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l precipitat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8초

충북 청원군의 강수중의 이온들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the ions in the precipitation at Chongwon, Chungbuk)

  • 박용남;송기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37-346
    • /
    • 1993
  • The amount of inorganic ions such as $Na^+$, $K^+$, $Ca^{2+}$, $Mg^{2+}$, $NH_4^+$, $Cl^-$, $NO_3^-$, and $SO_4^{2-}$ in the precipitation at hongwon area were analyzed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1991 - June 1993. Ammonium ion was analyzed using Messier and indophenol methods. Cations were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nd ion chromatography was used for anions. For the entire period of study, there was no particular ion which has significant]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hydrogen ion. The correlation between $NO_3^-$, and $SO_4^{2-}$ was 0.6, which suggests that these ions may be from the same source. Most cations have high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the seasonal analysis, the nitrate and sulfate ions have high correlations with the acidity in the fall and winter. The rain waters of Taeahn area showed usually high concentrations of the ions, even though the pH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hongwon area. It is considered that the ions came as neutral salt in Taeahn, while $NO_x$ and $SO_x$ contributes largely to the acidity of rains in Chongwon.

  • PDF

원격탐사를 이용한 한국 남해 중부해역에서의 적조 예찰 연구1. 적조발생과 기상인자간의 상관성 연구 (Study on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occurrence of red tide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red tide and the meteorological factors)

  • 윤흥주;김영섭;윤양호;김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843-848
    • /
    • 2002
  • 남해 중부해역에서 적조발생과 관련해서 기상인자와의 상관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적조 다발원 비교에서 강수량이 적조 발생과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즉, 강수량은 육지 및 연안지역의 영양염류를 해역으로 유입시킴으로서 적조발생의 영양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때의 기온은 대체로 적조 다발철인 여름과 초가을에 높은 값을 유지했다. 그러나 일조시수나 바람은 적조발생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지는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1991 - 1993년 사이 우리나라의 오존 농도 변화 (Variations of Ground-lever Ozone Concentration in Korea during 1991 to 1993)

  • 김영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6
    • /
    • 1996
  • One-hour average concentrations of ground-level ozone from around 80 monitoring stations in Korea during 1991 to 1993 were analyz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ozone concentration variations. Two types of variations were observed: one was for the Capital area typified by Kwanghwmun, and the other was for the south and east seashore region typified by Tongkwangyang. In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chon, Kyonggi-do and Chunchon, mean daily 1-hout maximum was the highest in June following high monthly averages in spring. But frequent precipitation prevented further rise of daily maximum in July and August even though there were frequent episodes of high concentration exceeding 100ppb. In the south and east seashore region, average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throughout the year, and daily maximum and minimum simultaneously changed owing to small contributions from photochemical reactions. The typical annual variation was spring peak, summer down, and fall rise. Spring peak accompanied an usual observations of background variations at remote sites in the Northern Hemisphere. Riess of average and daily maximum with lower daily minimum in fall were attributable to photochemical reactions.

  • PDF

광릉숲 천연활엽수림의 수종별 낙엽 현상과 질소 재전류 특성 (The Quantity and Pattern of Leaf Fall and Nitrogen Resorption Strategy by Leaf-litter in the Gwangneung Natural Broadleaved Forest)

  • 권보람;김현석;이명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8-22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낙엽 현상을 정량화하는 모델을 적용하여 광릉숲 천연활엽수림에서 수종에 따른 낙엽의 시기와 속도를 추정하고, 이에 따른 상층 수종의 양분이용특성을 검토하였다. 낙엽은 2015년과 2016년의 가을에 36개의 낙엽수거망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수집하였으며, 5개 수종으로 분류하여 측정한 건중량을 딕슨의 모델에 적용했다. 또한 수집시기마다 낙엽의 질소농도를 분석하여 재전류율을 산출하였다. 광릉숲의 낙엽은 10월 초에 시작하여 11월 중순까지 떨어졌는데, 수종에 따라 두 해에 다른 경향을 보였다. 평균적으로 낙엽이 절정인 시기는 상층의 서어나무가 먼저, 졸참나무가 가장 늦게 나타났고, 낙엽의 속도는 팥배나무가 최소 18.6일 동안 빠르게, 까치박달이 최대 40.8일 동안 천천히 나타났다. 한편 낙엽이 절정일 때 상층 수종의 질소 재전류율은 졸참나무 평균 0.45%, 서어나무 평균 0.48%로 나타났으며, 졸참나무의 재전류율은 강수량이 적었던 2015년에 높게 나타났다. 잎은 달려있던 기간의 기온, 강수량, 광주기, $CO_2$ 등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아 탈락되므로 낙엽 현상과 재전류율은 수종에 따라 연간 다른 경향의 차이를 보였다. 향후 낙엽수들의 계절현상을 정량화하고 여러 조건에 따라 비교 분석 한다면 기후변화에 의한 낙엽 시기와 속도의 조절이 수목의 생육 기간을 연장 혹은 단축할 지를 예측하고, 이것이 양분이용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할 수 있을 것이다.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s of Lake Surface Area of Orog Lake in Gobi, Mongolia During 2000-2010

  • Yang, Hee-Jae;Lee, Eun-Hye;Do, Na-Young;Ko, Dong-Wook;Kang, Sin-Kyu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7-276
    • /
    • 2012
  • Terminal lak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arid and semi-arid Gobi of Mongolia, and serves as important water resource for local people and livestock. However, such lakes are subject to great fluctuations in its size depending on climatic conditions and human water utilization. The Orog Lake is one such example that has shown remarkable fluctuation in recent yea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changes of Orog Lake surface area by using 16-day MODIS 250 m NDVI products from 2000 to 2010.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limate variability represented by monthl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Our results show that the Orog Lake gradually shrank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10, but with a significant range of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The lake area showed considerable seasonal variations, as it expanded in spring and fall, primarily due to snow melt and summer precipitation, respectively. Extreme drought period from 2000 to 2002 triggered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lake area, leading to dry-up in year 2005, 2006, 2007, and 2009. After dry-up once occurred in 2005, the lake repeated reappearance and disappearance depending on seasonal and annual precipitation. Our findings implicate that the ground water fluctuated around the lake bottom level since 2005. This suggests the highly vulnerable nature of Orog lake, which greatly depends on future precipitation change.

영동지역 소나무림에서 강우 후 임내 연료습도 변화분석 (Analysis of Fuel Moisture Contents Change after Precipitation in the Pine tree stand during Forest Fire Period in the East sea region)

  • 이시영;이명욱;권춘근;염찬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49-152
    • /
    • 2008
  • This study is the result between the variation of fuel moisture and the risk of forest fire through measuring the change of moisture containing ratio on-site and its average analysis for fallen leaves layer, humus layer, and soil layer in the forest.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on six days from the day after a rainfall. The fuel moisture on-site was measured on the day when the accumulated rainfall was above 5.0mm, and the measurements was 2 times in spring and 1 time in fall. From the pine forest which were distributed around Samcheok and Donghae in Kangwondo, three regions were selected by loose, medium, and dense forest density, and the fuel moisture was measured on fallen leaves layer, humus layer, and soil layer in the forest. for six days from the day after a rainfall. The study showed that the moisture containing ratio converged on 3 - 4 days in spring and fall for fallen leaves layer, and the convergence was made more than six days in spring and fall for the humus layer. In the other case of soil layer, the variation of moisture containing ratio after rainfall was not distinguishable regardless of season.

  • PDF

울릉도의 기상이 지역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Ulleung-do's Tourism Industry)

  • 공상민;김인겸;김순;정지훈;김백조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21-233
    • /
    • 2013
  • 우리나라는 전지구 평균보다 기후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서 관광객 수와 기상요소 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 기후변화시대를 대비하는 관광산업의 전략수립이 요구된다. 울릉도는 지역내 산업에서 관광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달하며, 육지에서 먼 도서지역으로서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울릉도는 연도별 강수량 추세에서 거의 변화가 없고, 주로 여름과 가을에 많은 강수를 보이는데, 2010년과 2011년엔 겨울의 강수량이 많았다. 강수 강도는 5월-오후/6월-오전이 높았고, 7~9월은 오전 오후 구분없이 높게 나타났다. 울릉도의 강수(강수량, 강수일수)와 동해상(남부, 중부) 특보(경보, 주의보)를 중심으로 울릉도에 입도하는 관광객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수일수와 동해 중부의 특보가 관광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이벤트가 태화산 잣나무 식재림의 각 발생원별 $CO_2$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ain Fall Event on $CO_2$ Emission in Pinus koraiensis Plantation in Mt. Taehwa)

  • 서상욱;박성애;심규영;양병국;최은정;이재석;김태규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89-394
    • /
    • 2014
  • 본 연구는 몬순기후에 의해 장마라는 특징적인 강우패턴을 가지는 환경조건에서 강우 패턴 및 강우 강도의 변화가 삼림 내 지표 유출수와 토양수분함량을 변화시켜 토양호흡의 배출 양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상지는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학술림 내 잣나무식재림으로 2012년 1년 동안 자동 토양호흡 쳄버를 이용하여 연변화를 측정하였고 단근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호흡 중 약 24%가 뿌리호흡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더불어 장마와 태풍으로 인한 다양한 강도의 강우가 발생한 7월 말부터 9월 말까지 휴대용 토양호흡 측정기를 이용하여 관측지 내 단근처리구와 단근 및 강우차단처리구에서 종속영양생물호흡을 측정하였다. 토양수분함량의 경우 고강도의 강우가 며칠씩 이어지더라도 20%를 초과하지 않았다. 이는 강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시기에는 수목활성이나 토양미생물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강우 강도가 10 mm 이하의 저강도 강우에서는 종속영양생물호흡이 약 14.4% 상승하였으나 10 mm 이상의 고강도 강우조건에서는 종속영양생물호흡이 25.5% 감소하였다. 이는 강우 강도에 따라 종속영양생물호흡의 배출 양상이 달라짐을 보여주었다.

미국 남부지역의 도시화로 인한 강수변화 연구에 대한 경향면 분석의 적용 (Application of trend surface analysis(TSA) to a precipitation modification study over urban areas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of America)

  • ;;최영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3-351
    • /
    • 1995
  • 미국 남서부 지역의 5개 도시 즉 텍사스 주의 Houston, Dallas 및 San Antonio, 루이지애나주의 New Orleans 그리고 테네시주의 Memphis에서 강수의 자연적 경향과 강수에 미치는 도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향면 분석 (Trend surface analysis, TSA)을 시도하였다. 분석기간은 1961년부터 1990년까지 3O 년간이다. 사용한 자료는 월강수량, 계절강수량 그리고 연강수량이다. Houston을 제외한 4개 도시에서는 겨울철과 봄철에 비하여 여름철과 가을철에 보다 큰 경향값을 보였다. 월별 분 석에서는 11월부터 3월까지 기간에 4월부터 10월까지 기간에 보다 현저한 경향을 나타냈다. 자연적 강수의 변동을 제거한 후의 잔차도를 보면, Houston, Dallas, San Antonio등지에서 는 여름철에 도시와 풍하지역에서 양의 잔차값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다른 계절에 비하여 여름철에 도시의 영향으로 인한 강수가 더 많아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Memphis와 New Orleans의 여름철 잔차도에서는 도시의 영향에 기인하는 강수의 현저한 증가를 발견할 수 없었다. New Orleans의 6월과 Memphis의 7월 잔차도에서는 도시에서는 양의 값을 보였으나 다른 도시에 비해 그 규모가 크지 않았다.

  • PDF

레이더 자료에 나타난 전선성 강수계의 중규모적 특성 분석 (Mesoscale Characteristics of Frontal System on Redar Data)

  • 정영선;임은하;남재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219-227
    • /
    • 2000
  • 전선에 의한 강수는 종종 한반도에서 국지적인 집중호우를 유발한다. 그러나 관측자료의 결핍과 전선의 중규모적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강수량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레이더의 공간 해상도는 수 km, 시간 해상도는 수 분으로 중규모 이하의 현상에 대한 관측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더의 효용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대표적인 전선성 강수 사례를 선택하여 중규모적 특성을 레이더 연직 단면 관측자료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강수계 내에서 수평규모 약 10 - 20 km의 대류 세포들이 존재하며, 연직 단면도 상에서 나타나는 밝은 띠에 의하면 녹는고도($0^{\circ}C$ 층)는 약 3 - 5 km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강수 입자에 의하여 추정되는 구름의 높이는 대략 12 km에 달한다. 발달한 층운 지역에서 강수입자의 최대 낙하속도는 밝은 띠가 나타나는 녹는고도 바로 하층에서 나타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