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ening performance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5초

한우 육성 비육 시 보리 급여수준이 증체와 육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eeding Levels of Barley Grain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Bulls)

  • 장선식;홍성구;이병석;조영무;조원모;권응기;백봉현;송만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47-254
    • /
    • 2006
  • 본 연구는 보리의 급여수준이 한우수소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수송아지 20두(평균체중 99㎏)를 공시하여 한우수소의 육성비육 시 보리의 급여수준(육성기-비육전기-비육후기 보리 배합비; 0-0-40, FⅡ40; 0-0-60, FⅡ60; 0-20-40, F2040; 0-20-60, F2040)이 증체와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의 체중은 성장단계별 보리 급여수준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FⅡ40구의 24개월령 체중이 591.5kg으로 606.2~614.6kg 내외의 다른 처리구에 비해 다소 감소된 경향이었다. 그러나 FⅡ60구는 비육후기에 보리 60% 첨가된 사료를 섭취하면서 증체가 개선되는 경향이 있었다(P<.19). 한우수소에 대한 보리위주 사료의 급여는 생체중, 도체중과 도체율, 정육률, 거래정육률 그리고 KPH 지방과 뼈의 비율 등의 도체특성에 있어 처리 간 차이는 없었으나, 보리를 비육전기에 20%, 비육후기에 60% 급여한 F2060구의 한우수소에서 정육률과 지방률이 각각 89.82, 20.28%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이로 인해 거래정육률은 최대 5.5% 가량 낮게 나타났다. 근내지방도는 FⅡ40구 및 F2060구에서 각각 3.75, 3.60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며, 조직감 역시 FⅡ60구와 F2060구가 공히 1.6으로 다른 두 처리구에 비해 양호하였다.

육성비육 거세한우에 대한 점토광물 급여가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omestic Clay Mineral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Growing-Fattening Hanwoo Steers)

  • 강수원;김준식;조원모;안병석;기광석;손용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27-340
    • /
    • 2002
  • 거세한우 송아지 24두(평균체중 : 167.7kg)를 대상으로 점토광물 종류에 따라 4개 처리(T1 : 관행사육, T2 : Kaolinite, T3 : Bentonite, T4 : Illite)를 두어 6개월령부터 24개월령까지 비육시험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육성기, 비육전기, 비육후기 및 전기간에 각각 0.682-0.713, 0.669-0.714, 0.690-0.840 및 0.699-0.756kg으로, 육성기 및 비육전기에는 관행구가, 비육후기 및 전기간에는 점토광물구가 높았으며, 특히 Illite 및 Bentonite구가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1kg 증체에 소요된 농후사료 및 TDN 량도 각각 관행사육구에 비해 점토광물 급여구가 적었으며, 점토광물 중에서 특히 Bentonite 급여구가 적게 소요되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도체조사 결과 도체율, 정육율 및 거래정육율 등은 처리구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육량지수는 T3, T2, T4 및 T1에서 각각 69.3, 68.9, 68.8 및 68.6이었고, 근내지방도는 T3, T2, T4 및 T1에서 각각 5.1, 4.6, 4.4 및 3.3 이었으며, 쇠고기의 전단력은 3.51-6.02kg/$cm^2$으로 점토광물 급여가 육량 및 육질을 모두 개선시키며, 다즙성, 연도, 향미 등 관능검사의 구성요소 모두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쇠고기의 지방산 구성에서 포화지방산은 T2, T3, T1 및 T4의 순으로 높았고, 반대로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T4, T3, T1 및 T2 순으로 높았으며, 오레인산 함량은 Illite 급여구가 다른 급여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쇠고기의 아미노산 구성에서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T1, T2, T3 및 T4의 순으로 높아 점토광물 급여가 쇠고기의 필수아미노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골 분석결과 점토광물 급여구에서 곰탕의 탁도 및 점도가 높고 짙은 색상을 띄었으며, 미량광물질 중 P, Na 및 Mg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분석 결과, 처리구별 소득은 967.1~1,524.1천원/두이었고, 점토광물 급여가 무급여에 비해 23.7-57.6%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Bentonite 및 Illite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점토광물은 경제형질과 관련, 특정요소를 집중적으로 개선시키지는 않지만, 육량 및 육질 등 생산성과 관련된 요소들을 골고루 개선시켜 소득을 증대시키므로, 비육전기부터 출하시까지 농후사료 급여량의 2% 내외를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첨가물질의 급여가 홀스타인 거세우의 발육,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Additive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olstein Steers)

  • 조원모;양승학;이상민;장선식;김형철;홍성구;박웅렬;김현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66
    • /
    • 2012
  • 본 연구는 육질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첨가물질을 홀스타인 거세우의 성장과 도체특성에 미치는 급여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생후 5개월령 평균체중 176.6 kg, 홀스타인 거세우 24두를 3처리 8반복으로 완전 임의 배치하여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무첨가구), T1 (Vitamin C, 아연 및 유황 급여구) 및 T2 (콜린 및 라이신 급여구)로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육성기와 비육전기에서는 처리구별 차이가 없었지만, 비육후기에서는 T1처리구가 T2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T1 처리구의 출하체중은 다른 처리구 보다 비교적 높았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첨가제는 시험기간 동안 섭취량에 있어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비육후기 T1 처리구의 사료요구율이 T2 처리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육량특성에 있어 도체중 및 육량지수는 그룹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등지방 두께 및 등심단면적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T2 처리구가 비교적 낮았다. 육질특성에서는 육색, 조직감 및 성숙도는 세 처리구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근내지방도 및 육질1등급 이상 출현율에 있어서 T2 처리구와 비교하여 T1처리구가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비타민 C, 아연, 유황첨가는 홀스타인 거세우의 성장 및 도체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육성 및 비육전기의 조사료 급여형태가 홀스타인 거세우의 성장 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ughage Feeding Type during the Growing and Early-Fattening Periods on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olstein Steers)

  • 강수원;기광석;오영균;김경훈;최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69-782
    • /
    • 2005
  • Holstein 거세송아지 24두를 대상으로 육성 및 비육전기의 조사료 급여형태에 따라 3개 처리(T1: 농후사료+볏짚, T2: 농후사료+목건초, T3: 맥주박 TMR)를 두어 6개월령부터 23개월령까지 18개월간 사양시험 후 도체조사를 실시한 결과, 처리별 출하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각각 751-802 kg(평균 782.3 kg) 및 1.064-1.159 kg(평균 1.122 kg)으로 모두 T2 > T3 > T1 순으로 높았고, T2의 일당증체량이 T1에 비해 8.9%가 개선되었다. 도체율, 등지방두께 및 등심단면적은 각각 60.6-60.9 %, 6.50-7.13mm 및 82.9-84.1cm2 이었고, 근내지방도 및 육색은 각각 3.1-3.3 및 4.0-4.1 이었으며, 쇠고기의 전단력 및 보수력은 각각 4.6-4.7 및 50.7-50.9로 이들 모두는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나, 소득은 두당 882.8-991.7천원으로 T2 및 T3가 T1 보다 12-7% 더 높았다.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Holstein 거세우를 23개월령까지 비육할 경우, 근내지방도가 높은 쇠고기 생산이 가능하며, 육성 및 비육전기에 목건초나 맥주박위주의 TMR을 급여하면 볏짚보다 출하체중을 높여 소득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Flaxseed Diets on Fattening Response of Hanwoo Cattle : 1.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 Kim, C.M.;Kim, J.H.;Chung, T.Y.;Park, K.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9호
    • /
    • pp.1241-1245
    • /
    • 2004
  • Two separate trial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dietary level of whole flaxseed (WFS; 0, 10 and 15%) on feed intake, weight gain, and carcass yield and quality of Korean Hanwoo cattle. The daily gains of bulls (Trial 1)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but those of cows (Trial 2) fed WFS 15% were higher (p<0.01) than others. Feed intake of both bulls and cows tended to decrease as dietary level of WFS increased. However, feed conversion ratio (feed/gain) of bulls tended to be improved by dietary inclusion of WFS and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1) in cows by increasing level of WFS. Neither carcass weight nor dressing percentage were affected by WFS level. Back fat thickness of bulls was decreased (p<0.01) by dietary inclusion of WFS and the same trend was observed in cow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Loin-eye area of bulls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in cows fed WFS. Carcass yield and quality were not improved by WFS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WFS is an acceptable fat source in diets of finishing beef cattle to increase energy density without any adverse effects.

Effect of Fish Oil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Ruminal Metabolism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ongissimus Muscle in Korean Cattle

  • Kook, K.;Choi, B.H.;Sun, S.S.;Garcia, Fernando;Myung, K.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66-71
    • /
    • 2002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ish oil (FOS) on growth performance, ruminal metabolism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ongissimus muscle in 10 steers and 10 bulls of Korean cattle. Concentrates diet was supplemented with FOS at 5% of the diet. FOS contained 3.34%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24.87% docosahexaenoic acid (DHA) of total fatty acids by weight. Average dail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affected (p>0.871) by FOS, but feed intake was decreased. FOS had lower (p<0.003) pH and higher (p<0.001) $NH_3$-N than that of control. There was a treatment effect (p<0.001) for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s. FOS increased (p<0.009) concentrations of n-3 fatty acids, including linolenic, EPA and DHA in longissimus muscle. Physical traits were significantly (p<0.015) changed by feeding FOS except for pH and lightness (L). We concluded that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muscle in fattening Korean cattle can be altered by feeding 5% FOS.

사료용 벼를 혼합한 TMR사료 급여가 한우의 생장 능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MR Feed Mixed with Whole Crop Rice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김종근;정은찬;이연분;김학진;;김맹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7-272
    • /
    • 2021
  • 본 시험은 사료용 벼의 생산 및 이용 확대를 위해 한우에 대한 급여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도 평택에서 생산된 사료용 벼를 활용하여 TMR 사료를 조제하였고 한우육성우 16두를 대상으로 29개월령까지의 생장능력과 육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산된 사료용 벼 사일리지는 수분함량이 64.02%, 조단백질 함량이 7.54%로 나타났으며 육성기에는 약 45% 정도를 배합하였고 비육기(전기, 중기 및 후기)에는 각각 35, 15 및 9%로 낮추어 배합하였다. 체중은 WCR-TMR 급여구가 비육중기와 후기에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무거웠고, 종료시(29개월령)는 대조구가 631 kg/head 였으나 WCR-TMR급여구는 647 kg/head로 무거웠다. 일당증체는 육성기와 비육전기에 WCR-TMR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비육중기 및 후기는 차이가 없었다. 전기간에 있어서는 0.71 vs 0.75 kg/head/day 로 WCR-TMR급여구가 높게 나타났다. 육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의 등지방 두께(11.7 mm)가 WCR-TMR급여구(9.3 mm)보다 유의적으로 두껍게 나타났다(P<0.05). 등심단면적, 도체중 및 육량지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육질에 있어서는 Marbling score가 WCR-TMR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료용 벼 위주 TMR 급여는 가축의 생산성을 개선시켰으나 육질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조사료 사정이 열악한 나라에서는 사료용 벼의 생산 및 이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옥수수를 보리로 대체 급여 시 육성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placing Corn Meal with Barely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Metabolites in Growing Pigs)

  • 김회윤;김삼철;송영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1043-1049
    • /
    • 2016
  • A total of 16 growing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average weight $71{\pm}2kg$)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for 24 day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placing ground corn with barley varietie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metabolites. Each pig was housed individually in a metabolic cage with a nipple waterer and feeder. Four dietary treatments included control (a corn and soybean meal-based diet) and 3 barley varieties (Youngyang, Wooho, or Yuyeon barley replacing 40% of ground cor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were not affected by replacement of 40% of ground corn with one of the three barley varieties (p > 0.05), but final body weight was. As for blood characteristics, pig treated with all of the barley treatments had no effect (p > 0.05) on total protein, album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actate dehydrogenase (LD), and glucose in comparison with control;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levels between the control and all of the barley replaced treatment groups (p < 0.05). In conclusion, in spit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ach of the three barley varieties is a suitable substitute for ground corn in the diet of growing and fattening pigs without advers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different fermented feeds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serum biochemical indexes of fattening lambs

  • Zhang, Chen;Zhang, Chongyu;Du, Meiyu;Wang, Yunpeng;Zhang, Guiguo;Lee, Yunkyoung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633-641
    • /
    • 2021
  • Objective: The effects of adding fermented feed to a pelleted total mixed ration (PTMR)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lambs remain unclear.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ed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lambs that were fed PTMR containing fermented soybean meal (FSM) or wheat bran (FWB). Methods: Sixty 90-d-old hybrid lamb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12 pens (5 lambs/pen) that were randomly assigned to 4 dietary treatments (3 pens/treatment) with PTMR (basal diet), 2% FSM, or Lactobacillus- or yeast-FWB (L-FWB or Y-FWB) addition in the basal diet. Results: The findings showed that lambs fed 2% FSM supplemented diet had enhanced (p<0.05) average daily gain (ADG) and carcass yield (p = 0.015), while they had a decreased (p = 0.006) feed conversion ratio compared to that of other three groups. Inclusion of FSM or FWB in PTMR improved (p<0.05) the nutrient digestibility, while it reduced the urea nitrogen content in serum compared to the PTMR group. Additionally, the decreased ratio of N excretion to ADG (p<0.01) was observed with FSM and L-FWB supplementation compared with the PTMR and Y-FWB groups. Conclusion: In conclusion, feeding the fermented feed-supplemented diet improved nutrient digestibility and growth performance, and 2% FSM-supplemented diet exhibited superior production-promoting efficiency to lambs.

Evaluating productive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oxidation products of Italian White breed rabbits under free-range and cage rearing system

  • Tufarelli, Vincenzo;Tateo, Alessandra;Schiavitto, Michele;Mazzei, Domenico;Calzaretti, Giovanna;Laudadio, Vito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6호
    • /
    • pp.884-891
    • /
    • 2022
  • Objective: Free-range systems have been increasingly available to the consumer due to increased demand for more sustainable meat-products. In the current study, the effect of free-range (FR) and cage system (CS) was explored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oxidation products in Italian White breed rabbits during the growing-fattening phase (5 to 13 weeks of age). Methods: Forty rabbits were randomly allotted to two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the rearing system, and each treatment group was replicated five times with four subjects in each replicate (20 rabbits per treatment-group). All rabbits fed the same diet as pelleted, and under FR system, no additional feeds were available to animals. Results: Rearing system had significant effect on rabbit growth performance, where CS group resulted in higher final body weight (p<0.045) and gain (p<0.029) and better feed efficiency (p<0.025) compared to FR rabbits. Most carcass traits were not affected by rearing system; however, a reduction of abdominal fat content (p<0.015) and meat lipids (p<0.034) was observed in FR rabbits. Rearing system had no effects on meat fatty acid profile, whereas meat from FR rabbits resulted less susceptible to lipid and protein oxidation compared to caged animals. Conclusion: In overall, FR system could be suggested as a substitute for conventional caged system because of FR system preserved rabbit meat from ox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