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t ion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2초

폐 FRP 선박에서 분리하여 얻은 F섬유의 염기성 용액에서의 강도저하 (Strength toss of F-Fiber Obtained from Recycling FRP Ship in a Basic Solution)

  • 이승희;김용섭;윤구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45
    • /
    • 2008
  • FRP 선박에서 발생하는 폐FRP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분쇄하지 않고 판상으로 박리(剝離)하는 것을 제시한 바 있다. 폐 FRP에서 분리한 층상의 로빙층으로부터 얻은 F섬유는 FRP제조시 사용하였던 수지를 포함하여 원 유리섬유에 비해 그 인장강도가 우수하다(90% 이상). F섬유의 SEM 이미지로 많은 수지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F섬유의 활용성을 건축자재에서의 대체물로 가정하고 염기성 용액(NaOH+KOH)에서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일어날 수 있는 반응 메카니즘은 유리섬유의 Si-O-Si결합 조직을 수산기 이온($OH^-$)이 공격하는 것으로 보았다. 측정된 인장강도 변화에 대해 $r^2$=96%로 맞추어 얻은 시뮬레이션 그래프로 반응 메카니즘을 추정할 수 있었다. 반응 초기에는 속도적인 반응에 의해 급격한 강도저하를 보이나 30일 이후에는 수산기 이온의 확산에 의존하는 패턴으로 강도가 저하되었다. 이는 앞서 보고된 AR유리에 대한 강도저하와 유사한 결과이며, 그래프를 외연하여 F섬유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산에 의한 우유단백질의 응고속도에 염과 온도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s and Temperature upon the Rate and Extent of Aggregation of Casein during Acidification of Milk)

  • 김병용;김명환;킨셀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2-48
    • /
    • 1992
  • 0.1N HCl 이용하여 빠른 산성화를 시켰을 때에 우유의 응고속도와 그 정도는 온도와 pH에 따른 점도 변화와 혼탁도 변화로서 측정하였고, DGL을 이용하여 천천히 산성화 시켰을 때에 우유의 겔화 과정은 rheological scanner로서 측정하였다. 우유의 겔화 과정은 rheological scanner로서 측정하였다. 우유 casein의 응고는 pH 5.0에서의 돌연한 점도증가로서 나타났으며 산에 의한 응고형성의 기점 pH로 삼았다. 산에 의한 응고속도는 $20^{\circ}C$에서 $50^{\circ}C$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빨라졌고 최대 응고속도는 pH5.0에서 일어났다. 염($CaCl_{2}$)의 첨가는 모든 온도범위에서 최대 응고속도를 감소시켰으며 응고가 시작되는 pH 및 최대 응고속도가 일어나는 pH를 변화시켰다. 천천히 산성화 동안에 생성되는 겔의 초기 형성 시간과 조직 형성속도는 Cl 이온에 의해 촉진되고 SCN 이온에 의해 억제되었다. 겔에서 생겨나는 syneresis 현상은 저온으로 갈수록, pH가 4.6에 접근할수록 심했으며, $90^{\circ}C$에서 5분 동안 열처리한 우유에서는 가열온도($60{\sim}90^{\circ}C$)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 PDF

Dispersive Solid Phase Extraction을 사용한 우유 내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 분석법 비교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nalytical Methods used to Determine Pesticide Residues in Milk via Dispersive Solid Phase Extraction)

  • 오남수;신용국;이지영;백승천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27-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dispersive-SPE를 사용하여 간편하고, 신속하며, 경제적인 우유 내 19종 잔류농약의 동시 다성분 분석법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Liquid-liquid partitioning method와 low-temperature cleanup method를 적용한 추출방법과 PSA 및 PSA + C18의 sorbent가 사용된 dispersive-SPE를 사용한 정제방법을 비교 실험하였으며, GC/MS의 선택이온 검색법(selected ion monitoring, SIM)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matrix-matched standards와 matrix-free standards를 사용하여 분석방법의 matrix enhancement effect를 확인하였고, 분석방법 설정을 위한 비교실험의 결과, low-temperature cleanup 방법으로 추출하여 dispersive-SPE(PSA + C18)로 정제하는 방법이 시료 추출물의 간섭물질을 제거하는데 가장 효과적이고, 첨가한 $1{\mu}g/mL$에 대한 개별 농약 성분의 회수율 또한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농약 성분의 RSD(%)가 20% 이하로서 기준에 적합한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 PDF

Pseudomonas aeruginosa KLP-2가 생산한 Pyocyanine의 항균활성 및 생리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yocyanine Produced by Pseudomonase aeruginosa KLP-2)

  • 박은희;이상준;차인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83-488
    • /
    • 2001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생물학적 제제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제제개발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Pseudomonas aeruginosa KLP-2가 생산하는 항균성 물질을 동정하고, 생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항균성 물질을 전제하여 FAB-MS로 확인한 결과 pyocyanine으로 동정되었으며, 진청색의 needles 성상을 나타내었고 chloroform, methanol, ethyl acetate와 같은 용매에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yocyanine의 UV spectrum은 methanol에서 최대 흡광치(318 nm)를 보였고, FAB-MS로 확인한 결과 m/z 211에서 protonated molecular ion(M+H)$^{+}$ 이 관찰되었으며, 분자식은 $C_{13}$H$_{10}$ N$_{2}$O로 확인되었다. Pyocyanine 은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luteus, Rodococcus equi,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faecalis, E. coli. Kegionella peneumophila, Shigella flexneri, Shigela boydii, Shigella sonnei, NAG Vibro cholerae, Vibrio parahaemolyticus, Vibro vulnificus, Yersinia enterocolitica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등의 다양한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여 비교적 넓은 항균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Legionella pneumophila에 대하여 0.5$\mu$g의 pyocyanine을 함유한 disk가 48mm의 억제환을 타나내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 PDF

L-Ascorbic Acid의 산화특성에 따른 화장품 용기 개발 및 유효성 분석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smetic Container Based on L-Ascorbic Acid Oxidation Property)

  • 윤성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9-158
    • /
    • 2013
  • 피부 미백, 콜라겐 합성 및 노화방지 등에 좋은 효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다양한 보관 조건(분말 상, 수용액 상, 온도 변화, 자외선 조사 및 외부공기 유입 등)에서 산화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열에 의한 산화 및 분해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중 공간을 갖는 파우치를 사용하여 L-ascorbic acid를 분말 상태 및 에센스와 혼합한 상태에서 각각 보관 조건에 따른 산화특성을 분석하여 파우치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열 특성조사를 위해서는 TGA, DSC 및 FT-I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산화특성 조사를 위해서는 UV-visible spectrophotometer와 산화환원 적정법을 병행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L-ascorbic acid는 금속이온, 하이드록시이온 등이 많이 함유된 수용액 상에서 고온, 자외선 조사 및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태가 가장 빠른 산화조건인 것으로 나타났고, 순수한 분말 상으로 보관할 경우에는 가열, 자외선 조사 및 외부공기 유입 시에도 오랜 기간 동안 산화되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L-ascorbic acid와 같은 산화 안정성이 떨어지는 활성 성분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 중인, 진공포장이 가능한 이중 공간 구조의 파우치를 사용할 경우 화장품 보관기간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에 관한 연구(硏究) -[제육보(第六報)]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점도변화(粘度變化)에 미치는 미생물(微生物)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Mucilage of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Part VI] The Influence of Microorganism for the Viscosity-)

  • 온두현;김종면;임제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2호
    • /
    • pp.101-108
    • /
    • 1979
  •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촉규모(黃蜀葵根) 점액(粘液)을 Bacillus subtilis ATCC 6633 Escherichia coli 1410등(等) 세균(細菌)의 증식배지(增殖培地)로서 매우 적합(適合)하고, $30^{\circ}C$, 24시간(時間)에 세균증식극기(細菌增殖極期)에 이른다. 2. 상대점도(相對粘度) ${\eta}_{\gamma}=10$으로 조제(調製)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약(點藥)의 점도(粘度)는 초기(初期)에 급격(急激)하게 저하(低下)되고 24시간(時間)이 경과(經過)된 다음에는 거의 일정(一定)하다. 항생물질(抗生物質)의 첨가(添加)나 고압가열조작(加熱操作)을 행(行)하여 점도저하(粘度低下)의 경향(傾向)을 어느정도(程度) 작게 할 수는 있으나 저하(低下)를 완전(完全)히 억제(抑制)할 수는 없다. 3. 황촉규근점액내(黃蜀葵根粘液內)의 당함량(糖含量)은 대분로 보아 세균(細菌)의 증식(增殖)에 따라 감소(減少)한다. 점액내(粘液內) 세균증식(細菌增殖)에 따른 세균수(細菌數)와 점도(粘度)의 저하(低下)는 서로 역상관관계(逆相關關係)가 이루어지나 당함량(糖含量)과의 관계(關係)는 모든 경우 반드시 역산관관계(逆相關關係)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4.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내(粘液內)의 세균증식(細菌增殖)에 따른 수소(水素)이온 농도(濃度)는 초기(初期)에는 약간(若干) 저하(低下)하는 경향(傾向)을 보이나 12시간(時間)이 경과(經科)된 다음에는 세균(細菌)의 증식(增殖)에 적합(適合)한 액성(液性)을 나타낸다. 5. 황촉규근(黃蜀葵根) 점도(粘度)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요인(要因)에 의한 점도(粘度) 저하(低下)를 점액(粘液)의 fluidity ${\phi}$와 점액(粘液)의 점도저하속도(粘度低下速度) k와 관련(關聯)시켜 동역학적(動力學的)으로 고찰(考察)하여서 $l_n{\phi}_2l{\phi}\;=\;k_2-k_1$으로 나타낼 수 있는 근사(近似)한 관계식(關係式)이 유도(誘導)되며 이 식(式)으로 실험(實驗)의 결과(結果)가 잘 설명(說明)된다.

  • PDF

개방 단말 동축선을 활용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이성분계 혼합물의 유전 이완 측정과 해석 (Open-ended Coaxial Probe Technique for the Dielectric Characterization of Prop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and Their Mixtures from 0.1 to 8 GHz at 288.15, 298.15, and 308.15 K)

  • 김효중;송승완;윤태준
    • 청정기술
    • /
    • 제30권3호
    • /
    • pp.228-238
    • /
    • 2024
  • 리튬 이온 전지 전해액은 양극과 음극 사이 리튬 이온의 이동의 매개체로 배터리의 수명과 셀 특성 등을 결정한다. 특히 전해액의 유전율은 염을 해리할 수 있는 용매의 능력으로 전해액 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물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해액의 유전율을 빠르고 높은 신뢰도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개방 단말 동축선(open-ended coaxial probe, OECP) 시스템을 구축하고 prop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및 이들 혼합물의 복소 유전율을 0.1 ~ 8 GHz의 주파수 영역과 288.15, 298.15, 그리고 308.15 K의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정적 유전율 자료는 기존 문헌과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Wang-Anderko 열역학 모형으로 1% 내외의 정확도로 상관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유전 이완 시간과 이완 함수의 지수 항 등의 이완 파라미터의 분석 결과 전해질 혼합물의 구조는 propylene carbonate의 몰분율이 0.4일 때를 기점으로 크게 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구축한 OECP 시스템이 다양한 전해질의 유전율을 신속하고 높은 신뢰도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들의 미시 구조를 해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신생흰쥐 척수후근신경절 세포에서 전압의존성 $K^+$ 전류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Voltage-Gated Potassium Currents in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of Neonatal Rats)

  • 김지목;정승준;김상정;김전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6호
    • /
    • pp.613-624
    • /
    • 1997
  • Dorsal root ganglion (DRG) is composed of neuronal cell bodies of primary afferents with diverse functions. Various types of ion channels present on DRG neurons may reflect those functions. In the present study, voltage-gated potassium currents in DRG neurons of neonatal rats were characterized by whole-cell voltage clamp method. Two types of delayed rectifier and three types of transient potassium current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ir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The delayed rectifier currents were named $I_{Ke}$ (early inactivating) and $I_{K1}$ (late inactivating). Steady state inactivation of $I_{Ke}$ began from -100 mV lasting until -20 mV. $I_{K1}$ could be distinguished from $I_{Ke}$ by its inactivation voltage range, from -70 mV to +10 mV. Three transient currents were named $I_{Af}$ (fast inactivation), $I_{Ai}$ (intermediate inactivation kinetics), and $I_{As}$ (slow inactivation). $I_{Af}$ showed fast inactivation with time constant of $10.6{\pm}2.0$ msec, $I_{Ai}$ of $36.9{\pm}13.9$ msec, and $I_{As}$ of $60.6{\pm}2.9$ msec at +30 mV, respectively. They also had distinct steady state inactivation range of each. Each cell expressed diverse combination of potassium currents. The cells most frequently observed were those which expressed both $I_{K1}$ and $I_{Af}$, and they had large diameters. The cells expressing $I_{Ke}$ and expressing $I_{Ke}$, $I_{Ai}$, and $I_{As}$ usually had small diameters. Judging from cell diameter, capsaicin sensitivity or action potential duration, candidates for nociceptor were the cells expressing $I_{Ke}$, expressing $I_{Ke}$ and $I_{Ai}$, and expressing $I_{Ke}$ and $I_{As}$.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potassium currents in neonatal rat DRG were similar to those of adult rat DRG (Gold et al, 1996b).

  • PDF

Mo2C/Mo2N 나노 입자와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가 복합된 나노 섬유 중간층이 적용된 리튬-황 전지 (Nanofibers Comprising Mo2C/Mo2N Nanoparticles and Reduced Graphene Oxide as Functional Interlayer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 이재섭;양지훈;조중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74-581
    • /
    • 2022
  • 리튬-황 전지의 기능성 중간층으로 그래핀과 Mo2C/Mo2N 나노입자로 구성된 나노섬유(Mo2C/Mo2N rGO NFs)를 사용하였다. Mo2C/Mo2N 나노입자는 섬유 구조 내 고르게 분산되어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화학적 흡착을 위한 활성 사이트 역할을 함으로써 전해질로의 용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구조 내 매트릭스로 구성된 그래핀 나노시트는 충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이온 및 전자의 빠른 이동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반응 시 산화/환원 반응을 원활하게 하여 높은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재사용을 보장하였다. 그 결과 Mo2C/Mo2N rGO NFs로 코팅된 분리막을 기능성 중간층으로 사용, 순수 황 전극(황 함량 70 wt%, 황 로딩 2.1 mg cm-2)으로 제작된 리튬-황 전지는 0.1 C에서 400회 충방전 후 476 mA h g-1의 안정적인 방전 용량을 나타냈으며, 1.0 C의 높은 전류밀도에서도 574 mA h g-1의 방전용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나노구조체 합성 전략은 고성능 리튬-황 전지 용 기능성 중간층 및 다양한 에너지 저장 소재분야로의 확장이 가능하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trains for Biological Control

  • Kim, Han-Soo;Park, Jiyong;Cho, Sung-Won;Park, Kee-Hyun;Lee, Gung-Pyo;Ban, Soo-Jung;Lee, Chang-Roo;Kim, Chung-Su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3호
    • /
    • pp.196-201
    • /
    • 2003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Bacillus strains GB-017 and GB-0356, which produce antifungal substances, especially for plant pathogens. In additi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haracterize the culture condition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and to document some of the properties of the antifungal substance produced by these soil-isolated strains. Strains GB-0365 and GB-017 were found to be bacillus-shaped, gram-positive and motile, and to inhibit Botrytis cineria, Fusarium sp., Pythium sp., and Rhizoctonia solani. Antagonistic activity was maintained up to pH 9.0, and the antifungal activity was stable to heat at 80$^{\circ}C$ for 1 h. Antifungal substances were separated and purified using ion exchange and adsorption columns including WK-I0(H$\^$+) (pH 7.0), HP20 column (pH 3.0) and IPA (pH 3.0). and IPA. Its UV absorption spectrum showed major peaks at 231 and 259 nm, corresponding to polyene and lactone. A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um (FAB MS) showed a highest peak at 441 m/z and major peaks at 192, 205, and 370 m/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