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sebum conten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8초

젊은 여성에서 영양상태와 피부지성화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Facial Sebum Content of Young Women)

  • 박영숙;류화라;재갈성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87-597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nutritional factors affecting on skin sebum content with 131 female university undergraduates in 2003. We measured the sebum contents of 4 facial spots to classify their skin types. Daily energy and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not deficient except in calcium and iron, which were 466.2 mg (66.6% RDA) and 8.5 mg (53.4% RDA) relatively. W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energy and nutrient intakes among the 3 skin types. But significantly higher consumption of grains and slightly higher frequencies of several food groups (excepting starches) were shown in oily skin types, so they might have higher nutrient intakes. Serum indices and food preferences mostly revealed no difference among the 3 skin types. But in the oily skin type, serum phosphorus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s, suggesting phosphorus-rich food consumption like soft drinks and pains could lead to a dry skin type rather than an oily one. Also in the oily skin type, sweet taste preference was slightly tower than others; more-over, sweet intake was lower samely significantly. There was mostly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cial sebum contents and nutrient intakes, dietary behavior, food frequency and food preference except in some factors. Animal protein intak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toward facial sebum content. On the other hand, in normal skin type, Fishes consumed was slightly higher than others, so that higher animal protein consumption presumably leads to normal skin type. Frequency of fried food and bacon and preference of fried foods showed slightly negative relationships toward facial sebum content. Regular meal time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facial sebum content.

THE STUDY ON THE TOPOGRAPHIC VARIATIONS OF FACIAL SKIN IN KOREAN ADULT FEMALES

  • Cho, Joon-Hwan;Ju-An. Yun;Ha, Jae-Hyon;Cho, Youn-Ki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424-437
    • /
    • 2003
  • This study was observed the variations in skin color, hydration, sebum content according to age groups at the forehead, both cheeks, and chin in 154 healthy Korean women subjects with aged 30 to 59. We selected four face sites (forehead, right cheek, left cheek, and chin) and measured with chromameter, corneometer, and sebumeter.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mputer software package SPSS 8.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ightness between facial four regions in age groups but lightness showed to tend to age-related decrease on each regions. Redness and yellowness showed the highest values on chin and forehead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tendency to steady changes according to age variation. Both cheeks showed the highest hydration level and the lowest sebum content compared with forehead and chin in all age groups and there was tendency to age-related changes of sebum content on both cheeks. So we concluded there was decreasing tendency in lightness and sebum cont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ge and there was no age-related change of skin hydration level at least in facial skin.(omitted)

  • PDF

스킨헬스케어를 위한 증류 죽초액 함유 천연화장품의 여드름 피부 임상 적용 연구 (A Clinical Research of Acne Skin through Natural Cosmetics with Distilled Bamboo Vinegar Contents for Skin Health Care)

  • 박가희;박정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89-597
    • /
    • 2020
  • 본 연구는 천연물질인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의 여드름 피부 개선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여 여드름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 10대 남·여 20명을 선정하여 난수표방식에 따라 10명은 천연화장품(폼 클렌징, 토너, 팩)을 사용한 대조군으로 10명은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폼 클렌징, 토너, 팩) 사용한 실험군으로 배정하였다. 화장품 사용 기간은 12주로 하였고, Mark-·Vu 피부 측정기를 사용하여 사전, 6주 후, 12주 후 피부의 피지, 모공 크기, 붉은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연화장품의 피부 안정성 확인을 위한 인체첩포시험 결과 피부에 안전한 제품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조군과 실험군의 피지, 모공 크기, 붉은기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셋째,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의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 검증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이마와 오른 볼 부위의 피지, 모공 크기, 붉은기 변화의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에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은 피부에 안전하며, 여드름 피부에서 피부의 피지 감소와 모공 크기 및 붉은기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화장품 산업에서 증류 죽초액 활용을 기대하는 바이다.

으름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미용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and the Effects of Skin)

  • 김민희;최태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39-450
    • /
    • 2015
  • 으름열매는 폴리페놀과 사포닌과 같은 페놀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포실험을 통해 으름열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수분과 유분, 멜라닌과 홍반변화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 측정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DPPH소거능이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으름열매 추출물 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수분함량 변화, 유분함량 변화, 멜라닌지수, 홍반지수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으름열매 추출물 함유 화장품이 피부개선을 위한 기능성화장품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으름열매 추출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피부보습, 피부개선효과를 가진 천연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안면 구획화에 따른 부위별 피부개선 효과 (Improvement of the skin condition according to the face mapping)

  • 권혜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19-1223
    • /
    • 2019
  • 피부의 상태는 얼굴부위별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면피부를 9부위로 구획화하여 수분, 유분, 건조감, 각질량, 거칠음 등의 특성을 기준으로 부위별 피부 관리 후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20~35세 여성 98명을 대상으로 지각하는 피부의 특성을 부위별로 선택하여 순서대로 나열하고 가장 강하게 느끼는 부위에 가중치를 두어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부위별 보습 관리를 시행하였다. 가장 건조감을 느끼는 부위는 입가와 눈가, 각질량이 가장 많은 곳과 거친 곳은 턱으로 나타났다. 또 부위별 관리 후 특정 부위 및 안면 전체 수분량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5), 90.5%의 건조감 해소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안면 부위별 관리는 뷰티 디바이스 또는 안면 마스크팩 응용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Bacillus subtilis natto 균주로 발효한 병아리콩 낫토를 이용한 mask pack의 피부 개선 효과 (The Skin Improvement Effect of Facial mask pack using Chickpea natto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natto)

  • 엄미선;류희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2-69
    • /
    • 2018
  • 건강 식품인 병아리콩을 화장품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Bacillus subtilis Natto 균주로 병아리콩을 발효한 낫토를 마스크 팩에 적용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병아리콩 낫토를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paste 제형으로 얼굴 마사지 팩에 적용하였다. 5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낫토 팩의 피부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낫토 팩의 처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가 개선되며 4회 처치 후 개선효과가 두드러졌다. 4회 처치 후 수분 함량과 피지 분비량이 각각 $8.4{\pm}3.6%p$$4.0{\pm}2.3%p$ 증가하였고, 피부 모공과 주름도 각각 $1.8{\pm}0.3%p$$1.8{\pm}0.9%p$ 감소하였다. 피부 색소침착은 $1.3{\pm}0.2%p$ 감소되었고, 피부 톤은 55.2%에서 55.9%로 $0.7{\pm}0.2%p$ 밝아졌다. 병아리콩을 발효하여 얻은 낫토 발효물이 보습, 모공, 주름, 색소침착, 피지분비, 피부톤 등의 피부개선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파라핀왁스 마스크 팩의 피부 개선 효과 (Effect of Paraffin Wax Mask Pack on Skin Improvement)

  • 이지은;이상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37-242
    • /
    • 2019
  • 본 연구는 파라핀 왁스 마스크팩의 피부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0대 성인 남녀 13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는 4주간 8회 대상자에게 파라핀왁스 마스크팩을 적용하였다. 파라핀왁스 마스크팩의 피부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 유 수분도, 피부 표면온도, 피부 부드러움 정도 및 피부상태 주관적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파라핀 왁스 마스크팩 도포 후 피부의 유수분도, 피부표면 온도가 상승하였으며, 피부 부드러움 정도와 유 수분도 및 피부톤의 내용을 포함한 피부 주관적 만족도도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파라핀왁스 마스크팩은 피부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피부관리를 위한 피부미용기기 개발에 유용성과 가치가 있을 것이다.

밀배아 추출물을 이용한 여드름성 피부개선 화장품 원료의 효능평가 (Efficacy evaluation of cosmetic ingredients for acne-prone skin improvement using wheat germ extract)

  • 서정;강유리;김운중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1호
    • /
    • pp.1-10
    • /
    • 2023
  • 본 연구는 밀배아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원료를 개발하고자 포뮬라 (EJ-F101)를 제작하여 이를 이용하여 임상시험용 크림을 제조하였으며 임상실험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 사용 전·후 비교 시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안면 부위의 병변 개방면포, 폐쇄면포 구진 피지 및 유분량 항목에 대해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고,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좀 더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제품의 효능에 대한 설문 결과, 대부분 항목에서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대조 제품에 비해 시험제품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높게 나타났으며, '개방 면포' 항목을 제외하고 시험제품은 약 43~81%의 연구대상자가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또한, 제품의 사용성에 관한 모든 항목에 대해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시험군은 약 14~86%, 대조군은 약 38~90%의 연구 대상자가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피부 안전성 평가 결과, 본 모든 연구대상자에게서 피부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밀배아 추출물을 이용한 크림은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하기 적합(non comedogenicity) 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