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ci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SSR Marker Linked to f Locus in Soybean

  • Nam, Ki-Chul;Kim, Myung-Sik;Jeong, Woo-Hyeun;Kim, Seok-Hyeon;Chung, Jong-I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1-54
    • /
    • 2007
  • Soybean has a morphological type with a broadened and flattened stem. Fasci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new gene for soybean research. SSR marker linked to the $\Large f$ locus that controls fasciation phenotype has not identified within 10 cM. A mapping population consisting of 94 $F_2$ progenies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wild type Clark (FF) and fasciation mutant C32 (${\Large f}{\Large f}$). The phenotype of $F_2$ individual plants was recorded at R2 and R3 growth stage from field. One-thousand 10-mer oligonucleotide RAPD primers and 29 SSR primers selected from the D1b+W of the soybean molecular linkage map were used. A genetic map was constructed from the segregating 35 RAPD, four SSR markers and one phenotypic(wild type/fasciation) marker. The segregation ratios of 3 : 1 observed in the $F_2$ population and the Chi-square values strongly suggest that the fasciation trait is controlled by a single recessive gene. Satt537 marker was linked to $\Large f$ locus at a distance of 9.6 cM. Assignment of the $\Large f$ locus to linkage group D1b+W and identification of markers can be used as an initial step for fine mapping of the $\Large f$ gene.

Diagnosis of Lily Plant Fasciation Caused by Rhodococcus fascians in Jeju Island

  • Yong Ho Shin;Min Ju Choi;Hyun Su Kang;Yong Chull Jeun
    • 식물병연구
    • /
    • 제29권1호
    • /
    • pp.39-44
    • /
    • 2023
  • To diagnose lily fasciation, lily bulbs showing fasciation were collected from several greenhouses in Jeju Island, South Korea.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lily bulbs and amplified with both primers for fasA in plasmid and for putative glycosyltransferase epsH gene in chromosome of Rhodococcus fascians. Three bacterial isolates were detected with the P450 primer set and identified as R. fascians by NCBI blast analysis. Twelve bacterial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 fascians using RS02785 primer set, including the three bacterial isolates identified as the same pathogen using the P450 primer set. Pathogenicity of these bacterial strains identified as R. fascians was demonstrated. Apparent symptoms were observed on wounded lily leaves after inoculation with each bacterial suspension whereas no symptom was found on lily leaves treated with H2O. Furthermore, bacteria re-isolated from wounded sites were identified as R. fascians. Based on the results, these two sets of primers are recommended for quarantine of R. fascians.

'Beast' 장미 꽃목굽음지의 생장, 화기 및 내생 호르몬 변화 (Growth, Floral Morphology, and Phytohormone Levels of Flowering Shoots with Bent Peduncle in Greenhouse-grown Cut Rose 'Beast')

  • 서지현;김완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14-719
    • /
    • 2013
  • 꽃목굽음 현상(bent peduncle phenomenon, BPP)은 절화장미의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는 생리적 장해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관련 기작이 명확히 구명되어 있지 않아 아직까지 대책 마련이 곤란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국내육성 장미 품종인 'Beast'(Rosa hybrida L. 'Beast')를 대상으로 꽃목굽음지의 화기형태, 생장, 내생 호르몬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화기형태 관찰을 통해 꽃목굽음지는 5개의 꽃받침조각 중 하나가 조기에 형성되고 엽상화되면서 대화현상을 나타냈다. 연중 BPP 발생 빈도는 계절에 따라 5-20%로 여름철 고온기에 급증하였다. 꽃목굽음지는 정상지와 비교하여 꽃목굽음 증상 외 생장량과 속도면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꽃으로의 동화산물 분배는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정상지와는 달리 꽃목굽음지에서의 내생 호르몬 IAA 함량은 화아발육기간 내내 높게 유지되었으나, $GA_3$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BPP는 고온과 관련된 특정 꽃받침조각의 엽상화, 대화현상을 나타내면서 꽃으로의 동화산물 불균형 분배, 높은 IAA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보인다.

대화형대두 부채콩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Growth Habi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sciated Soybean, var. Buchai-kong (Glycine max L. Merrill))

  • 윤성중;황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7-172
    • /
    • 1986
  • 우리나라의 재래종 대화형 대두인 부채콩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을 정상형 대두인 단엽콩과 비교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대화형 대두인 부채콩의 주경은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대화가 심해졌고 정상형인 단엽콩에 비해 출엽이 불규칙하였으며 주경엽수는 단엽콩보다 훨씬 증가하였으나 총엽수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2. 부채중의 주경대화정도는 약 3.1정도였으며 대화정도는 정상형인 단엽콩의 주경과 분핵의 생육량과 유관하였다. 3. 부채콩의 분지수는 단엽콩보다 적었으나 분지가 대화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엽병의 대화도 관찰되었다. 4. 부채콩은 협의 대부분이 주경 선단부에 집중 분포하였다. 5. 부채콩의 수량은 단엽콩의 60%정도였으며 수량감소의 주원인은 종실중과 협당입수의 감소였다. 6. 주경 횡단면의 유관속수는 부채콩이 많았으나 각 유관속은 단엽콩이 발달하였다.

  • PDF

우리나라 화훼류 파이토플라스마병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hytoplasmal Disease Occurred on Floricultural Crops in Korea)

  • 정봉남;정명일;최국선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265-271
    • /
    • 2011
  • 우리나라에서 화훼류에 7종류의 파이토플라스마병이 발생하였다. 국화의 Ph-ch1과 Ph-ch2, 나리의 Ph-lily, 페튜니아의 petunia flat stem(PFS-K), 포인세티아의 poinsettia branch inducing(PoiBI-K), 스타티스의 statis witches' broom (SWB-K)과 아잘레아의 azalea witches broom(AWB) 등이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기본으로 화훼류 파이토플라스마를 분류한 결과 우리나라에는 aster yellow(AY), stolbur와 X-disease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파이토플라스마의 특징적인 병징 가운데 하나인 대화증상은 단자엽 식물인 나리와 페튜니아, 포인세티아와 같은 쌍자엽식물에서 모두 발생하였다. 또한 대화증상은 stolbur 그룹의 Ph-lily, AY 그룹의 petunia PFS-K와 X-disease의 포인세티아 PoiBI-K에서 모두 나타났다. 이 결과는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를 둔 파이토플라스마 분류와 증상과는 일관성있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화훼류에서 발생한 7종의 파이토플라스마를 대추나무빗자루, 오동나무빗자루, 묏대추나무빗자루, 뽕나무 오갈 및 모감주나무파이토플라스마 등 5종의 수목 파이 토플라스마와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88.5-99.9%의 매우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뽕나무오갈병 파이토플라스마는 PoiBI-K를 제외한 6종의 화훼류 파이토플라스마와 96.3-99.9% 가장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우리나라 화훼류에 발생한 파이토플라스마병은 매개충을 통하여 수목으로부터 전염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