중 수분 및 조단백질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YR-FNC, YR-GC)보다 일반열무(YRControl)에서 높았으나 식이섬유소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에서 높았다. 무기질 중 인과 구리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가 높은 반면 질소, 칼륨,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및 아연의 함량은 일반열무(YR-Control)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반열무김치(YR-Control)는 발효진행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이 되어 적숙기 pH에 빨리 도달하였고, 유기농 열무김치(YR-FNC, YR-GC)는 발효가 서서히 진행되어 저장성이 길어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당초 열무김치 담금 초기(0일)부터 열무김치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김치(YR-FNC, YR-GC)의 경우 일반열무김치(YR-Control)에 비해 약 1.5~3배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발효기간이 경과되면서 일반열무김치(YR-Control)와 유기농 열무김치(YR-FNC)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김치 발효 7일째에 김치의 젖산균인 lactic acid bacteria 함량과 총 균수(total microbial)는 일반열무김치(YRControl)에 비해 유기농 열무김치(YR-FNC)에서 높은 수준이었다. 발효기간이 경과하면서 유기농 열무김치는 관능적 품질의 특성이 우수하였고 저장성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일반관행농법으로 재배한 일반열무 김치에 비해 유기농 열무김치를 섭취함으로써 맛의 증진 효과뿐만 아니라 고기능성 생리활성물질을 높게 섭취할 수 있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젓갈의 종류 및 첨가수준에 따른 배추 김치의 발효기간 중 특성변화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 김광옥;김원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4-330
    • /
    • 1994
  • 소금만으로 짠맛을 낸 김치를 대조군으로 하고 염도가 동일하도록 소금과 새우젓 또는 멸치액젓을 각각 두 수준으로 첨가하여 배추 김치를 제조하여 $20^{\circ}C$에서 발효하는 동안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의 pH는 감소하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다가 후기에는 그 정도가 완화되었다. 특히 발효 초기에 새우젓군의 pH 감소가 현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전 발효기간을 통해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고젓가군, 저젓갈군의 순서로 감소되었고,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발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malic acid와 succinic acid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증가하였다. 전 발효기간을 통하여 lactic acid는 젓갈군이 대조군보다, 고젓갈군이 저젓갈군보다 그리고 새우젓군이 멸치젓군보다 측정치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총균수와 Leuconostoc속 미생물 수는 발효가 계속될수록 증가하다가 4일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탄산미, 짠맛, 신맛, 군덕내는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이 점점 더 강하고 경도와 아삭아삭한 정도는 점점 더 약하게 평가되었으며, 젓갈군의 신맛이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약간 강한 경향이 있었다.

  • PDF

자연발효 감식초의 제조과정 중 지표성분변화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for Main Components Change during Natural Fermentation of Persimmon Vinegar)

  • 이상현;김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72-376
    • /
    • 2009
  • 민간에서 경험적으로 외부와 구분되는 용기 속에서 감식 초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접종이나 당의 첨가, 온도조절 없이 자연적으로 발효하여 만들어지는 감식초 제조기간 중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pH 및 미생물 수, 색상, 유기산, 유리당을 분석하여 발효기간 중 변화를 조사하였다. 알코올 발효기간 중 20일까지는 감 내의 pH와 산도가 미량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발효기간별 유기산 발효액의 색상 변화 중 백색도(L)와 적색도(a)는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며, 갈변정도의 지표인 황색도(b)는 숙성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발효 6개월을 기준으로 전체적인 색차(${\Delta}E$) 변화를 보면,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전체적인 색차의 변화가 높았다. 따라서 유기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식초액은 점차적으로 밝은 적색으로 변하였다. 알코올발효가 주로 일어나는 초기 10일까지 감의 유리당은 증가하였나, 이후 알코올발효가 활발히 진행되어 기질인 유리당의 함량은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초기 40일 이후 유기산 발효기간 중 원형을 유지한 감과 침출액의 유리당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발효 3년 후에는 미량 존재하였다. 알코올 발효기간 중 유기산은 미량 존재하였다. 그러나 알코올발효가 끝나고 감식초를 첨가하는 40일 이후부터 초산과 젖산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구연산은 미량 증가하였다. 이후 유기산 발효기간 중 원형을 유지한 감과 침출액의 구연산과 젖산 함량은 모두 최고치를 나타낸 뒤 점차 감소하면서 초산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3년 이후는 큰 변화가 없었다.

김치숙성과정 중의 Enzyme System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zyme System during Kimchi Fermentation)

  • 박희옥;김유경;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7
    • /
    • 1991
  • 본 연구는 숙성과정에 관여하는 enzyme system을 밝힘으로써 이들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치국물에서의 pectinestlrase (PE)활성은 담금 초기에 약간의 증가를 보이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여 적숙기 이후에는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김치고형분내의 PE활성은 김치제조 후 첫날에 최고 활성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다. 2. 김치국물의 polygalacturonase (PG)활성은 김치 제조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감소하여 활성이 거의 없어진 후(pH 4.0이하) 김치숙성 말기에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김치고형분의 경우, 담금 초기부터 감소하여 활성이 없어진 후 김치국물과 같이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3. 김치국물내 peroxidase (POD)활성은 김치제조 후 증가하여 제 5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후 감소하였으며, 김치고형분의 경우엔 지속적인 감소현상을 보여주었다. 4. 김치에 ascorbic acid oxidase (AAO)가 존재하였으며, 김치국물내 AAO의 활성은 약간 감소한 이후 상승하였다가 다시 감소하였고, 김치고형분은 AAO활성이 계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김치국물내 효소들의 활성이 김치제조후 약간의 상승을 보이는 이유는 김치 고형분에서의 유출효과로 생각된다. 각 효소들이 김치숙성후기에 소멸되는 현상은 pH감소와 제조일 증가에 따른 불활성화 때문으로 생각되며, 김치숙성후기에 PG활성이 증가하는 현상은 호기성 미생물의 번식 때문일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