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th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모낸 후의 벼이삭 선충(Aphelenchoides besseyi)에 대한 약제방제에 관하여 (On the Control Effects of Some Chemicals to Rice White-tip Nematode (Aphelenchoides os besseyi) after Transplanting of Rice)

  • 이영배;한상찬;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3-197
    • /
    • 1976
  • 벼이삭 선충에 대한 피해 증상 발현 후의 약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ethoprop를 포함하는 4개의 약제를 피해 증상이 나타난 직후에 처리하였으며 약제 처리의 적기를 찾기 위하여 carbofuran을 처리 시기 및 횟수를 달리하여 처하였다. 가. 약종별 효과에 있어서는 ethoprop와 carbofuran이 대단히 좋았으며 diazinon과 fenthion도 무처리에 비하여는 효과적이었으나 전자의 효과에는 미치지 못했다. 나. 약제처리 시기 및 횟수 시험에서는 3회 처리구가, 그리고 일찍 처리할수록 피해 경율과 수량에 좋은 효과를 보였는데 여러 면으로 보아서 선충에 의한 피해가 벼에 나타난 직후에 처리하는 것이 본 선충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Biocide에 의한 담수조류의 생장에 관한 연구 I. Chlamydomonas reinhardii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owth of Freshwater Algae by Biocides I. On the Growth of Chlamydomonas reinhardii)

  • 이은경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5권3호
    • /
    • pp.113-121
    • /
    • 1982
  • The effects of 6 biocides on the growth of Chlamydomonas reinhardii in pure culture were studied. For the batch culture assay of biocides, the growth rate in control tubes should be compared with in the test tubes and the effective concentration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percent decrease in growth rate at the different toxicant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s at which 50% decrease in growth rate was observed are $40{\mu}g$/l for butachlor and $350{\mu}g$/l for alachlor in herbicide, $900{\mu}g$/l for phenazine-5-oxide and $3,400{\mu}g$/l for isoprothiolane in fungicide, and $3,330{\mu}g$/l for fenthion and $332,500{\mu}g$/l for trichlorfon in insecticide.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Chlamydomonas reinhardii by the treatment of various biocide concentrations was decreased in order of herbicide>fungicide>insecticide.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per cell were increased, whereas chlorophyll a/b ratio was hardly affected by biocides. The effects of biocides on pigment content were also decreased in order of herbicide>fungicide>insecticide, which sugg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biocides on the pigment content and inhibition of growth rate.

  • PDF

몇종의 선충천적 진균과 화학약제를 이용한 약용작물 뿌리혹선충 방제효과 검토 (Field Application of Egg and Larval Parasitic Fungi and Chemicals for Controlling Root-knot Nematodes on Some Medicinal Herb)

  • 박소득;추연대;정기채;심용구;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5-114
    • /
    • 1993
  •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biological and chemical control method for Meloidogyne spp to medical herbs by applied of nematophagous fungi, Arthrobotrys spp, Fusarium spp, and egg parastic fungi, Paecilomyces lilacinus were applied for root-knot nematodes on medicinal herbs, Paeonia albiflora, Codonopsis lanceolata, Cnidium officinale.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pot experiments, The no. of root gall and egg mass and larvae of Cnidium officinale.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pot experiments. The no. of root gall and egg mass and larvae of Cnidium officinale, Codonopsis lanceolata, Paeonia japonica lowered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compare to untreated control plots. But A. thaumasia F. oxysporum treated plots were less effective. Effect of egg parasitic fungi and chemical treatment at divided root of Paeonia japonica after sterilized in pot were increased in the fresh weight, root weight, control effect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as chemical, Carbo G treated plots compare to untreted control plots. I field experiment, the number of root gall, egg mass and nematode density of Paeonia were also suppressed in P. lilacinus treated plots. It was very effective continuous 2 years and transplanting time on Paeonia japonica infested soil with the M. hapla in field in both region, Chillgok and Euisung treated P. lilacinus as chemical treated plots. Soaking effect of insecticide for Paeonia japonica at diving shoot before transplating in pot were effective for 12hours immersion into 1,000 ppm of Benlate T + Mep Ec, Benlate T + Fenthion EC in pot and field Experiment. In the Examination of fungi activily on P.japonica field 1 year after soil treatment, Number of spore of P. lilacinus were 1,000~1,300 in 3 region except Euisung.

  • PDF

꽈리허리노린재(Acanthocoris sordidus, Coreidae, Hemiptera)에 대한 몇 가지 살충제와 친환경농자재의 활성평가 (Evaluation of Some Insecticides and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against Winter Cherry Bug, Acanthocoris sordidus (Coreidae, Hemiptera))

  • 강찬영;류태희;권혜리;유용만;윤영남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9-164
    • /
    • 2016
  • 꽈리허리노린재(Acanthocoris sordidus)는 흡즙성 해충으로서 가지과 작물을 주로 가해하며, 국내에서는 일부 고추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꽈리허리노린재를 방제하기 위하여 유기합성 살충제 20 종류와 7 종류의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이용하여 살충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꽈리허리노린재 성충의 경우에는 약제처리 72시간이 경과한 후에 유기인계 살충제인 펜티온이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고, 페니트로티온과 펜토에이트는 95% 이상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3령 약충의 경우에는 펜티온과 페니트로티온, 펜토에이트가 72시간이 경과한 후에 100%의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친환경유기농자재의 경우에는 고삼추출물이 80% 함유된 약제를 처리한 결과 성충이 약제처리 72시간 후 53.3%의 살충력을 나타내었을 뿐 다른 약제들은 대부분 살충력이 없거나 저조하였다.

HS-SPME-GC/MS에 의한 혈액중 17종 유기인계 농약의 동시분석법 (Simultaneous Analysis of 17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in Blood by Automated Head Space-SPME GC/MS)

  • 이종숙;정진미;이한선;염혜선;이상기;박유신;정희선
    • 약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29-440
    • /
    • 2010
  • HS-SPME-GC/MS was studied and optimized for the determination of 17 orgarnophosphorous pesiticides (OPPs: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demeton-s-methyl, diazinon, dimethoate, EPN, fenitrothion, fenthion, malathion, methidathion, monocrotophos, parathion, phenthoate, phosphamidon, sulfotep, terbufos, triazophos) in blood. Optimum SPME parameters were selected: choice of SPME fiber (85 ${\mu}m$ polyacrylate), pH effect (0.5 N HCl), salt effect ($Na_2SO_4$, 0.2 g; 20%), headspace incubation temperature ($80^{\circ}C$), headspace incubation time (1 min), headspace adsorption time (30 min) and GC desorption time (2 min). These parameters were optimized using HS-SPME autosampler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ethod validation was carried out in terms of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tation (LOQ) and recovery in blood. The assay was linear over 0.5~5.0 mg/l ($r^2$=0.955~1.000).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in blood were determined 0.03~0.3 mg/l (S/N=3) and 0.1~1.1 mg/l (S/N=10), respectively. Relative recovery with 0.5, 1 and 5 mg/l (in blood) were 90.8%, 98.5% and 94.1%, respectively. This method will b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orgarnophosphorous pesticides in postmortem blood. The proposed protocol can be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be used in routine toxicological analysis.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종자소독(種子消毒) 및 본답(本畓) 엽제방제(葉劑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Chemical Control of Rice White-tip Nematode (Aphelenchoides besseyi C.) by Seed-disinfectant and in the Paddy Field)

  • 조성산;한만종;양장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7-111
    • /
    • 1987
  •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종자소독(種子消毒) 효과 및 본답(本畓)에서의 약제방제(藥劑防除) 체계(體系)를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종자소독용(種子消毒用) 살충제(殺蟲劑)로 메프유제(乳劑), 다수진유제(乳劑), 펜치온유제(乳劑)의 약효(藥效)가 양호(良好)하였다. 2. 기존(旣存) 종자소독용(種子消毒用) 살균제(殺菌劑)인 베노람수화제(水和劑), 티시엠유제(乳劑), Proaz유제(乳劑)와 살충제(殺蟲劑), 메프유제(乳劑), 펜치온유제(乳劑), 다수진유제(乳劑)를 각각(各各) 혼용(混用)하여 종자소독(種子消毒)을 하였을때에도 약효(藥效)가 우수(優秀)하였으며 약해(藥害)도 없었다. 3. 본답(本畓)에서의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방제체계(防除體系)로는 $\ulcorner$종자소독(種子消毒)+카보입제(粒劑) 토중처리(土中處理)$\lrcorner$$\ulcorner$종자소독(種子消毒)+카보입제(粒劑) 6월하순(月下旬) 수면처리(水面處理)$\lrcorner$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Probabilistic exposure assessment, a risk-based sampling plan and food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mon vegetables (tomato and brinjal) in Bangladesh

  • Mazumder, Mohammad Nurun-Nabi;Bo, Aung Bo;Shin, Seung Chul;Jacxsens, Liesbeth;Akter, Tahmina;Bir, Md. Shahidul Haque;Aktar, Most Mohshina;Rahman, Md. Habibur;WeiQiang, Jia;Park, Kee Wo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1호
    • /
    • pp.33-43
    • /
    • 2021
  • Along with the widespread use of pesticides in the world, concerns over human health impacts are rapidly growing. There is a large body of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to pesticides and the elevated rat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different types of cancers, diabetes, neurodegenerative disorders like Parkinson, Alzheimer, and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birth defects, and reproductive disorders. This research assessed the health risk of pesticide residues by the dietary intake of vegetables collected from the agro-based markets of Dhaka, Bangladesh. As some of the banned pesticides were also found in vegetable samples, they may pose a higher risk because of cheaper availability and hence the government of Bangladesh should take strong measures to control these banned pesticides. Five organo phosphorus (chlorpyrifos, parathion, ethion, acephate, fenthion) and two carbamate (carbaryl and carbofuran) pesticide residues were identified in twenty four samples of two common vegetables (tomato and brinjal). The pesticide residues ranged from below a detectable limit (< 0.01) to 0.36 mg·kg-1. Acephate, chlorpyrifos, ethion, and carbaryl were detected in only one sample, while co-occurrence occurred twice for parathion. Continuous monitoring and strict regulation should be enforced regarding the control of pesticide residues in fresh vegetables and other food commodities in Bangladesh.

한국에 있어서의 말라리아 매개모기의 역학적, 매개동물학적 조사 (Epidemio-entomological survey on malarial vector mosquitoes in Kyongbuk, Korea)

  • 우종윤;강구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329-340
    • /
    • 1992
  • 경북지역에 있어서 삼일열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 (Anopheles sinensis)의 계절적 출현소장과 군집변동을 규명하기 위해 1987연부터 5연간 경출군 1개소에 유준등으로 1주일에 한떤씩 성충을, 1989년부터 3 년간 경북 농촌 진흥 원부속농장에서 모기유충을 채집조사하였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유창등에 처음으로 중 국얼룩날개모기가 채집되는 날짜는 연도별로 큰 차리를 나타내었으며,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사이에 채집되었고 가장 높은 군집밀도를 보인 것은 7월 초순에서 중순이었으며, 그 후 점점 감소하여 lli3 초순과 중순부터는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채집된 모기 중 흡혈한 개체률은 채집장소별로 차리가 있었으며 그 율은 0.5∼67.9%이었다. 중국얼룩날개모기의 채집되는 수는 1987년 이후 증가하여 1989년 가장 많은 수가 채집되었으며, 그 후 급격히 감소하여 1991연에는 가장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액간활동성은 22시에서 23시사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후 점차 감소하다가 새벽 4∼5시에 다시 약간 증가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6월 중순에 논에서 처음 발견 되었고 그 밀도는 7월 초순 및 중순에 가장 높았으며, 9월 중구 이후부터는 그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은 각감의 유기린제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보아 경북 지역에서 중국얼룩날개모기는 매년 감소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유기인제 중독에서 콜린성 위기 회복후 급성 호흡부전을 보인 Intermediate Syndrome 2예 (Two Cases of Respiratory Failure After Recovery of Cholinergic Crisis in Organophosphate Poisoning: The Intermediate Syndrome)

  • 조대경;이성은;백재중;정연태;정근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247-254
    • /
    • 1999
  • 급성 유기인제 중독에서의 주사망 원인인 호흡부전은 급성 콜린성 위기시에 발생하지만 콜린성 위기에서 회복된 후 콜린양 증상의 동반없이 24-96시간에 근위부 사지근육, 경부굴근 및 운동뇌신경 분포근육의 무력증과 함께 호흡부전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IMS이라 하며 조기에 인지하고 적절히 치료하지 못했을 때 호흡근 마비로 사망 할 수 있어 모든 유기인제 중독환자를 최소 5일 이상 병원내에서 무호흡보조 치료에 대한 준비상태를 갖추고 근접관찰 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유기인제 중독에서 콜린성 위기 회복후 호흡부전을 유발한 IMS 2 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식품중의 오염물질에 관한 조사연구 (Monitoring Program on Food Contaminants)

  • 백덕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1-136
    • /
    • 1987
  • 본 연구는 1983년부터 시작한 농작물중의 잔류농약 Monitoring program으로서 우리나라의 농작물중의 농약잔류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자료 (back data)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농작물중의 잔류농약허용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금년도에는 86년도의 대상농약인 유기인제 (8종), 카바메이트제(3종)에 유기염소제 살균제인 Captan, Captafol을 추가하였으며 대상식품으로 상치, 무우, 감자, 파, 감, 고구마를 예년도의 대상식품이었던 도마도, 풋고추, 사과, 복숭아, 콩, 오이, 배추중에는 Captan, Captafol을 경기, 충남, 경북, 전북의 4개 지역에서 채취하여 G.C.-NPD, ECD를 사용하여 그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Diazinon은 32.0%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872ppm, 평균은 0.0020ppm이었다. 2. Fenthion(MPP)는 16.4%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395ppm, 평균은 0.0007ppm이었다. 상치, 가지,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Fenitrothion(MEP)는 30.5%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628ppm이었고 평균 0.0026ppm이었다. 4. Phenthoate(PAP)는 7.0%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069ppm, 평균 0.0001ppm이었다. 감자, 가지, 감,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5. EPN은 13.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250ppm, 평균은 0.0030ppm이었다. 감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6. Dimethoate는 27.3%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826ppm, 평균은 0.0049ppm이었다. 7. Parathion은 22.7%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771ppm, 평균 0.0021ppm이었다. 김,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8. Malathion은 10.9%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098ppm, 평균 0.0001ppm이었다. 상치, 무우에서만 검출되었다. 9. Carbaryl(NAC)은 6.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8452ppm, 평균은 0.0336ppm이었다. 상치와 쑥갓에서만 검출되었다. 10. Isoprocarb(MIPC)는 31.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1180ppm, 평균 0.0104ppm이었다. 11. BPMC는 22.7%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5106ppm, 평균 0.0085ppm이었다. 12. Captan은 58.7%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1970ppm, 평균은 0.005ppm이었다. 13. Captafol은 2.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312ppm, 평균은 0.0003ppm이었다. Captafol은 파에서만 검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