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sework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Sequential pattern load modeling and warning-system plan in modular falsework

  • Peng, Jui-Lin;Wu, Cheng-Lung;Chan, Siu-La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6권4호
    • /
    • pp.441-468
    • /
    • 2003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uctural behavior of modular falsework system under sequential pattern loads. Based on the studies of 25 construction sites, the pattern load sequence modeling is defined as models R (rectangle), L and U. The study focuses on the system critical loads, regions of largest reaction forces, discrepancy between the pattern load and the uniform load, and the warning-system pla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ritical loads of modular falsework systems with sequential pattern loads are very close to those with the uniform load used in design. The regions of largest reaction forces are smaller than those calculated by the uniform load. However, the regions of largest reaction forces of three models under sequential pattern loads can be considered as the crucial positions of warning-system based on the measured index of loading. The positions of the sensors for the warning-system for these three different models are not identical.

전단벽식 아파트에서 시공중 슬래브 및 동바리의 응력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Stress Variation in Slab and Support of Shearwall-Type RC Apartment during Construction)

  • 김영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61-165
    • /
    • 2004
  • 철근콘크리트조 공사의 안전성과 효율성은 동바리-슬래브거푸집의 최적의 운영에 달려있다.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의 사고는 주로 가설공사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였거나 동바리를 조기에 철거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콘크리트의 조기압축강도발현이 공사중구조체의 안전에 중요하다. 슬래브-동바리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무량슬래브 구조에 대하여 이루어 졌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벽식 철근콘크리트조 아파트에서 슬래브와 동바리에서의 하중분포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New indices of structural robustness and structural fragility

  • Andre, Joao;Beale, Robert;Baptista, Antonio M.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6권6호
    • /
    • pp.1063-1093
    • /
    • 2015
  • Structural robustness has become an important design variable. However, based on the existing definitions of structural robustness it is often difficult to analyse and evaluate structural robustness, and sometimes not efficient since they mix structural robustness with several other structural variables. This paper concerns the development of a new structural robustness definition, and structural robustness and structural fragility indice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indices is the analysis of the damage energy of structural systems for a given hazard scenario and involves a criterion to define an "unavoidable collapse" state. Illustrative examples are given detailing the steps and calculations needed to obtain values for both the structural robustness and the structural fragility indice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main advantages of the newly proposed definition and indices for the structural risk analysis over existing traditional methods.

비정형 건축물을 위한 가설구조시스템의 설계 인자 분석 (Study on Design Factors of System Support for Irregular Shaped Structures)

  • 채성민;이창환;정광량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85-92
    • /
    • 2018
  • Constr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are developing and structures are designed to be irregular shaped, and therefore more detailed structural analysis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 of accidents related to falsework systems during construction and discuss prevention method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relate to prefabricated shoring system during construction. In this paper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to study the influence of slab irregularity on system supports and analysi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of the bracing in the system support.

RISK ASSESSMENT USING BIM 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 Hongseob Ahn;Hyunjoo Kim;Wooyoung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107-110
    • /
    • 2011
  • The key role in safety management is to identify any possible hazard before it occurs by identifying any possible risk factors which are critical to risk assessment. This planning/assessment process is considered to be tedious and requires a lot of attention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falsework (temporary structures) in construction projects is fundamentally important. However,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ose facilities are one of the high risk activities in the job sites. Secondly, temporary facilities are generally not clearly delineated on the building drawings. It is our strong belief that safety tools have to be simple and convenient enough for the jobsite people to manage them easily and be flexible for any occasions to be occurred at various degrees. In order to develop the safety assessment system, this research utilizes the BIM technology and collects important information by importing data from BIM models and use it in the planning stage.

  • PDF

3-D Temporary Facility Visualization Using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 Kim, Hyun-Joo;Ahn, Hong-Seob;Kim, Woo-Young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1권2호
    • /
    • pp.37-42
    • /
    • 2011
  • The key role in safety management is to identify any possible hazard before it occurs by identifying any possible risk factors which are critical to risk assessment. It is well known that falsework (temporary facilities) in construction projects is fundamentally important. This planning/assessment process is considered to be tedious and requires a lot of attention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ose facilities are one of the high risk activities in the job sites. Secondly, temporary facilities are generally not clearly delineated on the building drawings. Therefore, it is our strong belief that safety tools have to be simple and convenient enough for the jobsite people to manage them easily and be flexible for any occasions to be occurred at various degrees. In order to develop a safety identification system of temporary facilities, this research utilizes the BIM technology in retrieving important information by importing data from BIM models and use it in the safety planning stage.

첨성대 건립에 대한 시공방법론 첨성대의 얼개를 통한 논증 (Construction Methodology for Chum-Sung-Dae Validation through the Present Configuration)

  • 김장훈;박상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2호
    • /
    • pp.40-61
    • /
    • 2009
  • 첨성대의 구조와 현재의 모습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과학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첨성대 건립을 위한 새로운 시공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의 시공방법을 첨성대의 건립에 적용할 경우 가설구조물의 설치 및 운용, 돌을 나르기 위한 기중장비의 설치 및 운용 및 내부 채움 흙의 시공 등에 있어 해결하여야 할 문제와 첨성대 건립 당시 신라인들이 보유하였을 것으로 간주되는 장비 사이의 괴리를 달리 설명할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나아가 첨성대의 얼개 및 현재의 모습에 대하여 제기되는 기단과 남창구 사이 향(向)의 차이, 원통형 몸통의 일그러진 원형평면, 이웃하는 단 사이의 어긋남, 기울기와 일치하지 않는 각 단 편심의 분포, 외부 수평 수직 줄눈의 완벽한 정렬상태, 내부 채움 흙의 존재 이유 등 여러 가지 의문들에 대한 합리적이고도 과학적 근거가 있는 설명이 필요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제안된 새로운 시공방법론은 이 모든 문제와 의문들에 대한 명료한 답을 주고 있다. 따라서 제안된 새로운 시공방법론은 첨성대를 축조한 당시의 건축자가 필연적으로 채택하였을 수 밖에 없었던 시공방법에 가장 가까운 건립방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아울러 현재 첨성대 인근 황남동 일대에 산재하는 크고 작은 고분군의 존재는 이 논문에서 제안된 새로운 시공방법론을 첨성대 건립 당시의 신라인들이 자연스럽게 사용하였을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첨성대축조 규준방식과 드잡이기술에 대한 기술사적 접근 연구 (The Study on the Construction Criteria and Dujabee Technique of the Construction of the Cheomseongdae)

  • 김덕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92-103
    • /
    • 2012
  • 본 연구는 고건축 기술사적 관점에서 첨성대 축조당시 가설공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독특한 구조와 형태로 이루어진 첨성대는 그동안 많은 관심을 끌며 연구되어왔으나 고건축 기술사적 측면에서 접근한 사례를 보기 어렵다. 더욱이 첨성대 축조기술에 관한 연구는 고건축 기술사적 고찰기반이 취약한 추론으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많은 의문점을 남기고 있다. 여러 가지 의문점 가운데 가설공법에 대한 논의는 고건축시공 규준방식과 드잡이에 관한 기술사적(技術史的) 고찰을 결여한 추론으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신빙성 있는 역사적 사실규명으로 보기 어렵게 한다. 연구결과 첨성대축조 가설공법에 대한 규명은 실제유구가 남아있지 않아 직접 고찰에 한계가 있었으나, 그간의 오류 폭을 좁히고 기초자료 제공에 의한 기술사(技術史) 연구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세 가지로 정리되었다. 1.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첨성대축조 규준방식은 또한 +자먹 규구법과 다림추를 이용한 준승방식에 기초한 중심축 규준을 적용하였음으로 고찰되었다. 2. 첨성대 축석공사는 규구준승에 기초한 규준방식과 부합하는 드잡이공사 방법으로 녹로사용 가능성이 고찰 검토되었다. 3. 첨성대축조 규준과 드잡이기술에 대한 고찰 결과 규구준승에 의한 규준방식과 녹로(??)를 이용한 드잡이공사는 축석공사에 별도로 운반을 위한 비계가설을 요하지 않는 고건축 시공기술로 고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