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 similarity

검색결과 595건 처리시간 0.032초

잠재지문 현출용 나노 은 분말의 표면개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rface modification of Ag powder for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s)

  • 김만기;최미정;전충현;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3권2호
    • /
    • pp.216-223
    • /
    • 2010
  • Ag 분말 입자형태와 크기에 따른 효율성을 확인한 결과 flake, spherical 형태의 분말은 시판 회색 분말과 현출효율이 유사하였고, nAg (rod, $0.9\;{\mu}m$) 분말의 경우 다양한 잠재지문 현출효율 평가 실험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1개월간 nAg 분말을 자연조건에서 방치하였을 때 분말의 산화 및 수분의 영향으로 현출효율이 낮게 확인되어 산화 및 수분 흡습 방지를 위한 연구가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nAg 분말의 산화 및 수분 흡습의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nAg 분말에 실리콘 오일을 다양한 수준으로 표면개질하여 비다공성 대상물질 표면인 유리, 플라스틱에서 현출지문의 동일한 영역에서 특징점 수, 이랑과 분말의 흡착정도, 현출지문의 contrast 등으로 nAg 분말과 표면개질 nAg 분말의 현출효율을 평가하여 유리, 플라스틱 대상물질에서 DC200 실리콘 오일 0.5%로 표면개질한 nAg 분말의 우수함과 산화 및 수분 흡습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Marine Algal Flora on Goheung Coast, Korea

  • Sun, Bin;Seo, Tae-Ho;Cho, Jae-Kwon;Kim, Dae-Kwon;Yun, Soon-Ki;Shin, Hyun-Soo;Lee, Han-Sol;Shin, Jong-Ahm
    • 환경생물
    • /
    • 제29권1호
    • /
    • pp.31-45
    • /
    • 2011
  • To understand the marine algal flora on Goheung coast, Korea, marine algae at 8 points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08 to February 2009 and from April to June 2009. Thirty-seven species (2 species of angiosperms, 5 chlorophytes, 12 phaeophytes, and 18 rhodophytes) occurred from fall to winter and 52 species (2 species of angiosperms, 9 chlorophytes, 18 phaeophytes, and 23 rhodophytes) occurred from spring to summer. Commonly occurring species were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Hizikia fuziformis, and Gelidium amansii, and dominant species at most points were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and Gelidium amansii. The average of the ratio of total rhodophytes and chlorophytes to phaeophytes ((R+C)/P) was 1.61 in fall to winter and 1.69 in spring to summer, and the average Laminariales/Fucales/Dictyotales (LFD) ratio was 1.14 in fall to winter and 1.18 in spring to summ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arine algal flora of Goheung could be considered as temperate. The LFD ratio was fit for showing a feature of algal flora of Goheung. Species diversity index was high at Points 4~6 while low at Points 1 and 8.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showed that the similarity of occurring species at Points 3 and 4 was higher than the other points from fall to winter, whereas the occurred species at Points 1~4 were similar from spring to summer. The average values of ecological evaluation index (EEI) of the investigation points were 6.8 from fall to winter and 6.3 from spring to summer, which means that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investigation points were middle class and the EEI values of outer sea points were higher than the inner bay points.

저노출 카메라와 웨이블릿 기반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한 야간 자동차 전조등 및 후미등 인식 (Vehicle Headlight and Taillight Recognition in Nighttime using Low-Exposure Camera and Wavelet-based Random Forest)

  • 허두영;김상준;곽충섭;남재열;고병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82-29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차량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카메라의 움직임, 도로상의 광원에 강건한 지능형 전조등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후보광원을 검출할 때 카메라의 원근 범위 추정 모델을 기반으로 한 ROI (Region of Interest)를 사용하며 이는 FROI (Front ROI)와 BROI (Back ROI)로 나뉘어 사용된다. ROI내에서 차량의 전조등과 후미등, 반사광 및 주변 도로의 조명들은 2개의 적응적 임계값에 의해 세그먼트화 된다. 세그먼트화 된 광원 후보군들로부터 후미등은 적색도(redness)와 Haar-like특징에 기반한 랜덤포레스트 분류기에 의해 검출된다. 전조등과 후미등 분류 과정에서 빠른 학습과 실시간 처리를 위해 SVM(Support Vector Machine) 또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사용하지 않고 랜덤포레스트 분류기를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페어링(Pairing) 단계에서는 수직좌표 유사성, 광원들간의 연관성 검사와 같은 사전 정의된 규칙을 적용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다양한 야간 운전환경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최근의 관련연구 보다 향상된 검출 성능을 보여주었다.

비연소식(非燃燒式) 구법(灸法) 재료(材料)를 이용한 온열자극(溫熱刺戟)이 체열방사(體熱放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on-combustible moxibustion on Thermography of Healthy Human Beings)

  • 최원종;김재효;김경식;손인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1권3호
    • /
    • pp.21-38
    • /
    • 2004
  • Objectives : Moxibustion has been become very useful tool to prevent and treat various diseases with acupuncture in oriental medicine. Expecially, moxibustion combining the heat stimulation and chemical stimulation of Artemisiae Argyi has a non-invasive characteristics comparing to the other therapeutic tools. However, because the moxibustion makes the patient's skin be burn by the combustible feature of moxibustion, most of people have been scared of being scald. Methods :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new non-combustible moxibustion tools in collaboration with company (Hana Medical, co. and ICURE, co.) and tested the efficacy through effects of moxibustion of Cheon-chu $(ST_{25})$ on the abdominal thermography of health subject. The non-combustible moxibustion has main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heating to inhibit being scald and heat stimulation lasting over 1 hrs. Also, to induce the chemical stimulation, the bottom contacting with skin was coated by the extract of artemisiae argyi. The volunteers who participating in this study had taken rest for 20 - 30 mins in room temperature $(23-25^{\circ}C)$ before the examination and informed them what to prohibit smoking, drinking and administration of drug for the previous day The thermography of abdomen including a below part of the chest was taken using Infra-Red Imaging System (IR 2000, MEDI-CORE Co., Korea) by time interval of 15 minute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moxibustion of Cheon-chu $(ST_{25})$ had more potencies of changes on all the ROIs of abdominal thermography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lso, it was observed that the quantities of thermal changes following moxibustion of Cheon-chu $(ST_{25})$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ing that of control group at all the ROIs (region of interest). Observed the thermography classified by ROI, however, moxibustion of Cheon-chu $(ST_{25})$ could modulate ipsilateral specific areas concerning to the abdominal pathway of Stomach Meridia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w non-combustible moxibusion has some similarity as like as the conventional moxibustion and moxibustion of Cheon-chu $(ST_{25})$ may modulate thermal changes of abdominal areas.

  • PDF

난독화에 강인한 안드로이드 앱 버스마킹 기법 (Android App Birthmarking Technique Resilient to Code Obfuscation)

  • 김동진;조성제;정영기;우진운;고정욱;양수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4호
    • /
    • pp.700-708
    • /
    • 2015
  • 소프트웨어 버스마크는 한 프로그램이 보유한 고유한 특징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버스마크 기반으로 자바 프로그램의 도용을 탐지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안드로이드 앱의 경우, 앱 보호를 위해 난독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공격자들도 자신이 도용한 프로그램을 감추기 위해 난독화를 적용하기도 한다. 특정 앱에 난독화를 적용하면 앱의 특징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난독화를 고려한 버스마크 기반의 앱 도용 탐지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난독화에 강인한 안드로이드 앱 버스마크 및 이에 기반한 앱 도용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몇몇 난독화 도구들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버스마크로 메서드의 매개변수 및 반환값의 자료형을 선정하였고, 비교 대상 앱들로부터 해당 버스마크를 추출하여 이들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였다. 여러 앱들을 대상으로 난독화 적용 전/후의 앱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제안한 버스마크가 난독화가 적용된 앱에 대한 도용 탐지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남산과 광릉 침엽수림의 날개응애 군집분석 (Community Analysis of Oribatid Mites(Acari: Oribatida) in Namsan and Kwangreung Coniferous Forests)

  • 박홍현;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1-41
    • /
    • 2000
  • 도시한가운데 위치하여 여러 환경 스트레스에서 시달리고 있는 서울시 소재 남산과 서울 외곽에 위치하면서 비교적 보존이 잘 이루어진 경기도 포천군 소재 광릉시험림의 침엽수림에서 날개응애를 대상으로 1993년과 1994년 2년에 걸쳐 정량적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두 지역의 날개응애 군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남산과 광릉 두 지역이 비슷한 기상 조건에 놓여있지만, 날개응애 계절별 밀도 변동은 두 지역간에 일치된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1993년과 1994년의 연도간 비교에서는 두 지역에서 봄과 여름의 밀도는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반면, 가을의 밀도는 불안정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패턴들은 강우량과 상관 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종 수와 밀도는 부엽층에서 매우 높았고, 토양층으로 내려갈수록 감소하는 일치된 패턴을 보였으며, 계절적인 패턴의 차는 없었다. 두 지역의 우점종들은 남산에서는 Scheloribates latipes (11.78%), Pergalumna altera (8.92%), Eohypochthonius crassisetiger(7.58), Scheloribates sp.(6.89%), Suctobelbella yezoensis (5.04%)이었고 광릉에서는 Ceratozetes japonicu(25.72), Punctoribates punctum(14.15%), Trichogalumna nipponica(10.96), Ramusella sengbuschi(5.08%)로 나타났다. 그리고, 출현빈도가 50%가 넘는 절대종과 상시종의 수는 남산이 10종인 반면, 광릉에서 18종으로, 광릉에서 훨씬 높았고, 적은 종수를 가진 남산을 도시림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종 다양도 분석결과, 종 풍부도는 광릉이 남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p<0.05), 새논 지수(H')는 평균적으로 남산이 2.83, 광릉이 2.62로 나타나 남산이 광릉에 비해 조금 높았고, 균등도 지수(J')는 남산이 광릉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두 지역간의 날개응애 유사도는 전체 종들을 기준으로 0.68로 나타났다.

  • PDF

추천시스템에서 구매 패턴 예측을 위한 SOM기반 고객 특성에 의한 군집 분석 (Clustering Analysis by Customer Feature based on SOM for Predicting Purchase Pattern in Recommendation System)

  • 조영성;문송철;류근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93-200
    • /
    • 2014
  •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생활의 일부가 되어가면서 정보의 양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데이터 속에서 정보를 찾아내는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고객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을 이용한 고객 선호도 예측 방법에서는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이웃 선정 방법을 사용하므로 아이템에 대한 속성을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비슷한 선호도를 가진 일부 아이템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아이템의 속성은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상거래 추천에서 구매 패턴 예측을 위한 고객 특성기반 SOM 학습을 이용한 군집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고객의 속성 정보 기반의 유사한 속성의 데이터끼리의 클러스터링을 통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고객 성향에 맞는 추천이 가능한 구매 패턴의 추출이 가능하다. 성능평가를 위해 현업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화장품 아이템 쇼핑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셋을 구성하여 기존 시스템과 비교 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여 효용성과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인포그래픽 관점을 이용한 과학 잡지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Magazine in the View of Infographic)

  • 전성수;정진규;박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01-611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적 사실, 현상, 첨단 과학 소식, 과학적 이슈 등을 독자들에게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한 표현수단으로 인포그래픽을 활용하고 있는 과학동아를 대상으로 인포그래픽의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하여 과학 교육에 인포그래픽의 활용 가능성을 짐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학동아의 인포그래픽을 분석하기 위해 스토리텔링 유형, 시지각 특성, 프레임워크의 수준을 차원으로 하는 3차원 구성틀을 개발하였다. 이 구성틀에 의해 분석한 결과 과학동아는 1986년부터 2014년까지 이미지를 강조한 과학 기사를 발행하였으며 특히 2008년 이후부터는 인포그래픽이 포함된 기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2008년을 인포그래픽 특성 변화의 중요 기준이 되는 $T_c$(Critical time Point)로 설정하였다. 2008년 이후의 과학 기사의 인포그래픽은 위치, 시간, 수치, 관계, 기능, 과정 기반형의 6가지 스토리텔링 유형이 2008년 이전 보다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의 시지각 특성(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폐쇄성)도 2008년 이후에 더욱 많이 적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레임워크의 수준은 위치, 시간, 수치, 과정 기반 인포그래픽은 전체 범위 수준이 주를 이루며 시간의 흐름에 변화가 없는 반면, 기능과 관계 기반 인포그래픽에서는 프레임워크의 수준이 2008년을 기준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인포그래픽 관점에서 과학동아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인포그래픽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여 과학교육에서 인포그래픽을 적용할 때 기초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 (Model Creation and Model Developing Proces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cientific Model Constructing Class for Phase Change of the Moon)

  • 유희원;함동철;차현정;김민석;김희백;유준희;박현주;김찬종;최승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291-3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영재 학생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의 특징과 학생과 교사의 활동이 이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체 및 모둠별 활동을 영상 촬영, 음성 녹음하였으며 선택한 모둠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활동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모둠별 개인별 학생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과정을 재구성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 양상과 교사의 역할이 여기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모둠 내에서의 토론이 모둠의 모형 생성 및 발달과정에 기여하며, 표적 모형과 초기모형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개인 모형의 발달 과정이 달라졌다. 모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많을수록 초기 모형은 다양해지고 최종 모형도 더욱 정교하게 나타났으며, 교사는 모형의 생성 및 발달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요인모델에 기반한 텍스트 문서에서의 토픽 추출 및 의미 커널 구축 (Multiple Cause Model-based Topic Extraction and Semantic Kernel Construction from Text Documents)

  • 장정호;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5호
    • /
    • pp.595-604
    • /
    • 2004
  • 문서 집합 내의 개념 또는 의미 관계의 자동 분석은 보다 효율적인 정보 획득과 단어 이상의 개념 수준에서의 문서간 비교를 가능케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요인모델에 기반 하여 텍스트 문서로부터 토픽들을 추출하고 이로부터 의미 커널(semantic kernel)을 구축하여 문서간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텍스트 문서는 내재된 토픽들의 다양한 결합에 의해 생성된다고 가정하며 하나의 토픽은 공통 주제에 관련되거나 적어도 자주 같이 나타나는 단어들의 집합으로 정의한다. 다중요인모델은 은닉층을 갖는 하나의 네트워크 형태로 표현되며, 토픽을 표현하는 단어 집합은 은닉노드로부터의 가중치가 높은 단어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다중요인 네트워크에서의 학습과 추론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근사적 확률 추정 기법이 요구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헬름홀츠 머신에 의한 방법을 활용한다. TDT-2 문서 집합에 대한 실험에서 토픽별로 관련 있는 단어 집합들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4개의 텍스트 집합에 대한문서 검색 실험에서는 다중요인모델의 분석결과에 기반 한 의미 커널을 사용함으로써 기본 벡터공간 모델에 비해 평균정확도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