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solvents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36초

Perfluoropolymer Membranes of Tetrafluoroethylene and 2,2,4Trifluofo- 5Trifluorometoxy- 1,3Dioxole.

  • Arcella, V.;Colaianna, P.;Brinati, G.;Gordano, A.;Clarizia, G.;Tocci, E.;Drioli, E.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9년도 The 7th Summer Workshop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 /
    • pp.39-42
    • /
    • 1999
  • Perfluoropolymers represent the ultimate resistance to hostile chemical environments and high service temperature,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fluorine in the polymer backbone, i.e. to the high bond energy of C-F and C-C bonds of fluorocarbons.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TEE) and 2, 2, 4Trifluoro-5Trifluorometoxy- 1, 3Dioxole (TTD), commercially known as HYFLON AD, are amorphous perfluoropolymers wit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higher than room temperature, showing a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exceeding 40$0^{\circ}C$. These polymer systems are highly soluble in fluorinated solvents, with low solution viscosities. This property allows the preparation of self-supported and composite membranes with desired membrane thickness. Symmetric and asymmetric perfluoropolymer membranes, made with HYFLON AD, have been prepared and evaluated. Porous and not porous symmetric membranes have been obtained by solvent evaporation with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Asymmetric membranes have been prepared by th wet phase inversion method. Measure of contact angle to distilled water have been carried out. Figure 1 compares experimental results with those of other commercial membranes. Contact angles of about 120$^{\circ}$for our amorphous perfluoropolymer membranes demonstrate that they posses a high hydrophobic character. Measure of contact angles to hexandecane have been also carried out to evaluate the organophobic character. Rsults are reported in Figure 2. The observed strong organophobicity leads to excellent fouling resistance and inertness. Porous membranes with pore size between 30 and 80 nanometers have shown no permeation to water at pressures as high as 10 bars. However high permeation to gases, such as O2, N2 and CO2, and no selectivities were observed. Considering the porous structure of the membrane, this behavior was exp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perties, possible useful uses in th field of gas- liquid separations are envisaged for these membranes. A particularly promising application is in the field of membrane contactors, equipments in which membranes are used to improve mass transfer coefficients in respect to traditional extraction and absorption processes. Gas permeation properties have been evaluated for asymmetric membranes and composite symmetric ones. Experimental permselectivity values, obtained at different pressure differences, to various single gases are reported in Tab. 1, 2 and 3. Experimental data have been compared with literature data obtained with membranes made with different amorphous perfluoropolymer systems, such as copolymers of Perfluoro2, 2dimethyl dioxole (PDD) and Tetrafluorethylene, commercialized by the Du Pont Company with the trade name of Teflon AF. An interesting linear relationship between permeability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membrane has been observed. Results are descussed in terms of polymer chain structure, which affects the presence of voids at molecular scale and their size distribution. Molecular Dyanmics studies are in progress in order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these results. A modified Theodoru- Suter method provided by the Amorphous Cell module of InsightII/Discover was used to determine the chain packing. A completely amorphous polymer box of about 3.5 nm was considered. Last but not least the use of amorphous perfluoropolymer membranes appears to be ideal when separation processes have to be performed in hostile environments, i.e. high temperatures and aggressive non-aqueous media, such as chemicals and solvents. In these cases Hyflon AD membranes can exploit the outstanding resistance of perfluoropolymers.

  • PDF

추출 용매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 우슬의 항염증 효과 증진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ed by Achyranthes japonica on Extraction Solvents)

  • 조은솔;우영민;김옥주;조민영;안미영;이재화;하종명;김안드레
    • 공업화학
    • /
    • 제30권2호
    • /
    • pp.145-15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슬(Achyranthes japonica, AJ)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우슬(AJ-LP)을 5가지 용매(물, 에탄올, 헥산, 아세트산에틸, 부탄올)로 추출하여 RAW264.7 세포에서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lipopolysaccharide(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 및 cytokine 생성을 측정하였으며 western blot으로 cyclooxygenase-2(COX-2)와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세포 독성은 CCK assay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독성을 가지지 않는 농도인 $100{\mu}g/mL$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NO 생성 저해 활성 결과 AJ-LP를 에탄올(E)로 추출한 시료가 LPS만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약 74%로 저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염증관련 cytokine인 Interle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1{\beta}$ (IL-$1{\beta}$)의 결과에서도 약 57, 70, 74%의 저해율로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COX-2와 iNOS 발현결과 AJ군에서 대조군(20-hydroxyecdysone)의 저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J-LP군에서 COX-2 발현량은 헥산(H)으로 추출한 시료가 대조군에 비해 약 16%로 감소하였고 iNOS 발현량은 부탄올(B)으로 추출한 시료가 약 7%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서 우슬보다 L. plantarum으로 발효한 우슬이 천연물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였다.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페놀류의 분리 최적화 및 미량 페놀류의 농축-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for Separation of Phenols and Preconcentration-Separation of Trace Phenols in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 이대운;이성원;소민정;조병련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13-522
    • /
    • 1993
  • 본 연구는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25가지 페롤류를 분리-분석하기 위한 용매의 최적 조건을 결정하고, 미량의 페놀류를 농축-분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페놀류를 클로로 페놀, 메틸 페놀과 니트로 페놀로 분류하고 각각을 사성분 혼합 용매 시스템을 도입하여 최적 분리조건을 결정하였다. 분리 최적화는 통계적인 심플렉스 방법으로 overlapping resolution maps(ORM)를 사용하여 최적 용매조성을 결정하였으며, pH와 온도의 최적화 효과도 알아보았다. 또한 분리도를 향상시키고 분석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ORM-Prism 방법을 사용한 등선택성 다성분 기울기 용리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환경 오염수로부터 미량의 페놀류를 농축-분리하기 위해서 비극성 흡착제인 XAD-2와 강음이온교환 수지인 Dowex 1-X8로 구성되는 직렬 컬럼을 사용하여 그 농축-분리 성능을 평가하였다. 농축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료용액의 부피를 1L까지 증가시켰을 때 페놀을 제외한 모든 페놀류는 90%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검출 한계는 5ppb이었다. 한편 시판의 C18 카트리지법과 비교한 결과 XAD-2/Dowex 1-X8 법의 농축 효율과 선택성이 좋음을 알았다.

  • PDF

짚시알 깡충좀벌(벌목:깡충좀벌과)의 기주수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미나방의 카이로몬 (Gypsy moth kairomones affecting host acceptance behavior of the egg parasitoids Ooencyrtus kuvanae (Hymenoptera:Encyrtidae))

  • 이해풍;부경생;김수언;이기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8-95
    • /
    • 1997
  •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에서 추출된 카이로몬을 이용하여 난기생천적인 짚시알깡충좀벌(Ooencyrtus kuvanae)에 대한 유인성을 olfactormeter로 측정하였다. 매미나방알의 인편과 털에서 추출한 카이로몬은 79.9%의 유인성을 나타내어 알에서 추출한 카이로몬의 67.6%보다 높은 유인력을 나타내었다. 짚시알깡충좀벌의 탐색시간은 인편과 털의 추출물에서 115.5초 인편과 털을 제거하지 않은 알에서 113.2초로 유사하였다. 정상적으로 산란된 기주알에 대해서는 91.0%가 유인되어서 난소에서 적출한 미성숙알의 15%보다 크게 높았으며 탐침까지의 시간은 84.2초로 난수에서 적출한 알의 114.0초보다 짧았다. 생식부속샘에서 분비되는 접착물질은 88%로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고, 탐색시간은 89.2초, 최초탐침시간은 26.8초를 나타냈다. 6종류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카이로몬을 대상으로 짚시알깡충좀벌의 유인도를 조사한 결과 n-hexane의 추출물에서 가장활발한 반응을 나타냈으며 자연난에서 우화한 것이 인공난에서 우화한것보다 3배이상 높은 반응을 보였다.

  • PDF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씨 추출물의 질소산화물 소거능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에 관한 연구 (Effect of Extracts produced from Gardenia jasminoides Seed Using Different Types of Solvents on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 진동혁;오다영;이영근;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1-100
    • /
    • 2017
  • 치자 씨 추출물이 항산화력 및 지질과산화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 치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치자 씨의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2.201{\pm}0.516mg/100g\;DW$로 나타났으며, 치자 씨의 용매 별 추출 수율은 chloroform:methanol(CM, 2:1, v/v) 36.39%, 70% ethanol (27.32%), n-butanol (26.23%) 로 확인되었다. 추출 용매 별 항산화 활성은 농도(0.2, 0.4, 0.6 mg/mL)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ositive control로 사용된 ascorbic acid, BHA, trolox 보다는 낮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치자 씨의 total phenol 함량(mg CAE/g)은 CM (32.50), 70% ethanol (30.09), n-butanol (11.07) 추출물 순으로 n-butanol 추출물에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으며, Nitric oxide (NO) radical 소거능에서는 CM (76.97~84.24%), 70% ethanol (74.10~79.99%), n-butanol (30.66~37.15%) 추출물 순으로 관찰되었다. Nitrite ($NO_2$) 소거능은 CM (33.53~43.23%), 70% ethanol (32.40~35.98%), n-butanol (24.72~28.14%) 순으로 관찰되었다. ${\beta}-carotene$ 탈색 저해능은 CM (23.73~44.70%), 70% ethanol (22.03~41.32%), n-butanol (16.00~27.87%) 순으로 확인되었다. Reducing power (optical density)는 70% ethanol (0.073~0.182), CM (0.057~0.154), n-butanol (0.028~0.079) 순으로 관찰되었다. 지질과산화 저해능은 씨 추출물 중 CM (53.26~76.56%), 70% ethanol (52.97~76.56%), n-butanol (38.54~53.33%)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치자씨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서 기능성 식품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5-FU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제조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Containing 5-FU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정주희;정인일;주현재;신재란;임교빈;유종훈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452-4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매우 짧은 반감기로 인한 많은 투약 빈도수와 이로 인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5-FU의 부작용을 줄이고 투약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생분해성 고분자인 L-PLA에 약물이 봉입된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으로는 기존의 미립자 약물전달체 제조 공정의 문제점을 상당 부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공정으로 주목받고 있는 초임계 ASES 공정을 사용하였다. 고분자의 분자량 및 분자량이 다른 동일한 고분자와의 블렌딩, 용매, 약물 투입량 등의 변수가 미세입자의 형성과 약물의 회수율, 봉입효율 및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초임계 유체 공정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5-FU와 L-PLA의 용매로 각각 MeOH와 DCM을 사용한 경우 가장 좋은 결과가 얻어졌으며, L-PLA의 분자량이 큰 경우 구형의 입자가 생성되었으며 입자의 크기도 작은 결과가 나타났다. 모든 실험에서 약물의 봉입효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5-FU와 L-PLA의 매우 낮은 친화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약물과 고분자 간의 재결정화 속도의 차이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가가 약물 봉입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약물의 봉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향후 초임계 공정의 공정변수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연구와 약물과 고분자간의 친화력을 높여 일 수 있는 첨가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미더덕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arts of Styela clava)

  • 정은실;박은주;박해룡;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74-1678
    • /
    • 2008
  • 신선한 미더덕(FR)과 동결건조 한 미더덕(FD)을 부위별로 제조하여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전체 부위의 FR에서는 농도별로 모두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나, FD에서는 아세톤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껍질 부위의 FR에서는 에탄올 추출물, FD에서는 아세톤 추출물, 살 부위의 FR에서는 아세톤 추출물, FD에서는 물 추출물이 각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건조 여부에 의해 비교해보면 전체와 껍질 부분에서는 FR보다 FD에서 활성이 좋았으나, 살 부위에서는 FR가 FD보다 좋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환원력의 경우에서는 전체 부위의 FR에서는 농도별로 모두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나, FD에서는 아세톤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껍질부위는 FR, FD에서 모두 아세톤 추출물이 활성이 좋았고, 살 부위의 FR에서는 아세톤 추출물, FD에서는 물 추출물이 각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건조 여부에 의해 비교해보면 전체와 껍질 부분에서는 FR보다 FD에서 활성이 좋았으나, 살 부위에서는 FR가 FD보다 좋은 활성을 보였다. 모든 시료에서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성 있게 모든 결과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부위의 활성이 살 부위와 껍질 부위의 활성이 서로 조합되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을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항산화활성 물질을 탐색함에 있어서 미더덕이 중요한 천연자원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GC/MS 분석에 의한 4-Octylphenol의 Carboxen 흡착에 대한 열역학적 연구 (Thermodynamic Studies on the Adsorption of 4-Octylphenol on Carboxen by GC/MS Analysis)

  • 이준배;박우용;손성건;정지은;정용애;공보경;김유나;권오성;팽기정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356-361
    • /
    • 2018
  • 혈액과 같이 다성분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matrix로 구성된 시료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나 반휘발성 유기화합물(SVOC)의 분석은 분리공정을 거쳐 분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흡착은 어떤 성분이 다른 상의 표면에 축적되는 물리적 현상이다. 전처리 과정에서 번거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흡착이 적용되며 이를 위해 다공성 탄소인 carboxen (CAR)이 도포된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장치가 흔히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제조시 가소제 등으로 사용되는 4-octylphenol의 carboxen에 대한 흡착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dichloromethane ($CH_2Cl_2$, DCM), ethylacetate ($CH_3COOC_2H_5$, EA) 및 diethylether ($C_2H_5OC_2H_5$, $Et_2O$)에 대한 추출효율과 bistrimethylsilyltrifluoroacetamide (BSTFA), methylchloroformate (MCF) 및 pentafluorobenzylbromide (PFBBr)에 대한 유도체화 반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열역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추출용제로는 DCM이 양호한 효과를 보였으며 BSTFA를 이용한 silylation의 분석특성이 우수하여 이를 적용하였다. 열역학적 및 동력학적 흡착실험 결과 흡착과정은 흡열특성을 보였고 Langmuir식보다는 Freundlich 등온식에 더 근접하였으며 동력학적으로는 pseudo-$2^{nd}$ order kinetic model에 따르는 것을 보였다.

가시상추 유래 생리활성물질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Materials from Prickly Lettuce (Lactuca serriola))

  • 문성일;김성환;허완;김순영;김종식;이건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6-212
    • /
    • 2009
  • 가시상추(Prickly lettuce : Lactuca serriola)로부터 여러 가지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가시상추의 일반성분, vitamin, polyphenol성 물질 그리고 flavonoid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MeOH 조추출물에 의한 아질산염 제거 활성,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MeOH 조추출물의 EtOAc 분획에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제거 활성, 항산화 활성 그리고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polyphenol성 물질과 flavonoid의 함량도 가장 높았다. EtOAc 분획 중 subfraction 2 (EtOAc:MeOH=3:1)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Subfraction 2는 GC-MS에 의해 ${\rho}$-coumaric acid와 caffeic acid로 동정되었다. 가시상추 추출물의 용매 분획별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EtOAc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시상추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제공해 줄 것이다.

소변 중 뮤콘산의 친환경 HPLC 분석방법을 이용한 벤젠 노출 생물학적 노출평가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mination of urinary trans, trans-muconic acid for biological monitoring of benzene exposure by gree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양동혁;이미영;원용림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460-466
    • /
    • 2012
  • 벤젠 노출의 생물학적 노출인 인체 소변 중 뮤콘산(trans, trans-muconic acid) 분석을 위한 녹색 HPLC (Highr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방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이온교환수지 고상추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소변 중 뮤콘산을 추출하고, MF-Ph1 SG80 ($150mm{\times}2.0mm$ I.D., 5 ${\mu}m$) 칼럼과 이동상(10 mM $KH_2PO_4$+0.1% $H_3PO_4$)을 뮤콘산의 HPLC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검출은 자외가시부검출기 259 nm에서 실시하였다. 0.1-5.0 mg/L 범위에서 상관계수 ($r^2$) 0.9992 이상의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는 검량선을 얻었다. 일내 및 일간 정밀성(RSD)은 각각 0.9-8.5% 및 3.1-4.5%였으며, 평균 회수율은 97.5-101.7% 범위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 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지만 기존 방법과 동일한 분석 성능을 가지고 있는 친환경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은 벤젠 노출 평가를 위한 근로자의 생물학적 모니터링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