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 of garlic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4초

마늘 잎마름병에 대한 친환경제제 방제효과 (Controlling Effect of Some Environmentally Friendly Agents on Garlic Leaf Blight in Garlic)

  • 류영현;허창석;김동근;연일권;조우식;류정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47-357
    • /
    • 2015
  • 마늘 유기재배에서 마늘 잎마름병에 대한 친환경방제제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56종의 친환경방제제를 대상으로 Stemphylium botryosum 포자 발아억제시험을 96 well plate에서 실시하여 그중에서 구리화합물제제, 식물추출물제제, 황화합물제제, 황 탄산나트륨제제 그리고 키토산액 등 5종을 선발하여 2012년과 2013년에 걸쳐서 마늘재배포장에서 잎마름병 방제효과와 마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2년 시험에서 방제효과가 우수한 구리화합물제제와 키토산제제를 대상으로 2013년에 다시 잎마름병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화학약제인 안트라콜의 방제가에 대비하여 각각 54%와 90%의 방제효과가 나타났으며 무처리에 대비하여 16%와 34%의 수량성 향상효과가 나타났다. 구리화합물제제와 키토산제제로 잎마름병 방제시 화학약제 방제에 대비하여 상품화 가능한 마늘은 각각 79%와 93%였으며 무처리에 대비할 경우 수량이 각각 16%와 34%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키토산액은 마늘 잎마름병 방제용 친환경제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친환경제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Substance from Heated Garlic (Allium sativum L.)

  • Hwang, In-Guk;Woo, Koan-Sik;Kim, Dae-Joong;Hong, Jin-Tae;Hwang, Bang-Yeon;Lee, Youn-Ri;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63-966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ty antioxidant substance in heated garlic juice (HGJ).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heated garlic juice exposed to 120, 130, and $140^{\circ}C$ for 2 hr. The HGJ was partitioned using the solvents of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HGJ treated at $130^{\circ}C$ for 2 hr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this extract was isolated and purified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semi-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structure of the purified compound was determined using spectroscopic methods, i.e., ultraviolet, mass spectrometry, infrared, $^1H$ NMR, $^{13}C$ NMR, DEPT, HMBC, and HMQC. The isolated compound was identified as thiacremonone (2,4-dihydroxy-2,5-dimethyl-thiophene-3-one). Thiacremonone showed stro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with a 50% inhibition concentration ($IC_{50}$) of $22.25{\pm}0.44\;{\mu}g/mL$, which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antioxidants ascorbic acid ($30.06{\pm}0.42\;{\mu}g/mL$), ${\alpha}$-tocopherol ($71.30{\pm}0.97\;{\mu}g/mL$),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50.54{\pm}0.94\;{\mu}g/mL$).

마늘 추출물의 항균, 항고혈압 및 항암활성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arlic Extracts)

  • 김기주;도정룡;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8-232
    • /
    • 2005
  • 국내산 마늘과 중국산 마늘을 methanol, ethyl acetate, chloroform. hexane으로 추출하여 항균, 항 곰팡이, 항암, 항고혈압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추출수율은 methanol추출물이 7.9-8.8 brix의 농도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보였다. 마늘 용매추출물을 E. coli, B. subtilis, S. aureus, P. aeruginosa 및 S. typhimurium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ethyl acetate와 chloroform추출물이 B. subtilis, P. aeruginosa에 대해 8-16mm의 clear zone으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 niger, M. miehei, P. rugullosum, A. oryzae, T. reesei균주의 항 곰팡이 활성은 ethyl acetate, chloroform추출물이 A. niger M. miehei, T. reesei에 대해 8-30mm의 clear zone으로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 활성은 완도 65.6%, 단양 60.4%, 서산 55.3% 및 중국산 70.1%으로 methanol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마늘 용매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는 methanol 추출물이 위암세포(SNU-1)에 대해 완도 42.3%, 단양 53.8%. 중국산 50.4% 및 서산 54.5%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궁암세포(HeLa)에 대해서는 hexane추출물에서 각각 완도 11.3%,단양 20.2%, 중국산 36.6% 및 서산 30.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새롭게 출현한 Arcobacter butzleri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 처리에 의한 생육저해효과 (Growth Inhibition of Newly Emerging Arcobacter butzlrei by Organic Acids and Trisodium Phosphate)

  • 장정순;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69-1173
    • /
    • 2003
  • 새롭게 출현한 식중독 세균으로 국내 유통 계육 등에 많이 오염이 되어 있는 Arcobacter butzleri를 제어하기 위해 여러 위생제 처리에 따른 생육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들 균체에 1%농도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를 5, 10분간 처리한 결과 대부분이 10분 이내에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의 경우는 5분 이내에 모든 균주가 사멸하였다. 배양할 때의 유기산의 농도별 생육영향은 1%의 농도로는 1시간 이내에, 0.1%의 농도에서 72시간 이내에 A. butzleri가 사멸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trisodium phosphate의 경우 2% 농도에서는 1 시간이내에 사멸하였다. 유기산 중에는 젖산의 생육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hydrogen peroxide, sodium hypochlorite와 ethanol에 대한 사멸효과를 보았으나, 이 처리제는 효과가 나쁘거나 풍미에 영향을 주어 좋은 처리제라 할 수 없었다. 그리고 마늘과 양파즙에 대한 항미생물 작용에서 마늘에만 생육저해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균이 생산하는 유기산에 의한 낮은 pH에 의한 저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계육 등의 육가공 및 취급 시에 유기산 및 TSP 등을 이용하여 주요 Arcobacter에 의한 식중독저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마늘추출물에 의한 암세포의 이동 저하 (Inhibition of Cancer Cell Migration by Compounds from Garlic Extracts)

  • 김은경;윤성지;하정민;진인혜;김영환;김선근;박다정;최영환;윤식;김치대;배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67-774
    • /
    • 2011
  • 세포의 이동은 많은 생리적 반응뿐만 아니라 암 세포 침윤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늘이 암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표준 마늘과 흑마늘을 준비하고 이들을 각각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건조하여 추출한 추출물 4 종류를 이용하여 항침윤성과 항전이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암세포의 이동은 건조 후 헥산으로 추출한 분획에 암세포의 이동 억제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 분획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정제하였으며, 이를 inhibitor of cancer metastasis from garlic #27 (ICMG-27)이라 명명하였다. ICMG-27 (6 ${\mu}g/ml$)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IGF-1에 의한 OVCAR-3와 NIH-3T3 세포의 이동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ICMG-27은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세포에서 IGF-1에 의한 이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ICMG-27은 OVCA-3, SKOV-3와 MDA-MB-231 세포와 같은 암세포에서 모두 IGF-1에 의한 이동을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이동을 일으키는 인자에 따른 ICMG-27의 영향을 확인한 것으로, IGF-1, lysophosphatidic acid (LPA), sphingosine-1-phosphate (S1P), leukotriene B4 (LTB4) 그리고, angiotensinII (AngII)에 의한 OVCAR-3 세포의 이동을 모두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ICMG-27은 암세포의 이동을 유도하는 많은 인자들에 의한 필수적인 단계를 차단함으로써, 암세포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ICMG-27에 의한 암세포의 항 침윤 메커니즘의 규명은 암환자의 치료에 기초적인 발판을 제공할 것입니다.

산수유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찜류용 기능성 간장소스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based stew sauc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 김준호;오혜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0-558
    • /
    • 2006
  • We developed a kind of soy-based sauce for stews using three recipes and sensory evaluation processes, and examined th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e, fibrinolytic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in order to use as functional ingredient. The developed stew was composed of soy sauce $1\frac{1}{2}$ Tbsp, sugar $1\frac{1}{4}$ Tbsp, garlic, small green onion, powdered sesame and sesame seed oil $\frac{1}{2}$ tsp, respectively, ginger extract $\frac{1}{4}$ tsp, black pepper $\frac{1}{8}$ and water $\frac{2}{3}$C per 300 g of main ingredients(pork rib, chicken and dried pollack). It was evaluated more highly acceptable than the original recipes by sensory test. Replacement of water in the recipe of the developed stew sauce with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did' nt affect the sensory quality.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might be a excellent source to provide health functionality.

Antimycotic Activity of Allium Sativum Against Beauveria Bassiana, Pathogenic Fungus of White Muscardine Disease in Silkworm, Bombyx mori L. (Lepidoptera: Bombycidae)

  • Mohanan, N. Madana;Guptal, S.K.;Mitra, P.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2호
    • /
    • pp.81-85
    • /
    • 2007
  • White Muscardine is the most common fungal disease of silkworm, Bombyx mori L. caused by the 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Balsamo) Vuillemin.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an attempt has been made to screen locally available medicinal/ weed plants against Beauveria bassiana. Among the plant extracts (PE) tested, 5% aqueous crude extract of the bulb of Allium sativum (Garlic) has been found to be most effective against Beauveria bassiana. The radial growth of Beauveria bassiana in vitro was inhibited to the tune of 54.9% in aqueous extract and 54.4% in ethanolic extract of Allium sativum and correspondingly mycelial dry weight gave rise to 110.7 mg and 108.7 mg against 201.7 mg in control 15 days post treatment. Similarly, silkworm larvae topically inoculated with the Beauveria bassiana conidia ($1.8{\times}10^6/ml$) registered survival up to 53.0% against 0.0% in control after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of Allium sativum. Simultaneously, as a preventive measure, silkworm larvae were put to rear in conidia contaminated seat paper instantly treated with aqueous extract of Allium sativum that also increased survival up to 61.0% against 4.6% in control.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plant extract is absolutely innocuous to silkworm.

황 함유 채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 김경희;김혜정;변명우;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77-583
    • /
    • 2012
  • 본 연구는 황 함유 채소류 중 사용범위가 넓은 마늘, 무, 부추, 생강, 양파, 파를 80% 에탄올에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추출 수율은 2.33~10.12%를 나타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강이 $233.63{\pm}4.59$, 부추가 $220.98{\pm}10.56$ mg/g GAE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양파, 파, 마늘, 무 순으로 $69.07{\pm}1.42$, $68.83{\pm}2.11$, $19.41{\pm}0.40$, $19.05{\pm}03.32$ mg/g GAE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강의 $IC_{50}$ 값이 $1.57{\pm}0.15$ mg/mL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부추>양파>무>파>마늘의 순이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value의 측정 결과 역시 생강 및 부추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의 경우 파>양파>마늘>무, FRAP value의 경우 파>양파>무>마늘의 순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전체적으로 생강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측정결과, 부추의 경우 실험에 사용된 7가지 균주에 대해 모두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늘의 경우(5 mg/disc), $B.$ $cereus$(22.3 mm) 및 $E.$ $coli$(24.3 mm)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양파와 파는 10 mg/disc 농도에서 $E.$ $coli$(12.7 및 10.3 mm)와 $B.$ $cereus$(12.0 및 12.5 mm) 균주에 대해서만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L.$ $plantarum$ 균주(10 mg/disc)에 대해서는 마늘(18.0 mm)과 부추(10.4 mm)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다양한 한국음식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황 함유채소류 중 생강 및 부추는 항산화 활성이, 부추 및 마늘은 항균력이 높아 특히 부추의 경우 식품 첨가물 및 식품 보존제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의 복합 조성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lants Mixture and Garlic Composition on Serum Lipid Level of Hypercholesterolemic Rats)

  • 신정혜;이수정;정우재;서종권;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6-402
    • /
    • 2010
  • 식물류 혼합물 1%와 0.3, 0.5% 및 0.7%의 마늘 추출물을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흰쥐에 4주간 실험 급이한 후 혈액 내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늘 추출물의 첨가농도를 0.3~0.7%로 달리하였을 때 총 식이 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실험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은 식물류 혼합물 및 마늘 추출물을 급이함으로써 대조군에 비해 약 20%, 중성지방은 9.3~15.0% 정도 감소되었으며, 인지질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9.4배 더 높았는데, 마늘 추출물을 0.5% 및 0.7% 첨가 급이할 경우 각각 $68.45{\pm}12.83\;mg/dl$$66.35{\pm}5.18\;mg/d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VLDL-콜레스테롤은 마늘 추출물을 0.5% 이상 첨가 급이할 경우 정상군과 동일한 수준까지 저하되었다. 동맥경화 지수 및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도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의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당은 마늘 추출물 0.5% 첨가군에서 $189.37{\pm}12.02\;mg/dl$로 가장 낮았고, 총 단백질 함량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급이시 $9.56{\pm}0.87{\sim}10.05{\pm}2.69\;mg/dl$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GOT 활성은 마늘추출물의 0.3% 첨가군에서 $81.86{\pm}11.73\;u/ml$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GPT 활성은 식물류 혼합물 및 마늘 추출물 급이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TBARS 함량은 마늘 추출물을 0.7%로 급이한 군에서 정상군보다 낮은 함량이었다. 혈청의 항산화 활성도 마늘 추출물의 0.7% 급이군에서 $83.75{\pm}2.32%$로 대조군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araquat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흑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 of Black Garlic Extract on Paraquat-induced Oxidative Stress in ICR Mice)

  • 노병규;이정규;원용덕;박현진;이성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60-7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Q의 독성으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흑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를 검정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써의 흑마늘 추출물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흑마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으며 마우스를 이용하여 PQ 투여 전 5일, 투여 후 5일간 흑마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PQ 독성에 의한 체중 변화 관찰과 혈중 간 기능 지표인 AST와 ALT값을 측정 하였다. 또한 간 조직에서 SOD, catalase의 활성과 GSH, MDA 함량 등을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흑마늘 추출물의 황산화 활성 성분이 PQ의 독성에 대한 회복 작용 그리고 지질과산화와의 상호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의 투여는 간조직에서 항산화 효소인 SOD, catalase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또한, 흑마늘 추출물은 자유라디컬에 의해 생성된 지질과 산화의 최종 산물인 MDA의 함량을 혈액과 간 조직에서 유의적으로 감소 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방어 작용을 하는 GSH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와 같이 흑마늘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생체 내에서 내인성 항산화 물질의 합성능력을 강화 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생체 손상에 대한 회복 작용을 향상 시킨다고 결론 내릴 수 있으며, 항산화 건강기능식품으로써의 기능성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