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uded ric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s of Feeding Rancid Rice Bran on Growth Performance and Chicken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s

  • Chae, B.J.;Lee, K.H.;Lee, S.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266-273
    • /
    • 2002
  • A total of 225 day-old broiler chicks (43.08 g initial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for a 6-week feeding trial. The treatments were 1) Control (defatted rice bran; DFRB), 2) fresh rice bran (FRB) and 3) rancid rice bran (RRB). Rice brans were intentionally spoiled by two degrees of rancidity by the values of free fatty acids (FFA): 7.6% (FRB) and 16.3% (RRB). Diets were prepared on an isonutrient basis, and defatted or rancid rice brans were included 5 and 10% for starter (0-3 week) and finisher (3-6 week),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six chicks per treatment were sacrificed, and thigh meats were ground and stored at $1^{\circ}C$ f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peroxide value (POV) analyses. For a digestibility, 48 growing chicks (4 weeks old) were employed in cages (3 replicates/treatment, 2 birds/cag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FRB, RRB, pelleted and extruded rice bran. Some of the FRB were pelleted ($70^{\circ}C$) or extruded ($110^{\circ}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performance during the starter period, but chicks fed a diet containing DFRB grew faster (p<0.05) with increased feed intake (p<0.05) than those fed diets containing rice brans, FRB or RRB, during the finisher period. Feed conversion ratio in the RRB was inferior (p<0.05) to the DFRB. Between rice bran groups, weight gain was higher (pco.os) in FRB than in RRB during finisher period. There was a similar trend in growth performance of chicks for the overall period (0-6 week) as the finisher period. Dry matter and energy digestibilities were higher (p<0.05) in extruded than in RRB group. Protein digestibility was improved (p<0.05) when rice bran was extruded, but not pelleted. The chicken meats from RRB showed higher (p<0.05) TBARS than those from FRB during storage for 4 weeks at $1^{\circ}C$. In conclusion, it would appear that feeding rancid rice bran gave nega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lipid stability of meat in broiler chicks.

압출성형 공정변수가 갈색거저리 애벌레(mealworm) 첨가 쌀 팽화 스낵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usion process variabl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snack with mealworm)

  • 조선영;정다혜;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44-452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감과 영양이 뛰어난 쌀 팽화 스낵 제조를 위하여, 쌀가루에 부족한 각종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저렴하고 우수한 식품 소재인 갈색거저리(mealworm)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쌀 압출성형 원료배합비는 쌀가루 100%, 쌀가루 90%에 갈색거저리 10%, 쌀가루 80%에 갈색거저리 20%로 하였고, 압출성형 공정변수는 사출구 온도를 $130^{\circ}C$$140^{\circ}C$, 수분함량을 20%와 25%로 조절하였다. 압출성형한 후 직경 팽화율, 비길이, 조각밀도, 파괴세기 및 겉보기 탄성계수, 색도, 수분용해지수 및 수분흡착지수, 수용성질소지수, 단백질 소화율,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산패도를 측정하였다.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팽화율은 감소하였고 비길이와 밀도는 증가하였다. 온도와 수분함량에 따른 변화에서는 사출구 도가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직경팽화율은 증가하였으며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파괴세기와 겉보기 탄성계수에서는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10%일 때 감소하였다가 20%일 때 다소 증가하였다. 또한 사출구 온도가 감소하고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수분용해지수는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출구 온도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상승하였다. 수분흡착지수는 갈색거저리 첨가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갈색거저리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사출구 온도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산패도는 갈색거저리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40일 이후에도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값이 감소하였으나 값의 상승폭은 쌀 압출성형물에 비하여 다소 크게 나타났다. 쌀가루에 갈색거저리의 첨가는 쌀 스낵의 영양적인 면을 개선하고 항산화성을 부여하는 유효한 공정이며 사출구 온도를 낮추고 수분함량을 증가시켰을 때 팽화스낵으로써 조직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Extrusion Cooking처리가 미당(米糖)에 함유하는 비타민의 잔존율에 미치는 영향 (Vitamin Retention in Rice Bran during Extrusion Cooking)

  • 김복남;최홍식;이규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7-191
    • /
    • 1986
  • 미강(쌀겨)의 유지, 단백질 및 vitamin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미강(수분함량 9.5% 및 15. 6%)을 extrusion cooking 처리장치로서 주어진 specific dower consumption ($42.1{\sim}67.9w/kg$범위)extrusion temperature ($99{\sim}135^{\circ}C$범위) 조건에서 extrusion cooking하여, 미강이 함유하고 있는 thiamine, riboflavin 및 niacin의 잔동율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강에 함유되어 있는 thiamine, riboflavin 및 niacin의 잔존율은 extrusion cooking 처리시의 원료수분함량에 영향을 받으며, 수분함량이 많으면 적은 specific power consumption 및 낮은 extrusion temperature에서도 이들 vitamin의 파괴현상이 더 일어난다. 동등한 수분함량의 원료미강을 extrusion cooking 처리할 때, specific power consumption이 커질수록 그리고 extrusion temperature가 높을수록 이들 vitamin의 잔존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전extrusion cooking 조건에서 thiamine은 $89.9{\sim}97.0%$, riboflavin은 $83.4{\sim}97.3%$, niacin은 94.0%. riboflavin은 $83.4%{\sim}97.3%$ 그리고 niacin은 $94.0{\sim}97.7%$의 잔존율을 보이므로써, 전반적으로 순간고온압출공정인 extrusion cooking이. 가열처리보다 높은 vitamin 잔존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

Influence of Extruded Hemp-Rice Flour Addi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heat Bread

  • Wang, Yuan-Yuan;Norajit, Krittika;Ryu, Gi-H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2-66
    • /
    • 2011
  • Functional foods play an important role in daily diet, human health and the food industry. Hemp was reported to have many advantages for nutritional and medicinal usage. In this study, extruded hemp-rice (EHR) flour, containing 30% hemp, was mixed with the wheat flour to create bread loaves at the concentrations of 5, 10 and 15%. Bread made from 100% wheat flour (with no added EHR flour) was used as a control. The physical parameters, including expansion ratio, specific volume and crust/crumb color were evaluated separately. In addition, changes in hardness of the bread during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for 3 days were also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10%-EHR bread exhibited the highest hardness value, while 15%-EHR bread presented the lowest. The bread containing EHR flour had lower specific volume and bigger air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the crust and crumb color of EHR-containing bread was significantly dark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n this study, the 15%-EHR bread showed higher specific volume, lower hardness and bigger air cell structures.

제면 적성 시험을 위한 쌀국수 제조 방법 (A Rice Noodle Making Procedure for Evaluating Rice Flour Noodle-Making Potential)

  • 최수영;조준현;고봉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23-1829
    • /
    • 2012
  • 국내에서 육종된 쌀 품종들의 제면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소규모(시료 쌀가루 100 g 이하)로 실험이 가능한 표준화된 쌀국수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국수의 품질을 평가하여 제면성이 우수한 품종을 판별하였다. 쌀국수를 제조하는 두 가지 방법 가운데 압출 면은 반죽의 수분 첨가량에 비교적 예민하지 않아서 수분 첨가량 결정이 용이한 방법이었으나 세절 면은 수분 첨가량에 따라서 제조과정에서 면대 형성이 달라지므로 수분 첨가량을 가루의 수분 흡수력에 따라서 조절해야 한다. 제조방식에 따라서 국수의 물성에는 차이가 있지만 Chenmaai가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가장 우수한 제면 적성을 나타내었다. 제면성이 우수한 품종일 경우 제분 방법에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으며 제면 방법에 관계없이 우수한 품질의 면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enmaai는 두 가지 제면방법에 따라서 제면하였을 때 조리 손실률이 가장 낮고 조리된 면의 탄성이 높아서 우수한 제면 적성을 나타내었다. Goamibyeo는 제면용으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익히 잘 알려져 있으나(8,13), 초 다수성인 Chenmaai도 제면용으로 사용하면 경제성과 더불어 우수한 제면용 쌀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xtrusion 전분을 기질로 한 불균일상 효소반응계에서의 Cyclodextrin 효소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Cyclodextrin in an Heterogeneous Enzyme Reaction System Containing Insoluble Extruded Starch)

  • 이용현;박동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14-520
    • /
    • 1991
  • Extrusion시켜 구조변형시킨 전분(질)을 기질로 cyclodextrin glucanotransferse(CGTase)를 활용하여 액화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cyclodextrin을 합성하는 불용성 extrusion된 전분-수용성 CGTase로 구성된 불균일상 효소반응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Extrusion된 전분을 기질로 이용할 경우 기존의 액화전분을 기질로하는 균일상 효소반응계에서 보다 현저히 증가된 CD 농도, 수율 그리고 합성속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extrusion된 전분 기질농도가 100g/l일 때 CD생성량과 수율은 각각 54g/l와 0.54였다.

  • PDF

카카오 빈 함량에 따른 쌀 압출성형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uded Rice Flour with Various Cacao (Theobroma cacao L.) Bean Content)

  • 박주연;김영호;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27-1335
    • /
    • 2017
  • 본 실험은 카카오 빈의 함량(0, 20, 40, 60%)을 달리하여 쌀가루와 압출성형물을 제조하여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공정 조건은 수분 함량 25%, 스크루 회전 속도 200 rpm, 사출구온도 $130^{\circ}C$로 조절하였다. 팽화율은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밀도와 비길이, 겉보기 탄성계수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파괴력은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는 압출성형 공정 후 모두 증가하였다. 카카오 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무처리구(RAW)에서 카카오 빈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압출성형 공정 후 카카오 빈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차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페이스트 점도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조건에서 감소하였으며, 압출성형을 한 모든 실험군과 RAW의 roasted 카카오빈(RC) 첨가군에서 저온최고점도(CPV)를 나타내어 낮은 온도에서도 점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non-roasted 카카오 빈(NRC) 첨가군이 RC 첨가군보다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압출성형한 NRC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카카오 빈 첨가가 쌀 카카오의 팽화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카카오 빈의 총 페놀 함량은 로스팅과 압출성형에 의해 감소하였지만,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로스팅을 하지 않고 압출성형 하였을 때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삼종실의 이화학적 특성과 에너지바의 제조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Defatted Hemp Seed and Its Energy Bar Manufacturing)

  • 구본재;;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27-134
    • /
    • 2010
  • 압출성형의 이점을 활용하여 영양적으로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조직감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에너지바를 제조하기 위해서 탈지 삼종실 압출성형물의 팽화율, 밀도, 파괴력, 겉보기탄성계수, 수분흡착지수와 수분용해지수, 페이스트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압출성형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탈지 삼종실 에너지바 제조 후 품질특성 조사를 위해 수분함량, 색도, 관능검사를 측정하였다. 압출성형 공정변수는 수분함량(20, 25%), 배럴온도(110, 130$^{\circ}C$)이였으며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circ}C$에서 팽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밀도, 파괴력, 탄성계수가 낮았다.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착지수가 증가하였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배럴온도 130$^{\circ}C$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출성형 탈지 삼종실은 페이스트 점도 값이 낮게 나타났으며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값은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circ}C$ 에서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탈지 삼종실 에너지바 제조 30일 후에 수분함량은 0.60-1.13% 상승하였으며 백색도와 황색도는 감소,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압출성형 변수가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circ}C$이며 탈지 삼종실이 첨가된 에너지바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압출성형을 이용하여 삼종실을 첨가한 에너지바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중간소재인 압출성형물의 공정 변수는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circ}C$에서 가장 좋은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사출구 온도와 수분함량이 갈색거저리(Mealworm) 첨가 압출성형 백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uded Rice with Mealworm)

  • 조선영;챗파이산 아파판;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16-125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감과 영양적으로 뛰어난 쌀 팽화 스낵 제조를 위하여 쌀가루에 부족한 단백질과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며 미래식량 자원으로써의 가치를 지닌 갈색거저리(mealworm)를 첨가한 쌀 압출성형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압출성형 원료배합비는 쌀가루 100%, 쌀가루 95%에 갈색거저리 5%, 쌀가루 90%에 갈색거저리 10%를 첨가한 것으로, 압출성형 공정변수는 사출구 온도를 $120^{\circ}C$$130^{\circ}C$, 수분함량을 30%와 35%로 조절하였고 압출성형한 후 직경 팽화율, 비길이, 밀도, 파괴력 및 겉보기탄성계수, 조직감 분석, 색도, 수분용해지수 및 수분흡착지수, 수용성질소지수, 단백질 소화율, DPPH radical 소거활성, 산패도를 측정하였다.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길이는 증가하였으며 밀도는 감소하였고 팽화율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온도와 수분함량에 따른 변화에서는 사출구 온도가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직경팽화율, 비길이는 증가하였으며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사출구 온도가 감소하고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은 증가하였다. 수분용해 지수는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출구 온도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상승하였다. 수분흡착지수는 갈색거저리 첨가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사출구 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갈색거저리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사출구 온도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산패도는 갈색거저리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50일 이후에는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상승 폭을 나타내었다. 쌀가루에 갈색거저리의 첨가는 쌀 팽화 스낵의 조직감과 영양적인 면을 개선하고 항산화성을 부여하였으며 사출구 온도와 수분함량도 압출성형 쌀 팽화 스낵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차전자피 함량에 따른 쌀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 (Effects of Psyllium Husk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Flour)

  • 이정원;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4호
    • /
    • pp.283-289
    • /
    • 2019
  • 본 연구는 기능성 팽화 스낵의 개발을 위하여 우수한 식이섬유소원인 차전자피를 첨가한 쌀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원료 배합비는 쌀을 기본 원료로 하여 차전자피의 함량(0, 7, 14, 21%)을 달리하였고, 압출성형 공정변수는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 사출구 온도 140℃, 수분함량 20%로 조절하였다. 압출성형 후 직경 팽화율, 비길이, 밀도, 겉보기 탄성계수, 파괴력, 조직감, 색도, 수분용해지수, 수분흡착지수, 미세구조를 측정하였다. 직경팽화율은 차전자피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비길이, 밀도, 겉보기 탄성계수와 파괴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착성은 차전자피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21% 첨가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차전자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 황색도, 총 색도차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는 압출성형 공정 후 모두 증가하였으며 차전자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미세구조는 차전자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팽화와 기공의 크기가 감소하여 압출성형물의 밀도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차전자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팽화를 감소시켜 단단한 조직감을 나타내었고 높은 수분흡수력으로 인해 부착성이 증가하여 14%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전자피의 함량이 높은 팽화스낵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화제의 첨가 뿐 만 아니라 차전자피의 전처리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