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tty acid derivative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4초

율무가 백혈병세포주인 L1210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eeds of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tapf. on the Proliferation of L1210 cells, a Leukemic cell-lines)

  • 이동희;전용근;은재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05-70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tapf. on the proliferation of L1210 cells and immune cells. The hexane fraction of Coix Lachryma-Jobi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L1210 cells and induced DNA fragmentation of L1210 cells. Also, the fraction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murine thymocytes and splenocytes, but in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In addition, fatty acids and fatty acid methyl esters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L1210 cells and induced DNA fragmentation of L1210 cells. The main components of the fraction are fatty acid and their derivativ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ix Lachryma-Jobi has a cytotoxicity on tumor cells and immune cells.

도라지 뿌리 중의 지질(脂質) 구성성분(構成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 in Root of Platycodon Glaucum N.)

  • 정옥희;이만정;한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44
    • /
    • 1975
  • This experiment was purposed to examine the natures of lipids in Platycodon glaucum root, one of the well-known vegetable food stuffs in Korea. The results on the lipids obtained as forms of esters of glycerol or sterol and their derivatives by the methods of T. L. C and G. C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ature of lipids was shown as a yellow- brownish color, a little viscosity and the characteristic odor of Platycodon glaucum. 2. In case of the neutral lipid part, it was composed with the ratio of T. G 77.3%, D. G 4.9%, M. G 4.0%, S. E 8.7%, F. F. A 2.5%, and S 2.4%. 3. Considering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T. G, the amount of saturated fatty acids was about 52.0%, and that of unsaturated about 14.0%. And the principal fatty acid of T. G remained primarily as palmitic and stearic acid.

  • PDF

Ameliorating Effects of Sulfonylurea Drugs on Insulin Resistance 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 Park, Jeong-Kwon;Kim, Sang-Pyo;Song, Dae-Ky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2권1호
    • /
    • pp.7-12
    • /
    • 2008
  • OLETF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are characterized by obesity-related insulin resistance, which is a phenotype of type 2 diabetes. Sulfonylurea drugs or benzoic acid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the ATP-sensitive potassium $(K_{ATP})$ channel are commercially available to treat diabetes. The present study compared sulfonylurea drugs (glimepiride and gliclazide) with one of benzoic acid derivatives (repaglinide) in regard to their long-term effect on ameliorating insulin sensitivity in OLETF rats. Each drug was dissolved and fed with drinking water from 29 weeks of age. On high glucose loading at 45 weeks of age, response of blood glucose recovery was the greatest in the group treated with glimepiride. On immunohistochemistry analysis for the Kir6.2 subunit of $K_{ATP}$ channels, insulin receptor ${\beta}$-subunits, and glucose transporters (GLUT) type 2 and 4 in liver, fat and skeletal muscle tissues, the sulfonylurea drugs (glimepiride and gliclazide) were more effective than repaglinide in recovery from their decreased expressions in OLETF rats. From these results, it seems to be plausible that $K_{ATP}$-channel inhibitors containing sulfonylurea moiety may be much more effective in reducing insulin resistance than those with benzoic acid moiety. In contrast to gliclazide, non-tissue selectivity of glimepiride on $K_{ATP}$ channel inhibition may further strengthen an amelioration of insulin sensitivity unless considering other side effects.

Generation of Hybrid Polyketides through Combinatorial Biosynthesis of Polyketide Synthase (PKS) and Modification of Post-PKS Tailoring Steps

  • Yoon, Yeo-Jo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1
    • /
    • pp.75-78
    • /
    • 2003
  • Polyketides are a class of structurally diverse natural products which possess a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These compounds are used throughout medicine and agriculture as antimicrobials, immunosuppressants, antiparasitics, and anticancer agents. While structurally diverse, polyketides are assembled by a common mechanism of decarboxylative condensations of simple malonate derivatives by polyketide synthases (PKSs) in a manner very similar to fatty acid biosynthesis (Fig 1). (omitted)

  • PDF

사료급원과 급여기간이 Charolais 거세우 근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 and Time on Feed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Muscle of Charolais Steers)

  • 최낙진;강수원;권응기;조원모;전병수;박병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47-860
    • /
    • 2006
  • 본 시험은 n-6 및 n-3 계열 다중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풍부한 사료원을 Charolais 거세우에게 각각 사료 급여기간을 달리하여 급여하였을 때 근내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 수행은 영국 IGER (Institute of Grassland and Environmental Research) 연구소 육우 사양실험실에서 실시 하였으며, 공시축은 총 28두 Charolais 거세우로서 ad libitum으로 조사료 급여를 하였다. 그리고, 두 개의 지방원료원으로서 C18:2 n-6 함량이 풍부한 대두와 C18:3 n-3함량이 풍부한 아마종실을 60일 및 90일간 공급하였으며, 농후사료는 총 건물섭취의 73%으로 하였다. 도체중, conformation 및 fatness score는 60일 사료급여구와 비교하여 90일 사료급여구에서 높게 조사되었다(P<0.05). 공시축의 m. longissimus thoracis의 중성지방내 총지방산 함량은 지방원료원에 의한 영향은 없었지만, 반면에 인지질 내 총지방산 함량은 아마종실 급여구에 대략 15% 높게 나타났다(P<0.05). 근육 중성지방 내 C18:3 n-3와 cis-9, trans-11 CLA 함량은 아마종실급여구에 유의성있게 높게 조사되었으며(P<0.001), 반면에 C18:2 n-6 함량은 대두 급여구에서 높았다 (P<0.001). 근육 인지질 내 CLA와 C18:3 함량은 아마종실급여구에 높게 나타났으며, C18:2 n-6 함량은 대두 급여구에 높았다. 한편, 근육 중성지방 내 C14:0, C16:0, C16:1, CLA, C18:1 n-9, C18:2 n-6 및 C18:3 n-3 함량은 90일 사료급여구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근내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사료급여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C18:2 n-6:C18:3 n-3 비율과 n-6:n-3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아마종실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시험은 대두 혹은 아마종실 같은 사료급여와 급여기간에 의하여 쇠고기 근내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변화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아마종실 급여는 쇠고기 내 지방산 함량이 조성이 인체 건강과 관련한 영양적 지표에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Presence of Two Apocarotenoids in Volatile Constituents of Onosma dichroanthum

  • Mousavi, Seyed Pouya;Motamed, Saeed Mohammad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32-135
    • /
    • 2020
  • Volatile constituents obtained by water distillation from the aerial parts and root of Onosma dichroanthum Boiss (Boraginaceae) native to the north of Iran were investigated by GC and GC/MS for the first time. Palmitic acid (39.61%) and decane (31.39%)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 root while decane (26.26%) and phytol (25.52%) were the predominant constituents in the aerial parts. Ketones, aldehydes, alkanes, fatty acids, oxygenated diterpenes and sesquiterpenes were characterized as the most phytochemicals in the aerial parts. Alkanes and fatty acids were identified as the main groups in the root volatile substances. There were two ketone derivatives, belong to apocarotenoids, in the aerial parts; β-ionone and hexahydrofarnesyl acetone.

Induction of Kanamycin Resistance Gene of Plasmid pUCD615 by Benzoic Acid and Phenols

  • Mitchell Robert J.;Hong Han-Na;Gu Man-Bo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7호
    • /
    • pp.1125-1131
    • /
    • 2006
  • A kan'::luxCDABE fusion strain that was both highly bioluminescent and responsive to benzoic acid was constructed by transforming E. coli strain W3110 with the plasmid pUCDK, which was constructed by digesting and removing the 7-kb KpnI fragment from the promoterless luxCDABE plasmid pUCD615. Experiments using buffered media showed that this induction was dependent on the pH of the media, which influences the degree of benzoic acid protonation, and the expression levels seen are likely due to acidification of the cytoplasm by uncoupling of benzoic acid. Consequently, the sensitivity of this strain for benzoic acid was increased by nearly 20-fold when the pH was shifted from 8.0 to 6.5. Benzoic acid derivatives and several phenolics also resulted in significantly increased bioluminescent signals. Although these compounds are known to damage membranes and induce the heat-shock response within E. coli, bacterial strains harboring mutations in the fadR and rpoH genes, which are responsible for fatty acid biosynthesis during membrane stress and induction of the heat-shock response, respectively, showed that these mutations had no effect on the responses observed.

숙신산 알킬 하프-에스테르 유도체의 합성 및 해수에 대한 방청성능 (Synthesis and Anti-corrosion Properties of Succinic Acid Alkyl Half-Ester Derivatives)

  • 백승엽;김영운;정근우;유승현
    • 공업화학
    • /
    • 제22권4호
    • /
    • pp.367-375
    • /
    • 2011
  • 숙신산 에스테르 유도체는 방청성능 및 윤활성능이 우수하여 금속가공유 및 유압작동유 등의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유계 윤활기유의 방청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알킬 무수 숙신산과 여러 가지 지방 알콜과의 개환반응을 행하여 카르복실 그룹과 에스테르 그룹을 동시에 함유하는 숙신산 알킬 하프-에스테르 유도체를 97% 이상의 수율로 합성하였으며 1 중량% 농도범위에서 광유계 오일에 잘 용해되었다. 합성 유도체는 $^1H-NMR$ 및 FT-IR 스펙트럼으로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GC 분석을 통하여 화합물의 순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합성 유도체의 해수에 대한 방청성능을 ASTM D665 표준방법과 무게 중량법으로 평가하여 카르복실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숙신산 알킬 에스테르 유도체와 비교하였다. 방청성능 평가 결과, 합성 유도체의 농도가 증가하고 분자 내에 포함된 알킬기의 사슬이 짧을수록 상대적으로 방청성능이 우수하였으며 비교물질인 숙신산 알킬 에스테르 유도체는 방청성능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무게 중량법으로 평가한 80 중량ppm 농도를 첨가한 오일의 방청효율 % (IE%)는 알킬기의 사슬이 짧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최고 95% 이상이었다. 또한, 발청속도(Corrosion rate, CR)는 알킬기의 사슬이 짧을수록 낮은 값을 나타내어 80 중량ppm에서 최고 0.3 mm/year 이하를 나타내었다. 즉, 숙신산 알킬 하프-에스테르 유도체의 해수에 대한 방청성능은 분자 내에 함유되어 있는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총지방질 조성, 총지방산 조성 및 비타민E 함량의 비교 (Total Lipid and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and Vitamin E Content of Human Mature Milk, Infant Formulas and Market Milk)

  • 윤태헌;임경자;장유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9-55
    • /
    • 1984
  • 총지방질의 함량은 인유(성숙유), 조제 분유 및 시유 다같이 비슷한 수준치를 보였다. 조제 분유는 인유에 비하여 인 지방질,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에스터 등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는 유의하게 낮은 수준이었다. 시유와 인유는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에서는 비슷하였지만 기타 지방질 성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조제 분유의 인 지방질/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콜레스테롤/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총토코페롤 그리고 총토코페롤 / 총지방질의 비 모두 인유는 물론 시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총토코페롤 / 18 : 2 ${\omega}6$의 비는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인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인유, 조제 분유 및 사유의 비타민 E 함량은 미국 유아 식이의 기준치를 상회하였다. 조제 분유의 포화 지방산 중에서 탄소수 8개 이하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10개 이상의 탄소수를 갖고 있는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들이었다. 시유에서도 역시 탄소수 10개 이하의 것들과 18 : 0 등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 그리고 직쇄 및 측쇄의 기수 지방산들이 높은 경향이었고 12 : 0 은 낮았다. 불포화 지방산의 경우 인유의 18 : $2{\omega}6$은 조제 분유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인 반면 시유의 그것에 비하여 4.5 배 높은 수준이었고 탄소수 20개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들은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낮은 수준치를 갖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