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mice

검색결과 656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s of subacute oral administration of endocrine disruptors, bisphenol A and Mancozeb, on LPS-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production in vivo.

  • Hwang, Yoo-Kyung;Pyo, Myoung-Y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07.2-107.2
    • /
    • 2003
  • Bisphenol A(BPA) is a monomer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ing polycarbonate plastic or epoxy resin and Mancozeb (MCZ), a polymeric complex of zinc and manganese salts of ethylene bisthiocarbamate, is widely used in agriculture as fungicide, insecticide and herbcide. These chemicals have been recently known as endocrine disruptor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PA and MCZ on LPS-induced cytokine production (TNF-${\alpha}$) in vivo, female ICR mice were administered to various concentration of these materials (BPA; 100, 500, 1000 mg/kg/day, and MCZ; 250, 500, 1000, 1500 mg/kg/day) for 30 days and serum cytokine levels were measured at 1h post LPS injection (day 32) in BPA- or MCZ-administered mice. (omitted)

  • PDF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quaporin Subtypes in Female Reproductive Tract of Mice

  • Im, Ji Woo;Lee, Chae Young;Kim, Dong-Hwan;Bae, Hae-Rah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4권3호
    • /
    • pp.177-185
    • /
    • 2020
  • Although many aquaporin (AQP) transcripts have been demonstrated to express in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the defined localizations and functions of AQP subtype proteins remain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AQP1, AQP3, AQP5, AQP6, and AQP9 proteins in female reproductive tract of mouse and characterized their precise localizations at the cellular and subcellular levels. Immunofluorescence analyses for AQP1, AQP3, AQP6, and AQP9 showed that these proteins were abundantly expressed in female reproductive tract and that intense immunoreactivities were observed in mucosa epithelial cells with a subtype-specific pattern. The most abundant aquaporin in both vagina and uterine cervix was AQP3. Each of AQP1, AQP3, AQP6, and AQP9 exhibited its distinct distribution in stratified squamous or columnar epithelial cells. AQP9 expression was predominant in oviduct and ovary. AQP1, AQP3, AQP6, and AQP9 proteins were mostly seen in apical membrane of ciliated epithelial cells of the oviduct as well as in both granulosa and theca cells of ovarian follicles. Most of AQP subtypes were also expressed in surface epithelial cells and glandular cells of endometrium in the uterus, but their expression levels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bserved in the vagina, uterine cervix, oviduct and ovary.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5 AQP subtype proteins simultaneously in female reproductive tract of mouse. Our results suggest that AQP subtypes work together to transport water and glycerol efficiently across the mucosa epithelia for lubrication, proliferation, energy metabolism and pH regulation in female reproductive tract.

임신중인 생쥐에 Bisphenol A 투여 후 태어난 차산자의 생식독성과 혈액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productive Toxicant and Blood Metabolite in Pups Born After Bisphenol A Administration in Pregnant Mice)

  • 박동헌;장현용;김정익;정희태;박춘근;양부근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67-173
    • /
    • 2005
  • Bisphenol A (BPA) is a monomer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multitude of chemical products, including epoxy resins and polycarbonat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PA administration on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and blood hematological and chemical values in offspring of pregnant dams treated with BPA. BPA was administrated to pregnant mice by intraperitoneally injection with 0, 0.05, 0.5 and 5.0 mg/kg B.W. for 5 times at 3 days interval on gestation days 1-16. There were no treatment-related effects of BPA on reproductive organ weight in male offsprings at 45 days-of-age, but body weight was the lowest in 5.0mg BPA group when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No differences in semen characteristics (sperm concentration, viability, motility and abnorma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BPA treatment groups. The WBC, HB, HT, MCV, MCH, MCHC, albumin, BUN and total protein of blood hematological and chemical values in male offsprings were not difference for any treatment groups, but RBC value in BPA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P<0.05). The PLT value was slightly higher in 5.0mg BPA groups than in any other group,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In female offsprings, the effects of BPA didn't affect to the body and ovary weight, but the uterus weight in 5.0mg BPA group was slightly heavi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5).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hematological values in female offspring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BPA groups, but the concentration of albumin and BU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0.5mg BPA group when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BPA treatment groups (P<0.05). The histological evaluation of testis and ovary in growing offspring at 45 days-of-age was no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BPA groups, but endometriosis of the uterus in female offspring was dramatically increased in 0.5 and 5.0mg BPA groups. These founding suggest that low concentration of BPA might not have a important role on reproductive ability or blood metabolite in offspring of pregnant dams treated with BPA.

생쥐 태자의 성 관련 유전자 발현: 2-Bromopropane과 성 분화 (Expression of Sex-Related Genes in the Fetus of Mouse: 2-Bromopropane and Sex Differentiation)

  • 최돈찬;임시내;김판기;김대용;이영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07-114
    • /
    • 2001
  • 환경호르몬(내분비계 장애물질)이 하등동물의 생식기 및 생식 기능 이상을 초래한다는 최근보고는 포유동물도 그 영향하에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2-bromopropane(2-BP)이 생쥐 차산자의 성별에 미치는 영향과 성 분화 과정 중에 발현되는 유전자를 조사하였다. 생쥐를 2-BP로 3주일 동안 주입한 암수를 4종류 조합으로 교배시 킨 후 태어난 새끼들의 성별을 이유시기에 결정하였다. 성관련 유전자들은 수태 후 10일에 어미 생쥐를 희생시켜 RT-PCR 방법으로 태자들에게서 발현되는 유전자를 탐지하였고, 동정된 범위의 핵산 서열을 기존의 보고된 서열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유시기까지 살아남은 한배 차산자 평균수는 암수를 모두 2-BP로 처리한 군에서만 약간 감소하였다. 차산자의 성비에서 암컷 어미가 2-BP로 처리된 군에서만 차산자 암컷이 수컷보다 많았으며, 그 이외의 군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많았다. 성 분화 시기에 발현되는 유전자들인 SRY 유전자는 416 염기, DAX1 유전자는 466 염기, SF1 유전자는 326 염기, AMH 유전자는 389 염기를 동정하였다. 이 유전자들은 흰쥐와는 89~90%의 상동성을, 그리고 사람과는 81~92%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 유전자들은 성이 결정되는 시기인 수태 10 일경에 모두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2-BP는 생식능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포유동물의 성 분화에 미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영향을 성관련 유전자들의 발현과 관련지어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당뇨 쥐의 신장 염증 단계에서 단기간의 혼합 항산화 영양소 보충 식이가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반응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 Term Antioxidant Cocktail Supplementation on the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 of Renal Inflammation in Diabetic Mice)

  • 박슬기;박나영;임윤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8호
    • /
    • pp.673-681
    • /
    • 2009
  • Diabetes mellitus is a multifactorial disease. Particularly, diabetic nephropathy is a serious complication for diabetic patients, yet the precise mechanisms that underline the initial stage of diabetic renal inflammation remain unknown. However,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yperglycemia in diabetes is implicated in diabetic renal disease. We hypothesiz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antioxidants either VCE (0.5% VC + 0.5% VE) or Comb (0.5% VC + 0.5% VE + 2.5% N-acetylcysteine) improves acute diabetic renal inflammation through modulation of blood glucose levels an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responses. Experimental animals (5.5 weeks old female ICR) used were treated with alloxan (180 mg/kg) once. When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were higher than 250 mg/dL,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fed different levels of antioxidant supplementation, DM (diabetic mice fed AIN 93G purified rodent diet); VCE (diabetic mice fed 0.5% vitamin C and 0.5% vitamin E supplemented diet); Comb (diabetic mice fed 0.5% vitamin C, 0.5% vitamin E and 2.5% N-acetylcysteine supplemented diet), for 10 days and then sacrificed. Body weights were measured once a week and blood glucose levels were monitored twice a week. Lipid peroxidation products, thiobarbituric acid reacting substances were measured in kidney. NF-${\kappa}B$ activation was indirectly demonstrated by pI${\kappa}B$-${\alpna}$ and expressions of selective 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including antioxidant enzymes were also determined. Dietary antioxidant supplementation improved levels of blood glucose as well as kidney lipid peroxi-dation. Dietary antioxidant supplementation improved NF-${\kappa}B$ activation and protein expression of HO-1, but not mRNA expression levels in diabetic mice fed Comb diet. In contrast,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CuZnSOD was decreased in diabetic mice fed Comb diet. However, antioxidant supplementation did not improve mRNA and protein expressions of IL-$1{\beta}$ and MnSOD in diabetic mic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cute diabetic renal inflammation was associated with altered inflammatory and antioxidant responses and suggest that antioxidant cocktail supplementation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early stage of diabetic nephropathy through modulation of blood glucose levels and antioxidant enzyme expressions.

수동면역이 Acanthmoeba culbertsoni 능동면역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ve immunization with Acanthamoebn culbeksoni in mice born to immune mother)

  • 공현호;서성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157-164
    • /
    • 1993
  •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Aconaamoebonensoni로 면역된 어미 마우스로부터 태어난 새끼 마우스를 다시 면역시켰을 때, 어미로부터 받은 수동면역이 새끼 마우스의 능동면역 시행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고자 수막뇌염 발생에 따른 사망률, 혈청내 항체가 측정 및 세포 분리분석기를 이용하여 T세포 아형을 측정하였다. A. culbertsoni 영양형 $1{\;}{\times}{\;}10^6$개로 3회 면역된 어미 마우스로부터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2-3주령의 새끼 마우스와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2-3 주령의 새끼 마우스를 영양형 $1{\;}{\times}{\;}10^6$개로 2회 면역하였을 때 혈청내 항체가는 같은 주령의 면역 을 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수동면역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간의 혈청내 항체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형 $1{\;}{\times}{\;}10^4$개를 감염시켰을 때 사망률을 관찰한 결과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군은 면역을 받지 않은 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T세포의 아형 중, $Ly2^{+}$ T세포는 어미로부터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군이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군이나 면역을 시키지 않은 군에 비해 더 높은 비율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동면역을 받은 부비주령의 새끼 마우스를 같은 방법으로 면역한 군과 대조군을 비교힌 결과, 영양형 $1{\;}{\times}{\;}10^5$개로 감염시켰을 때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면역된 어미로부터 태어난 새끼를 다시 능동면역하였을 때, 능동면역에 따른 항체가의 변동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억제 T세포는 증가하였으며, 능동면역 시기에 따라 면역조절이 다르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BP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특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sphenol A Administration on Reproductive Characteristic and Blood Metabolite in Mice)

  • 박동헌;장현용;박춘근;정희태;김정익;양부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57-966
    • /
    • 2004
  • 본 연구는 내분비 장애물질 중 관찰물질로 지정된 BP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특성과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웅성 생쥐에 BPA를 체중 kg당 무처리구, 대조구, 0.05, 0.5 및 5.0mg BPA을 투여한 구에서 실험개시시와 실험종료시의 체중, 정소상체, 정낭선 및 응고선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며, 정소의 무게는 5.0mg 투여구가 다소 낮은 무게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BPA의 투여가 웅성 생쥐의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과 유효정자수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나 정자농도는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정자농도를 나타냈다(P<0.05). 기형율은 5.0mg 투여구가 무처리구, 대조구 및 0.05mg 투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형율을 나타냈다(P<0.05). 웅성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RBC, HB, HT, MCV, MCH, MCHC, albumin, BUN 및 total protein은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LT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BPA의 투여가 자성 생쥐의 번식기관 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실험개시시 체중, 실험종료시 체중 및 자궁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지만, 오른쪽 난소의 무게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대조구 및 0.05mg 투여구보다 낮은 무게를 나타냈으며(P<0.05), 왼쪽 난소의 무게는 0.5mg 투여구가 대조구 및 0.05mg 투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무게를 나타냈다(P<0.05). 자성 생쥐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은 RBC, HB, HT, MCV, MCH, MCHC, albumin 및 total protein은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LT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중 BUN의 함량은 BPA 투여구가 대조구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P<0.05).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검사에서는 모든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임신중인 생쥐에 DEHP 투여가 번식현상에 미치는 영향 Ⅱ. 임신중인 생쥐에 DEHP 투여가 자손의 번식특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HP Administration on Reproduction in Pregnant Mice Ⅱ. Effect of DEHP Administration on Reproductive Characteristic and Blood Components in Pups Born after DEHP Administration in Pregnant Mice)

  • 박동헌;장현용;박춘근;정희태;김정익;양부근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2호
    • /
    • pp.91-97
    • /
    • 2004
  • 본 연구는 임신한 생쥐에 DEHP의 투여가 자손의 번식특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웅성 자손의 체중, 번식기관 무게 및 정액 성상에 미치는 결과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웅성 자손의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WBC, HB, HT, MCH 및 albumin은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RBC MCV, MCHC, PLT 및 total protein은 각 투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자성 자손의 체중, 자궁 및 오른쪽 난소의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지만, 왼쪽 난소의 무게는 10.0mg 투여구가 대조구와 0.5mg 투여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무게를 나타냈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자성 자손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 HB 및 HT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자손의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정소에서는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난소에서는 10.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많은 황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자궁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DEHP의 투여농도가 증가할수록 자궁내막층이 감소했으며, 1.0mg 투여구와 10.0mg 투여구는 대조구에 비해 뚜렷한 자궁내막층의 감소가 있었다.

  • PDF

Heterosis Effects on Jumping Height and Body Weight in Three-Way Rotational Crossing in Mice

  • Kurnianto, E.;Shinjo, A.;Suga, D.;Nakada, T.;Sunagaw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0호
    • /
    • pp.1353-1358
    • /
    • 2000
  • The three-way rotational crossing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to evaluate heterosis effects on jumping height and body weight. Yonakuni wild mice (Y) and two genetic groups of $CF_{{\sharp}1}$ (C) and C3H/HeNCrj (H) laboratory mice were used as materials. Reciprocal rotational crossing was made by crossing C male${\times}$Y female and Y male${\times}$C female to produce basic group designated $G_0$ and ${G_0}^{\prime}$, respectively. The females of the $G_0$ and ${G_0}^{\prime}$ were mated to the H sire to produce second generation ($G_1$ and ${G_1}^{\prime}$), and at the following generation the replacement females were mated to Y or C sire according to the basic group to produce $G_2$ to $G_3$ and ${G_2}^{\prime}$ to ${G_3}^{\prime}$. Individual jumping height data at Wk6 and body weight data at 1 (Wk1), 3 (Wk3), 6 (Wk6) and 10 (Wk10) weeks of age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effects of genetic group, sex and interaction of genetic group by sex were significant (p<0.01) for jumping height. For males, 55.34%~79.17% and 54.46%~78.29% of heterosis were reached at $G_1$ to $G_3$ and ${G_1}^{\prime}$ to ${G_3}^{\prime}$, respectively. While for females at $G_1$ to $G_3$ and at ${G_1}^{\prime}$ to ${G_3}^{\prime}$, heterosis effects were 61.53%~80.42% and 47.79%~85.86%, respectively. For body weight, genetic group was a significant source of variation at all ages studied. Sex effect was significant at Wk3, Wk6 and Wk10, and interaction between genetic group and sex was significant at Wk6 and Wk10 (p<0.01). C sires resulted in the highest body weight of offspring, while H sires were the intermediate and Y sires were the lightest. The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heterosis effects for body weight were exhibited. Crossing involved the Y sires in addition to smaller maternal effects of Y dams tended to result in small heterosis.

Lactobacillus plantarum AF1이 생성한 조항진균 물질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 손희경;이명렬;장해춘;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92-897
    • /
    • 2013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Lb.) plantarum AF1이 생산하는 조항진균 물질의 부분 정제물이 천연 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로서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단회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독성시험을 위하여 경구로 1회 시험물질을 최고 용량(2,000 mg/kg)으로 하여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게 용량별 각 군당 10 마리씩 투여한 후 14일간의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투여한 후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동물은 시험 종료 시까지 계속 생존하여 평균치사량을 산출할 수 없었다. 경구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암수 모두 대조군과 시료물질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용량 의존적인 차이도 볼 수 없었다. 경구투여한 후 시험 종료한 다음 생존동물 모두를 부검하여 주요 장기의 육안적 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시료투여군 모두에서 외관상이나 내부 장기에 어떠한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을 경구투여 시 ICR계통 암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LD_{50}$은 경구투여 시 2,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