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원적외선건조와 원적외선-진공건조를 이용한 참나물의 품질변화 특성 (The Effect of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on the Quality Changes of Pimpinella bracycarpa)

  • 이명기;김상헌;함승시;이상영;정차권;강일준;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61-567
    • /
    • 2000
  • 참나물을 원적외선 건조기와 원적외선-진공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할 때 건조조건에 따른 건조속도, 색도, 미생물 변화, 갈변도, 수화복원성 및 관능검사 등 건조참나물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나물의 건조속도는 건 조온도를 5$0^{\circ}C$, 6$0^{\circ}C$ 및 7$0^{\circ}C$로 하여 원적외선-진공건조를 하였을 때는 원적외선 건조한 경 우보다 건조시간이 약 17%이상 단축되었다. 색도변화는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으며 원적외선진공건조가 원적외선보다 그 변화율이 작았다. 건조시간에 따른 참나물의 미생물변 화는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건조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건조방법에는 큰 영 향을 받지 않았다. 건조방법과 건조온도에 따른 참나물의 수화복원성은 원적외선-진공건조 시료가 원적외선 건조시료보다 재수화 특성값이 높았으며, 특히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복원 률이 우수하였다. 재수화 후의 관능적 품질은 낮은 온도에서 그리고 원적외선 건조 참나물 보다 원적외선-진공건조 참나물이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특히 관능적 색도면에서는 원적외 선 건조보다 원적외선-진공건조를 행한 경우에 훨씬 좋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원적 외선-진공건조를 사용할 경우 원적외선 단독보다는 건조 효율이 증대되며, 복원성과 색도의 안전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참나물의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 PDF

원적외선 건조처리에 의한 진공포장 찰옥수수의 품질확보 (Quality Enhancement of Vaccum Packaged Waxy Corns by Far Infrared Ray Drying)

  • 최재호;임지순;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35-640
    • /
    • 2006
  • 각 처리구별 찰옥수수를 원적외선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진공포장하여 저장하는 동안 찰옥수수의 미생물변화, 호화도, 수분함량, 색도 및 물성 변화 등 건조 찰옥수수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총균수는 6시간 원적외선 건조 시 생옥수수인 대조구의 경우 2.32 log CFU/g을 나타내었으나 모든 처리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4^{\circ}C$에서 저장시 저장 3개월까지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7개월 저장 후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증자 찰옥수수 처리구가 약 2 log, 당처리구는 약 2.7 log 정도 감소하였다. 곰팡이 및 효모는 총균수보다 원적외선 건조에 약간 더 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25^{\circ}C$에서 저장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옥수수의 호화도는 저장 전에 98%, 저장 7개월 후 96.2%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원적외선 건조한 증자 찰옥수수는 저장 전에 81.14%, $4^{\circ}C$에서 7개월 저장 후 58.73%로 많이 노화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당처리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당처리구 찰옥수수가 증자 찰옥수수에 비하여 건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이 더욱 낮아졌으며 색도변화는 생옥수수는 건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색의 밝기(L값)가 증가하였으나 증자 또는 당처리구 찰옥수수는 9시간 건조까지는 건조시간에 따라 L값이 증가하였으며 12시간 이후부터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경도는 건조전에 생옥수수가 증자 또는 당처리 찰옥수수에 비하여 경도가 높았으며 9시간 건조이후에는 생옥수수와 당처리 찰옥수수의 경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증자 찰옥수수는 현저하게 경도가 저하되었다. 본 연구결과, 찰옥수수를 원적외선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낮춤으로 미생물의 생육 저하, 저장성 향상은 물론 안전성 및 고품질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건조 방법에 따른 홍해삼(Stipchopus japonicus) 효소 가수분해물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 (Inhibition of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by Different Enzymatic Hydrolysates of Dried Re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 김서영;오재영;김은아;허수진;김길남;전유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707-716
    • /
    • 2020
  • Re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was dried using three methods-far-infrared ray, vacuum, and freeze drying and then enzymatically hydrolyzed using nine proteases: Alcalase, Flavourzyme, Kojizyme, Neutrase, Protamex, trypsin, α-chymotrypsin, and papain. In addition, the potential ability of hydrolysates to inhibit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was evaluated. The yield of hydrolysates from red sea cucumbers dried using each metho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 and protein contents were either similar or higher. The hydrolysates that exhibited inhibitory effects on lipid accumulation, as demonstrated via Oil red O staining, were those obtained by far-infrared ray drying coupled with Alcalase, Flavourzyme, Kojizyme, or Neutrase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far-infrared dry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Flavourzyme, the Flavourzyme hydrolysate of far-infrared-dried red sea cucumber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lipid accumulation. In addition, this hydrolysat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protein factor fatty acid-binding protein 4, which is related to the late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avourzyme hydrolysates from farinfrared-dried red sea cucumber may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and/or a pharmaceutical ingredient for the inhibition of lipid accumulation.

반사 및 분산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진공 건조에 의한 건조복원식품의 품질변화 (The Effect of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Having Reflection and Dispersion Functions on the Quality Changes of Dried-Rehydrated Food)

  • 이진원;성기석;박장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8-545
    • /
    • 2012
  • 가공식품 제조 시 건더기 스프 및 조미 식품에 사용되고 채소류를 건조기 내부 반사 분산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진공 건조기와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건조 조건에 따른 갈변도, 색도, 산도 및 pH 변화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수화복원성 및 전자현미경 관찰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총균수 측정에 따른 미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건조 채소류들의 품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채소 원재료의 품질 저하 요소인 색의 변화 및 갈변도의 경우 RD-FRVD를 이용한 경우, HAD를 이용한 경우보다 색 및 갈변 현상이 적게 나타났다. 특히, 숙주의 경우에는 건조 전 상태와 갈변 정도가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났다. 산도 및 pH 측정 결과는 채소류의 수분함량 및 건조방법에 따라서 건조 전 상태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큰 유의차는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저장성을 위한 미생물 사멸 효과 역시 RD-FRVD를 이용하여 건조한 경우 총균수 사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로 더 많은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원재료 채소 건조 시 품질저하 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건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며, 미생물에 대한 저장 안전성 및 영양성분 손실 최소화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경제성 있는 건조방법이 건조 채소식품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 식품 업체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ability of Color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Paprika (Capsicum annuum L.) Powder During the Drying and Storing Process

  • Park, Jae-Hee;Kim, Chang-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187-192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changes in the color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paprika powder under various conditions, as well as to establish the suitable conditions for drying and storage. Paprika was dri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freeze-drying, vacuum drying, far infrared-ray drying, and hot-air drying. Measurements of the moisture content, color pigments, and antioxidant compounds (total carotenoids, capsanthin, ascorbic acid, and total polyphenols) were completed during 120 days of storage at 4 and $30^{\circ}C$. We found that drying methods, storage temperatures, and packaging materials affected the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ASTA) and Hunter color values, as well as the antioxidant content of paprika powder.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r=0.87, p<0.01) between the ASTA color and the $a^*/b^*$ value. The loss of red color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duction of moisture content (r=0.81, p<0.01) during storage. Drying paprika with a low temperature in the absence of air resulted in better retention of the carotenoids and ascorbic acid. Also, as the retention of the carotenoids and ascorbic acid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red pigment increased. Freeze-drying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drying method for the stability of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red pigment.

Effect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on Inhibition of Lipid Oxidation in Lard-Pork Model System During Storage at $4^{\circ}C$

  • Park, Jae-Hee;Kim, Chang-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53-75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aprika in the lard-pork model system adding ground fresh paprika (3%) and paprika powders (5%). Paprika powders were obtained through 4 drying methods (freeze, vacuum, far infrared-ray, and hot-air). In the lard and meat-fat mixture (containing lard 30%) containing paprika powders, the rate of increase in the peroxide value (POV)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decreased notably during the refrigerated storage ($4^{\circ}C$) compared to the control without paprika. Therefore, paprika powders show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especially the freeze dried paprika powder revealed the most effective activity among them. However, its antioxidant activity was still lower than that of the fresh paprika because the addition of fresh paprika in the lard and meat-fat mixture merely increased the POV and TBA value. In linoleic acid oxidation, the addition of capsanthin 500 ppm to mixed linoleic acid and 10 ppm of $FeCl_3$ (LF) inhibited the formation of peroxides by 15.2% compared to LF, showing its iron scavenging ability. When mixed antioxidants (${\beta}$-carotene 200 ppm + ascorbic acid 100 ppm, capsanthin 200 ppm + ascorbic acid 100 ppm) were added in LF, synergistic effects were obtained with 57.7 and 60.4% of inhibition of peroxide formation,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