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igue subjective symptoms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초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사회심리적 요인,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와 간호서비스의 질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Job Stress Contents, Fatigue Symptoms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이명준;윤석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69-581
    • /
    • 2016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요인(A형 행동유형, 자기존중감, 통제신념, 불안),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와 간호서비스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의 6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5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자기존중감, 업무의 자율성, 상사 및 동료의 지지도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간호서비스의 질이 낮은 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전반적 피로 및 상황적 피로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간호서비스의 질이 낮은 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직업에 대한 적성이 맞는다는 군, 자기존중감이 높을수록, 불안감이 낮을수록, 동료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전반적 피로가 낮을수록 간호서비스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간호서비스의 질은 사회심리적 요인,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비닐하우스 농작업자의 피로도와 주관적 신체증상에 관한 연구 (A Cross-Sectional Study on Fatigue and Self-Reported Physical Symptoms of Vinylhouse Farmers)

  • 임경순;김정남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15-29
    • /
    • 2003
  • 본 연구는 비닐하우스 농작업자의 만성적인 피로도와 주관적 신체증상의 정도를 파악하여 비닐하우스 농작업자들이 건강을 예방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필요한 중재방안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3년 5월 25일부터 2003년 6월 25일까지로, 1개 보건진료소가 관할하고 있는 지역의 비닐하우스 농작업자 16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일본산업위생협회 산업피로연구회[13]가 개발한 30개 항목의 피로자각증상과 Lee 등[7]이 사용한 주관적 신체증상 도구를 기초로 선행연구의 고찰 및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건강행위 요인, 농작업 특성, 농약살포 행위는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 48.8%, 여자 51.2%로 50-59세가 36.7%로 가장 많았으며, 초졸이하가 50.0%,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인지상태는 주위사람과 비슷하거나 나쁘다고 인지하는 정도가 79.5%였다. 둘째, 건강행위 요인으로는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가 88.6%, 세끼 식사는61.5%가 규칙적으로, 수면시간은 8시간 이상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경우가 28.9%, 5시간 이하 24.1%이었으며, 흡연자 27.1%, 음주자 30.7%, 1년 이내 건강검진율38.6%로 나타났다. 셋째, 농약살포 행위로는 년간 농약살포 횟수가 18회 이상 44.6%로 매우 높았다. 농약살포 후 목욕을 하는 경우가 73.5%, 농약살포시 보호장비 미착용자가 45.2%, 농약살포시 직접살포 51.2%, 농약살포 후 하우스내 재입실 시간은 65.1%가 4시간이 경과한 후 이었으며, 살포 후 즉시 들어가는 경우도 17.5%로 나타났다. 92.2%가 농약살포 후 환기를 하였으며, 대부분 오후 4시 이후에 농약살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2.9%). 농약중독 경험은 77.1%가 없다고 하였다. 넷째, 농작업 특성으로는 총농사기간 40년이상이 28.9%, 20년 이하 20.4%, 비닐하우스 작업기간은 16년 이상이 55.4%, 일일노동시간은 10시간 이상이 67.4%, 일일 하우스내 작업시간은 10시간 이상이 29.5%로 가장 높았으며, 년간 재배기간은 9개월 이상 38.0%, 경작면적은 61.5%가 2,000평 미만이었다. 주로 쪼그리고 앉아서 작업하였으며(56.6%), 농작업 동반가족은 부부가 하는 경우가 72.3%로 나타났다. 다섯째, 피로도는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에서 23.9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50대가 20.89점으로 높았다. 성별로 여자의 피로도(21.64점)가 남자(17.35점)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212, p<0.05). 교육정도에 따른 피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인지한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피로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20.610, p<0.001). 운동회수에 따른 피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식사습관이 불규칙할수록(t=-3.883, p<0.001), 수면시간이 짧을수록(F=3.937, p<0.05) 피로도가 높았다. 비음주자(19.92점)가 음주자(18.69점)보다 피로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흡연자(20.40점)자 비흡연자(19.22점)보다 피로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건강검진을 안받은 사람의 피로도는 21.76점, 1년전에 받은 경우 18.05점으로 최근에 검진을 받을수록 피로도가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농약살포 후 목욕을 하지 않을 때 피로도가 높았다(t=-2.950, p<0.01). 농약중독 경험이 있을 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농작업의 특성에 따른 피로도는 일일 노동시간이 길수록(F=5.633, p<0.01), 일일 하우스 내 작업시간이 길수록 (F=5.247, p<0.01) 피로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주관적 신체증상은 30대가 7.00점, 70세 10.90점이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며, 성별에 따라 남자보다 여자가 신체증상 점수가 높았다(t=-3.176, p<0.01).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신체증상점수가 높았으며(F=3.467, p<0.05), 인지한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주관적 신체증상 점수도 높았다(F=35.335, p<0.001). 불규칙적인 식사습관인 경우 주관적 신체증상 점수가 높았다(t=-3.384, p<0.01). 수면시간이 짧을수록 신체증상 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농약살포 후 목욕을 하지 않은 경우(t=-3.188, p<0.01)와 농약의 간접살포(t=-2.312, p<0.05)시 주관적 신체증상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농약살포 후 환기를 안 한 경우와 중독경험이 있는 경우 주관적 신체증상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농약살포 후 즉시 비닐하우스에 재입실한 경우 주관적 신체증상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재입실시간에 따른 주관적 신체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총농사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신체증상 점수가 높았으나(p<0.05), F검증 사후분석에서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닐하우스 작업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신체증상 점수가 높았으나 (p<0.05), F검증 사후분석 결과 기간에 따른 신체증상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일 노동시간이 길수록(F=3.215, p<0.05), 일일 하우스내 작업시간이 길수록(F=4.730, p<0.01) 주관적 신체증상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년간 재배기간, 경작면적, 작업자세와 농작업 동반가족수에 따른 주관적 신체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달성군의 1개 보건진료소 지역에 국한하여 조사되었으므로 다른 지역의 비닐하우스 농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반복적 연구가 필요하며, 주로 신체적인 증상에 대한 조사로 다른 연구에서 농작업자들의 정서적, 심리적인 문제를 포함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닐하우스 농작업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비닐하우스 농작업자를 위한 지도지침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운동을 포함한 올바른 생활양식의 지속적인 실천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략과 농촌의 사회 문화적인 환경을 고려한 포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텔레비젼(TV)생산업체 근로자들의 영상단말기(VDT)작업이 시력과 안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DT Work on Vision and Eye Symptoms among Workers in a TV Manufacturing Plant)

  • 우극현;최광서;정영연;한구웅;박정한;이종협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5권3호
    • /
    • pp.247-268
    • /
    • 1992
  • 영상단말기 (VDT)작업이 시력과 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991년 7월에서 10월 사이에 구미시의 1개 TV생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들 가운데 채용 당시 안과적으로 문제가 없었고, 나안시력이 1.0 이상인 40세 미만 남자 338명을 대상으로 일일 평균 화면작업시간이 4시간 미만인 근로자(I군, 60명)와 4시간 이상인 근로자(II군, 204명)를 폭로군으로 하고 유사한 작업환경에서 근무하는 비화면작업자(74명)를 비폭로군으로 나누어 연령, 작업경력, 교대근무형태, 확대경 사용유무, 1일 평균 TV시청 시간 및 수면시간과 그리고 안자각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안과적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사시 원거리시력 (양안의 평균시력)이 채용시에 비해 0.15 이상 저하된 비율은 II군이 20.6%로 비화면작업군의 14.9 %, I군의 15.0 % 보다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는 아니었다. 연령, 작업경력, 확대경 사용유무, 교대근무형태 등에 따라 층화하여 원거리시력 저하율을 비교해 본 결과 세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근거리시력 저하율도 비화면작업군이 28.4 %, I군이 18.3 %, II군이 27.5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 등 4가지 독립변수를 층화하여 비교해 보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자각증상 호소율은 안피로를 포함한 7가지 항목에서 눈물이 나는 것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비화면작업군에 비해 I군이, I군 보다는 II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화면작업자 264명 가운데 조명이 나쁜 장소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원거리시력 저하율과 안자각증상 호소율이 조명이 좋은 작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보다 더 높았다(P<0.05). 7가지 안자각증상을 각 증상 마다 늘 느끼는 경우는 2, 가끔 느끼면 1, 느끼지 않으면 0으로 점수화하여 개인별 총 안증상 점수를 구해 세 군간에 원거리시력 차이 유무별로 비교해 본 결과, 시력차 유무에 따른 평균 안자각증상 점수의 차는 없었으나 시력차 유무에 관계없이 II군의 평균 안자각증상 점수가 6.13 으로 I군(3.53) 또는 비화면작업군(3.30) 보다 훨씬 더 높았다(P<0.01). 안자각증상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독립변수들은 화면작업시간, 확대경 사용유무, 교대근무형태 등이었고, 채용시와 조사시 원거리시력 차이, 원거리시력과 근거리시력 차이, 누액분비기능, 안압, 굴절력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독립 변수는 하나도 없었다. 안자각증상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중선형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화면작업시간이 길수록, 단부제나 2교대 근무자보다 3교대 근무자에서 유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본 조사에서는 1일 장시간 VDT작업으로 시력이 저하되는 것은 관찰할 수 없었고 안자각증상은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자각증상의 예방을 위해 VDT 작업장의 조명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장시간 연속해서 작업하지 않도록 작업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 PDF

미용업 종사자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피로도가 근골격계질환 관련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otional Labor, Stress, and Fatigue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the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 이혜영;최순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2년 추계학술대회
    • /
    • pp.393-401
    • /
    • 2012
  • 본 연구에서의 미용업 종사자의 감정노동, 직무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피로도가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그 결과 미용업 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사자는 신체부위 중 어깨의 근골격계질환 관련 자각증상자가 가장 많았으며, 목, 허리, 손목, 팔, 발, 무릎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업 종사자의 감정노동 각 문항별 평가 결과는 '나는 기분이 나쁠 때 고객들에게 표현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한다'의 문항이 3.9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표현되는 행동과 실제 감정의 차이 때문에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2.61점으로 나타났다. 미용업 종사자의 작업 관련 심리적인 요인이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근골격계질환자가 무증상자에 비하여 감정노동과 피로도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낮아지지만 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 간접적인 영향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가 피로도를 통해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용 종사자의 작업 관련 물리적 심리적 개선 방안 마련이 요구되면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정책적 관리 방안 마련을 제안한다.

  • PDF

성악가의 음성위생 습관과 한국어판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특성 (Voice hygiene habi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among classical singers)

  • 강하늘;김선희;유재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49-5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ocal hygiene habits and Korean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among classical singers. A total of 128 classical singers filled an online voice and K-VRQOL questionnair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K-VRQOL according to age group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istory of voice problems, we conducted a two-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the 128 classical singers, 28 (21.9%) with a history of voice problems said that excessive conversation, singing practice, and yelling were the causes of their voice problems. The symptoms of voice problems were fatigue, loss of range, hoarseness, and breathiness. In addition, classical singers were less likely to smoke, or to drink alcohol or caffeine. The K-VRQOL was highly correlated with all sub-domain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groups (p<.05) and history of voice problems (p<.01).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ge groups and history of voice problems. Voice management is important because classical singers can ruin their voice by speaking, and the risk of voice disorder is high. Voice problems affect quality of lif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subjective voic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singe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voice hygiene habits and VHI, SVHI, and K-VRQOL.

수원지역 노인들의 여가활동유형이 건강상태와 비만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isure Type on Health Status and Obesity Index of Senior Citizens in Suwon Area)

  • 김윤혜;이복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4-350
    • /
    • 2006
  • The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regular leisure activity of the elderly with active and passive types has a beneficial effect to enhance their health condition. The elderly subjects of 164 (82 of elderly who do active leisure and 82 of elderly who do passive leisure) aged over 60 years in Suwon area were employ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life style, and health status along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 From the findings, the elderly who do active leisure were highly educated and better in living status. The elderly who do passive leisure showed higher drinking and smoking rates as well as higher obesity and overweight rates in comparison to the other counterpart. Furthermore, the elderly who do passive leisure were poor in health status. 'Painful knee and eye', 'lower back pain', and 'fatigue' were the most prevalent among subjective symptoms of the elderly. In conclusion, the elderly with active leisure activity seemed to have better life style and maintain good health status. Therefore,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establish the health program combined with various leisure activity for the seniors to promote and energize the later years of life.

감로수(甘露水)를 이용한 절식요법의 임상결과에 관한 후향적 관찰연구 (Clinical Outcomes after Modified Fasting Therapy Supplied with Gamrosu: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신승우;김동환;신현택;오달석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49
    • /
    • 2016
  • Objectives: Two historical evidence supported the concept of Gamrosu. The first one was Jeho-tang, a selected thirst quencher in Chosun Dynasty and the second one was Saeng-Maek-san, Dongeuibogam's recommendation as one of the qi-vigorating summer beverages. Gamrosu is a modified fasting therapy beverage which is manufactured from those two prescriptions and the carbohydrates (420.6 kcal/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Methods: Thirty-three cases were reviewed at three local Korean Medical clinics that each site's participant has finished the modified fasting for 10 consecutive days. Clinical outcomes were reviewed at pre- and post-fasting sessions by retrieving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chemistries & urine tests, and subjective symptoms & fatigue scores. Results: Demographics of the observed participants were 17 of male and 16 of female. Post-Gamrosu session, -6.89% of body weight, -8.97% of body fat mass were reduced with the nutrition indices being improved (P<0.001). -8.72% of systolic blood pressure, -39.86% of serum triglyceride, -6.75% of fast blood sugar and -8.12% of waist circumference were improved (P<0.05). The levels of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58.34%), CRP (-43.55%) and eosinophil (-21.30%) showed the significant diminished profiles (P<0.05). Liver/kidney functions and the standard of electrolytes were maintained within normal range in stable manners. The fatigue scale scores indicated significant lower scores. Conclusions: Taken together, obesity-related clinical outcomes after a modified fasting therapy with Gamrosu were sufficiently feasible and the observed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for further prospective clinical studies.

It is Time to Have Rest: How do Break Types Affect Muscular Activity and Perceived Discomfort During Prolonged Sitting Work

  • Ding, Yi;Cao, Yaqin;Duffy, Vincent G.;Zhang, Xuefe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2호
    • /
    • pp.207-214
    • /
    • 2020
  • Background: Prolonged sitting at work can lead to adverse health outcomes. The health risk of office workers is an increasing concern for the society and industry, with prolonged sitting work becoming more prevalen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variation in muscle activities during prolonged sitting work and found out when and how to take a break to mitigate the risk of muscle symptoms. Method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revalence of muscle discomfort in sedentary work. Firstly, a 2-h sedentary computer work was designed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muscle activities. Twenty-four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electromyography (EMG) measurement study. The EMG variations in the trapezius muscle and latissimus dorsi were investigated. Then the intervention tim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EMG measurement study. Secondly, 48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every break type (passive break, active break of changing their posture, and stand and stretch their body with 5 or 10 mins). Finally, data consisting of EMG amplitudes and spectra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discomfort were analyzed. Results: In the EMG experiment, results from the joint analysis of the spectral and amplitude method showed muscle fatigue after about 40 mins of sedentary work. In the intervention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tanding and stretching for 5 mins was the most effective break type, and this type of break could keep the muscles' state at a recovery level for about 30-45 mins. Conclusions: This study offers the possibility of being applied to office workers and provides preliminary data support and theoretical exploration for a follow-up early muscle fatigue detection system.

일부 도시지역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o the Physical Fatigues in Middl and High School Students)

  • 송인순;조영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1-13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basic model to monitor the health statu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dolescent period, as well 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which might serve as the new standards for their better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The collected data compri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he three different fields of life such as school, family and everyday, which could affect their physical fatigues, and they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actors of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ir physical fatigues and to reveal their relativity. A total of 5,954 students at 6 boys' and girls' middle and high schools in Taejon City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to measure Health Practice Index and others) asking about each of three life domains during the period March through June, 2000. The key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more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which may be a marker reflecting physical health status,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higher scores were associated, based on school life, with the groups who were boys, who were in lower school grades, who achieved better academic performances and had better relationship with friends. 2. As for family life, the higher scores were in the groups whose financial conditions were better, whose parents showed more interest to their children, whose sense of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was higher, and whose health status was better. 3. As for life styles, the individuals showed the higher scores in the groups who had breakfasts daily, who didn't have inter-meal snacks, who took regular exercises, who didn't smoke and drink than, their counterparts. 4. The higher level of fatigue was associated with the groups whose health conditions were good, who a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who were boys rather than girls, who are satisfied with family life, who didn't have inter-meal snacks, who were in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who achieved greater academic performances, who took regular exercises, who didn't smoke, and whose parents showed more interest in their children.

자동 미세침이 말초성 안면마비 환자의 증상 정도 및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 관찰 (Clinical Observation of Effect on Severity of Symptoms and Safety of Auto-microneedle Therapy in Patients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 이웅인;권유정;김현호;유제혁;김경욱;강중원;이상훈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35-42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observe clinical application of auto-microneedle therapy system (AMTS) in patients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Methods : 27 peripheral facial paralysis patients were observed after taking AMTS at Facial Palsy Center, Kyung Hee University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March 1, 2011 to January 9, 2012. We assessed the symptoms of facial paralysis with Yanagihara unweighted grading system, Sunnybrook facial grading system(SBGS) and facial disability index(FDI), and observed adverse events and total safety of the treatment. Results : The scores of facial palsy scales increased after AMTS in Yanagihara grading system and Sunnybrook facial grading system. AMTS-related adverse events were mild pain(5.9%) and fatigue(3.5%), which needed no extra treatment. The total safety evaluation was between 'safe' and 'nearly safe' level. There were no other serious adverse events. In addition,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subjective improvement including facial tingling and numbness. Conclusions : AMTS can be applied as an adjun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due to its safety and clinical usefulness. It is easier to stimulate wide skin area in a short time. Further clinical research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TMS in a more rigorous R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