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hion design.

Search Result 7,38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대형 유통매장의 고객을 위한 IoT기반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IoT-based Drive Through Service System for Customers in Distribution Stores)

  • 민소연;이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51-157
    • /
    • 2017
  • 최근 유통산업에서는 Future Store(미래형 매장)를 통해 효율적인 매장운영과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매장의 지능화는 IoT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적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매장운영과 고객의 쇼핑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러한 유통산업에서의 추세의 변화는 국내 유통업계에 이미 발전기를 거쳐 성숙기로 접어들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미국 및 유럽 등 유통산업이 먼저 성숙한 국가의 경우에서도 최근의 추세는 운영의 효율성과 고객서비스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이미 수많은 유통업체들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함이다. 본 논문은 유통 매장의 고객의 상품주문 후 수취 서비스의 자동화와 효율화를 위한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에 대한 연구로서 고객이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을 주문하면 피킹 스케줄링 에이전트를 통해 적시에 상품 패킹 및 피킹 처리를 한다. 이후 고객이 매장 주차장에 입장하면 입장 정보와 파킹 위치를 파악하여 고객에게 신속하게 상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 시스템 구성, 서비스 프로세스,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에 의한 상품 피팅 스케쥴링 기법 및 주문상품 수취 및 확인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한 서비스는 유통매장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 유통매장 배송 시스템, 유통 물류 디지털 피킹 시스템, 실내외 대형 주차관리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며, 유통매장의 IoT 기술 적용을 통한 한 차원 높은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리콘-탄소나노튜브 센서 기반의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 웨어 개발 (Development of Self-trainer Fitness Wear Based on Silicone-MWCNT Sensor)

  • 조성훈;김경미;조하경;원유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93-503
    • /
    • 2018
  • 최근 국민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갖고 발병 이전의 예방관리를 위하여 운동을 통해 셀프트레이닝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근육의 언발란스는 자세의 비대칭성을 초래하고 인체의 비대칭성이 깨지게 되면 조정력, 순환작용, 내장기관의 변위 등을 동반하게 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가 속속 나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스마트웨어 중에서 셀프트레이닝이 가능한 피트니스 웨어를 개발하고, 안드로이드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시뮬레이션 함으로서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웨어 상용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웨어의 개발을 위하여 전도성 폴리머, 패션 디자인 및 봉제, 전기전자적인 기술이 융합하여 운동시 근육의 언발란스를 확인하고 스스로가 비대칭성을 교정할 수 있는 스마트웨어를 만들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최적 MWCNT 농도의 도출을 통한 폴리머 센서를 제작하고 도전성 섬유를 활용한 전극 신호선을 설계 및 부착하여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여 생체신호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생체신호를 전기적 신호 변환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Signal Module을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노이즈 캔슬링과 안드로이드 기반의 셀프 트레이닝 애플리케이션을 융합하여 상용화가 가능한 셀프트레이너 피트니스 웨어의 제작방법을 제시하였다.

트리메틸올멜라민의 세리신 정착에 있어 정착제와 유연제의 영향 (The Effect of Fixing Agents and Softner on Sericin Fixation of Trimethylolmelamine)

  • 박건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3-98
    • /
    • 2017
  • 트리메틸올멜라민에 의한 세리신 정착 거동을 고찰하기 위해 멜라민과 포름알데하이드를 몰 비 1:3으로 세리신정착액을 조성하여 실크 생사를 정착시켰고, 정련에 의해 세리신 정착 거동을 살펴보았다. 정착 과정에서 세리신의 정착이 일어나는 동시에 열수에 의해 세리신 I의 일부가 제거되었다. 정착 중의 감량과 정련에 의한 연감율은 멜라민과 포름알데하이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했다. 0.011몰 멜라민과 0.033몰 포름알데하이드로 정착한 실크 생사는 불충분한 정착과 탄산나트륨에 의한 세리신의 알칼리 가수분해로 인해 많은 정련이 일어났다. 그러나 0.055몰 멜라민과 0.165몰 포름알데하이드로 정착한 실크 생사는 강한 세리신 정착으로 인해 3-8%의 매우 적은 연감율을 보였는데 이는 트리메틸올멜라민에 의해 세리신 I 분자 간에 많은 가교결합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15% owf 유연제의 정착액으로 처리한 경우 정착에 의한 감량과 정련에 의한 연감율이 가장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연제의 양이온이 세리신 중의 아스파르트산의 음이온과 이온결합을 형성하고 유연제의 소수부와 세리신의 소수성 영역 간에 반데르바알스력이 형성되어 세리신 I의 제거가 다소 억제된 것으로 사료된다.

연속 평판열처리에 의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미세구조 변화 (Morphological Structure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Annealed by Passing on the Plate Heater)

  • 홍성학;김용;최창남;최희;이웅의;조성용
    • 폴리머
    • /
    • 제27권2호
    • /
    • pp.106-112
    • /
    • 2003
  • 연속순간 평판열처리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TT) 섬유의 미세구조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PTT섬유를 처리하였다. X-선 회절 분석 결과 적도선 방향에서 (010)면의 회절 피크가 2$\theta$ = 15.6$^{\circ}$에서 관찰되었으며, 열처리 온도 및 열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라 X-선 회절 강도 분포 곡선은 예리해졌다. 또한 열처리 시료의 결정 크기 및 중량분율 결정화도도 열처리 온도와 열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다. 동적 점탄성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열처리 온도 및 열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라 T(tan $\delta$$_{max}$)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복굴절률과 유리 전이 온도도 감소 하였고, 용융 온도는 변화가 없었다. 이로부터 열처리 온도 및 열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라 비결정 영역 중 분자 사슬의 충전 밀도는 낮아지고, 분자 사슬은 긴장이 완화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 분석 (The Content Analysis about Body Image in Adolescents of the Textbook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혜진;이유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7-1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구성하는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가정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마련하고, 형성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통해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하여 신체이미지 교육 내용을 신체이미지의 개념과 구성요소, 신체이미지와 자아개념 형성, 신체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관리행동 등 4가지로 범주화하였고, 이를 다시 신체이미지의 정의, 신체이미지의 구성요소, 자아존중감 형성, 자아개념 형성, 이상적 기준, 사회 문화적 요인, 합리적 신체관리행동, 신체관리 문제 행동 등 8가지로 세분화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의 범주화 및 세분화 항목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 의생활, 아동 가족생활 세 영역 모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영역 및 개별 교과서에 따라 신체이미지의 부분적 개념만을 제시하거나, 한 영역에서만 제시하였기 때문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사회 문화적 영향으로 인한 개인의 신체 인지 및 행동 양상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총체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의 통합적 내용 구성과 함께 교과서 내용의 균형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생의 춘추용 의복품목별 선호소재의 색 특성 연구 - 상의와 하의용 의복소재의 비교 -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clothing textiles of college students in spring and fall - A comparison of clothing textiles for top and bottom -)

  • 김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47-5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clothing textiles of college students. One hundred nin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evaluated for their preference to clothing textiles in previous research. To analyze the color characteristics, spectral data were measured. Color, color tone, and values of $L^*,\;a^*,\;b^*$ according to clothing item were compared. In addition, chromaticity diagram was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 color of the shirts textile that college student preferred most in spring/fall was PB(purple blue) color, lt(light) tone. In general, the preferred textiles for shirts represented a simple color that is close to achromatic color with light and soft shade. The color of the blouse textiles that college student preferred most was PB color, d(dull), g(grayish) and W(white) tone. 2. The most frequently shown color of upper garment was PB, followed by Y(yellow) for shirt and R(red) for blouses. College students prefer a simple color which is close to achromatic color, and a light and soft color was preferred for shirts fabric and they preferred various, medium shades, but closer to pure colors for blouses because college students tend to consider that the aesthetic side is important and usually wear blouses less often than shirts. 3. For slacks, the colors of the preferred textiles were B(blue), PB color and lt.g.(light grayish), g, d and bk(black) tone. Therefore, the preferred textiles for slacks represented simple colors such as bluish or close to achromatic color with light or dark shade. For skirt, YR(yellow red), PB color and lt.g, lt, d. tone were preferred. Therefore, soft light or moderately toned various colors that are close to pure color were especially preferred for skirts. 4. The colors of preferred fabrics for slacks and skirts differed. The colors of the preferred fabrics for slacks were mostly cold color, whereas those of skirts were mostly warm color. And college students preferred various, medium shaded and closer to pure colors for skirts because they tend to consider the aesthetic side as being important. 5. The pattern of preferred fabrics was mostly solid, regardless of clothing item, and melange was the second most preferred pattern. 6. Through the analysis of $L^*,\;a^*,\;b^*$ values, shirt and blouse textiles showed higher $L^*$ value than that of slacks and skirt. The preferred textiles of college students were generally close to achromatic color because the values of $a^*$, and $b^*$ were very low, as confirmed by the result of the chromaticity diagram.

A Study on the Colors and Coloration of Jeogori of Chosun Dynasty and the Modern Period of Korea

  • Lee, Jee-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7권1호
    • /
    • pp.49-61
    • /
    • 2007
  • The subject of study concerns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clothing/accessories from �Chosun�a nd modern Korea. It particularly focuses on the colors of the �Jeogori? traditional jacket) which represents Korean traditional clothing. Color data were collected from 353 woman�s �Jegori�s from �Chosun�a nd modern Korea and divided into the predominant colors & sub colors, and analyzed with HV/C and PCC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presentative the predominant color of 'Chosun Jeogori' for woman is YR, Y and side one is R, YR. The p, dp, sf, ltg colors are frequently found and the freshness of most of them is medium or low which shows a calm-feeling. The p, and ltg tones are often found as a the predominant color and p, dp are also often found as a the side color. In the 'Chosun Jeogori' for woman, the predominant colors and the side colors spread in a similar frequency and most of them have medium or low freshness of the color that shows a calm-feeling. The side color is one of the R colors and it shows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loring such as �Jajoo Goreum? Among the �Jeogori�f or modern women, the R, YR, Y, and B colors are often used for the single-color �Jeogori? the Y, GY, N, G colors are for the colorful �Jeogori? The P, lt, and b tons of the color are often used for a single-color �Jeogori�a nd the p, lt, and W are for the colorful �Jeogori? For the colorful �Jeogori? the side color have a high freshness which shows that a strong image was used frequently as the dp, s, dk tons of the color were often use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coloring, the predominant color and the side color of �Chosun Jeogori�a re applied to create a harmony of analogy & contrast in one aspect of Moon & Spencer�s view. It is found that the predominant color and the side color are similar or contrasting in one view of the color harmony, except that the traditional the �Jeogori�i s colored by ideological and symbolic meanings. The predominant color and the side color of modern the �Jeogori�a re complementary colors which are applied to the indistinct relationship or contrasting harmony in one aspect of Moon & Spencer�s view of the color harmon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as above show that traditional the �Jeogori�r egards the side color as both the harmony of the colors in general and also of symbolic meaning, while modern the �Jeogori�f or woman has a tendency toward a cultural transition and is mixed with new colors focusing more on its the predominant color than on the general harmony and character of ideological & traditional coloring.

학습효율 향상을 위한 웹기반 하이브리드 공학실험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Hybrid Engineering Experiment System for Enhancing Learning Efficiency)

  • 김동식;최관순;이순흠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79-9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학습과정에 우수성, 유효성, 그리고 경제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웹기반 가상실험실과 웹기반 원격실험실을 적절하게 통합한 하이브리드 공학실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클라이언트/서버 분산환경을 설계하여 디지털 시스템과 전기전자회로 실험에 대한 웹기반 가상실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가상실험시스템은 개념학습세션, 가상실험세션, 평가세션등의 3개의 주요한 세션과 이들 주요세션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학습효율의 극대화를 달성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상실험세션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현실감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전자회로를 실험할 수 있는 웹기반 원격 실험실을 구현하였다. 더욱이 간결하고 사용자가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쉽게 원격실험실에 접속할 수 있으며, 고가의 실험장비가 실제 실험실에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자기주도의 심화학습이 가능하다. 제안된 가상/원격실험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학습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웹상에서 두 개의 시스템을 통합하여 하이브리드 공학실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공학실험시스템은 학습자들에게 상호작용적인 학습환경을 제공하여 공학실험교육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이다.

거들 및 웨이스트니퍼 착용에 의한 의복압 평가 및 관련된 착용변인 (Clothing Pressure Evaluation of Girdle and Waist Nipper and Related Wearing Conditions)

  • 이희란;홍경희;김양원;박세진
    • 감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인체 상 하체에 대한 적정 의복압값과 평소 착용습관에 따른 주관적 압박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30-4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거들과 웨이스트 니퍼를 착용한 후 압력값과 주관적 압박감을 측정하였다. 또한 화운데이션 착용 시 주관적 압박감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소(자세변화, 착용시간, 심호흡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의복압과 주관적 압박감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적정 의복압의 평균 결과 거들은 $2.1{\pm}0.8$ kPa, 웨이스트 니퍼는 $1.5{\pm}0.8$ kPa로 하체의 적정 평균 의복압이 상체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하체보다는 상체에서 평소 느슨하게 입을수록 압박 수준에 대한 민감도가 컸다. 화운데이션 착용습관 조사를 통해 느슨하게 입는 그룹을 'loosely', 조여입는 그룹을 'tightly'로 분류하여 압력값과 주관적 평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loosely' 그룹에서 객관적 압력값과 주관적 평가 간에 또한 주관적 평가와 선호도 간에 상관계수가 더 높게 나타나 평소의 착용습관이 압박감각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자세(선 자세, 앉은 자세)에 따른 압력값의 변화는 웨이스트 니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01), 웨이스트 니퍼 설계 시 적정 의복압을 유지하기 위한 주의를 거들보다 더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제 압력값은 변화가 없었으나 주관적 압박감은 대체적으로 적응을 하여 장기간 착용 시 생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쳐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학령후기 비만 남아의 체형 분석에 따른 plus-size 남자 아동복 상의 치수 규격 제안 (Upper Garment Sizing System for Obese School Boys Based on Somatotype Analysis)

  • 박순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99-112
    • /
    • 2008
  • The increasing rate of obesity in school aged children has become a conspicuous social phenomenon in Korea. This has been linked to greater economic growth, increasingly westernized dietary habits, and a consumer driven society. Given that obesity can lead to social exclusion or unfavorable attention by other students in a school setting, the design of plus-size garments have become important for effective appearance management skills. This research aimed to establish a somatotype database for obese school boys, aged 10 to 12, in order to develop a sizing system for plus-size upper garments. In order to measure somatotype of average and obese school boys, five categories were recorded; height, obesity, length of trunk, thickness of neck and chest. For obese boys, subcutaneous fat thickness and position of B.P/shoulder point factors were recorded. Obesity factor was subdivided into overall and specific ones, and while the deviation of obese body types was severe compared to the average type. Obese body typ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surements in width, girth, thickness. This is linked to the fact that the frequency ratio of obesity increases with age. Stature and chest were chosen as control dimensions for boys' wear. As crosstabulation of stature(5cm interval) and chest girth(2, 3 and 4cm), and stature(5cm interval)/chest girth(3cm interval) sizing system showed, the most effective cover ratio and adaptability to the data distribution $25{\sim}75$ quartile. Based on the findings, 10 sizes were formulated for average body type, while 18 sizes were formulated for obese type, whose size cover ratios were 48% and 62.9%, respectively. The primary ranges of stature were $145cm{\sim}150cm$, while those of chest girth were $79{\sim}82cm$. Each size was declared as "chest-somatotype{A(average)/O(obesity)-stature". This study proposed a plus-size upper garment sizing systems for obese boys, accompanied with reference measurements for suit, casual wear and underwear. The finding showed that the two systems were totally separate and not overlapping, meaning that plus-size sizing system is essential for obese school boys. The obesity type system had more size and wider range spe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