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 detection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1초

눈 깜박임 패턴을 이용한 졸음 검출 (Drowsiness Detection using Eye-blink Patterns)

  • 최기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94-102
    • /
    • 2011
  • 본 논문은 눈 깜박임 패턴을 이용한 새로운 졸음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유한오토마타를 이용한 졸음 검출 모델을 제안하여 눈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 심벌의 개수만을 체크함으로써 눈 깜박임, 졸음, 수면 검출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수평 투영 히스토그램의 특성을 이용하여 눈동자가 있는 영역만을 구해 수직 투영 히스토그램을 취함으로써 눈썹이나 안경테와 같은 외부 영향을 최소화 시켜 정확도를 높였다. ZJU 눈 깜박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눈 깜박임 검출 실험 결과 93% 이상의 정확도를 얻음으로써 제안된 방법의 우수함을 보였다.

적색도와 국소적 특성을 이용한 적목 영역의 검출 (Detection of Red Eye Region Using Redness and Local Characteristics)

  • 김태우;유현중;조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098-110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칼라 영상에서 적목(red eye)의 자동 검출 및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적색도(redness)와 기하학적 특징에 기반하여 초기 적목 영역을 검출하고, 초기 적목 영역 주위의 국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최종 적목 영역을 검출한다. 최종 적목 영역에 대해 소프트 제거에 기반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목을 제거한다. 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은 Willamowski와 Csurka[1]의 방법에 비해 적목 영역의 검출과 제거 결과가 개선되었다.

  • PDF

눈 검출에서의 픽셀 선택을 이용한 신뢰 척도 (A New Confidence Measure for Eye Detection Using Pixel Selection)

  • 이용걸;최상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7호
    • /
    • pp.291-29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눈 검출에서의 픽셀 선택 방법을 이용한 편향 판별 분석(BDA) 기반의 신뢰 척도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hybrid 눈 검출기를 설계한다. 이를 위해 눈 조각 영상에서 먼저 판별 분석에 유용한 픽셀들을 선택하여 부분 영상을 만들고, 부분 영상에 BDA를 적용하여 신뢰 척도를 위한 특징 공간을 구성한다. Hybrid 눈 검출기를 구성하는 기본 검출기로는 상호 보완적인 특성을 가진 HFED와 MFED를 사용하였다. 주어진 영상에 대해, 기본 검출기들에 의해 생성된 눈 좌표를 가지고 생성한 눈 조각 영상의 부분 영상들을 BDA 특징공간에 투영하여 positive 샘플의 평균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그 정확성을 측정하고, 기본 검출기의 결과들 중에서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최종 눈 검출 결과로 사용한다. 다양한 얼굴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한 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방법은 검출된 눈 좌표의 정확도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검출된 눈 좌표를 이용한 얼굴 인식 성능에서도 다른 방법들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눈 검출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 비교 연구 (Comparative Performance Evaluations of Eye Detection algorithm)

  • 권수영;조철우;이원오;이현창;박강령;이희경;차지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22-730
    • /
    • 2012
  • 최근 생체 인식 분야나, HCI 분야 등에서 사람의 눈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홍채 인식을 하거나 시선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원거리 카메라 기반시스템이 늘어나면서 눈 영상 촬영에 단순히 동공 중심 영역만 촬영 되는 것이 아니라, 눈썹, 이마, 피부영역 등 부정확한 검출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가 포함되어 촬영되고 이러한 불필요한 요소들은 동공 중심영역의 검출 성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앞서 얘기한 이용분야들은 실시간 환경에서 실행되는 시스템들로 정확한 검출 성능뿐만 아니라 빠른 실행시간도 요구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하고 빠른 눈동자 영역 검출을 위하여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AdaBoost 눈 검출 알고리즘, 적응적 템플릿 정합+AdaBoost 알고리즘, CAMShift+AdBoost 알고리즘, rapid eye 검출 알고리즘에 대하여 분석하고, 조명변화와 콘택트 렌즈 및 안경 착용자와 미 착용자등 다양한 경우에 대해서 앞서 말한 알고리즘들을 적용하여 각 알고리즘 별로 정확도와 실행시간을 비교 분석하도록 한다.

환경변화에 강인한 눈 검출 알고리즘 성능향상 연구 (Performance Improvement for Robust Eye Detection Algorithm under Environmental Changes)

  • 하진관;문현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271-27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조명 및 Pose 등의 다양한 환경변화에 강인한 얼굴 및 눈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눈 검출은 얼굴검출과 동시에 수행되며 조명 및 Pose의 변화에 따라 검출 성능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Modified Census Transform 알고리즘 사용하여 환경변화에 강인한 얼굴검출을 수행한다. 눈은 얼굴영역의 중요한 특징으로 주변의 조명 변화 및 안경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검출 성능의 저하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Gabor transformation과 Feature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알고리즘 기반의 눈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얼굴검출 알고리즘은 27.4ms의 검출속도와 98.4%의 검출율을 보이며, 눈 검출 알고리즘의 경우 36.3ms의 검출속도와 96.4%의 검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경망 기반 눈 영역 추정에 의한 실시간 얼굴 검출 기법 (Real-Time Face Detection by Estimating the Eye Region Using Neural Network)

  • 김주섭;김재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21-24
    • /
    • 2001
  • In this paper, we present a fast face detection algorithm by estimating the eye region using neural network. To implement a real time face detec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reduce search space. We limit the search space just to a few pairs of eye candidates. For the selection of them, we first isolate possible eye regions in the fast and robust way by modified histogram equalization. The eye candidates are paired to form an eye pair and each of the eye pair is estimated how close it is to a true eye pair in two aspects : One is how similar the two eye candidates are in shape and the other is how close each of them is to a true eye image A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is used to find the eye candidate region's closeness to the true eye image. Just a few best candidates are then verified by eigenfac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approach is fast and reliable. We achieved 94% detection rate with average 0.1 sec Processing time in Pentium III PC in the experiment on 424 gray scale images from MIT, Yale, and Yonsei databases.

  • PDF

졸음 방지 시스템을 위한 눈 개폐 상태 판단 방법 (A Method to Identify the Identification Eye Status for Drowsiness Monitoring System)

  • 이주현;유형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2호
    • /
    • pp.1667-1670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for detecting the pupil reg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eye status for driver drowsiness detection system. This program detects a driver's face and eyes using viola-jones face detection algorithm and extracts the pupil area by utilizing mean values of each row and column on the eye area. The proposed method uses binary images and the number of black pixels to identify the eye statu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eye status(open/close) was above 90%.

Face Detection by Eye Detection with Progressive Thresholding

  • Jung, Ji-Moon;Kim, Tae-Chul;Wie, Eun-Young;Nam, Ki-G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689-1694
    • /
    • 2005
  • Face dete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ace recognition, video surveillance, and human computer interface. In this paper, we present a face detection system using eye detection with progressive thresholding from a digital camera. The face candidate is detected by using skin color segmentation in the YCbCr color space. The face candidates are verified by detecting the eyes that is located by iterative thresholding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Preprocessing includes histogram equalization, log transformation, and gray-scale morphology for the emphasized eyes image. The distance of the eye candidate points generated by the progressive increasing threshold value is employed to extract the facial region. The process of the face detection is repeated by using the increasing threshold valu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ore enhanced face detection in real time.

  • PDF

Development of Low-Cost Vision-based Eye Tracking Algorithm for Information Augmented Interactive System

  • Park, Seo-Jeon;Kim, Byung-Gyu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7권1호
    • /
    • pp.11-16
    • /
    • 2020
  • Deep Learning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with its high performance overwhelming existing methods in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paper, an interactive window service based on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is proposed. The main goal is to implement an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this deep learning technology to remove the existing eye tracking technology, which requires users to wear eye tracking devices themselves, and to implement an eye tracking technology that uses only usual cameras to track users' eye. We design an interactive system based on efficient eye detection and pupil tracking method that can verify the user's eye movement. To estimate the view-direction of user's eye, we initialize to make the reference (origin) coordinate. Then the view direction is estimated from the extracted eye pupils from the origin coordinate. Also, we propose a blink detection technique based on the eye apply ratio (EAR). With the extracted view direction and eye action, we provide some augmented information of interest without the existing complex and expensive eye-tracking systems with various service topics and situations. For verification, the user guiding service is implemented as a proto-type model with the school map to info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ired location or building.

눈 영역에 적합한 에지 추출과 밝기값 정보를 이용한 눈 검출 (Detection of eye using optimal edge technique and intensity information)

  • 문원호;최연석;김철기;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6-199
    • /
    • 2010
  • 사람의 눈동자는 얼굴 크기와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 정규화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 최적화된 세그멘테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눈동자 검출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소개한다. 눈 검출 방법은 세 가지 중요한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흑백 영상에서 눈 영역에 적합한 에지 추출 방법, (2)레이블링(labeling) 기법을 이용한 눈 영역 추출, (3)밝기값 정보를 이용한 눈동자 위치 검출. 실험 결과로는 다양한 조명 환경과 얼굴표정을 가진 2408장의 FERET 영상을 이용하여 98.9%의 검출 성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