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xtract condition

검색결과 1,382건 처리시간 0.041초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의 추출 및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Agar from Gelidium amansii)

  • 도정룡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3-427
    • /
    • 1997
  • 국내 연안산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의 수율, 추출조건 그리고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한천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제하고 정제한 한천의 수율, 황산기, 회분 그리고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을 제조 할 때에는 $120^{\circ}C$에서 $2\~3$시간 추출하는 것이 좋았다. 여러지역에서 채취한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의 수율은 $31.6\~46.8\%$로 산지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매우컸고, 울릉도산 및 제주도산 우뭇가사리의 수율이 $46.8\%$$43.6\%$로 좋았다. 겔강도는 $496\~887g/cm^2$로 산지에 따른 차가 매우컸고, 동해안의 대변 및 일광산 우뭇가사리에서 추출한 한천의 겔강도가 887 및 $854g/cm^2$로 매우 강하였다. 추출한 한천중의 회분함량은 $2.63\~2.92\%$였고, 황산기의 함량은 $1.38\~1.78\%$였다. 염산으로 전처리하여 추출하면 전처리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오히려 수율이 감소되었고, 겔강도도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증류수로 한천을 수세한 후에 아세톤으로 탈수하면 황산기 및 회분함량이 감소될 뿐만아니라 겔강도도 618에서 $895g/cm^2$로 증가되었다. EDTA처리법은 한천을 용해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처리하여 황산기 및 회분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키토산 처리에 의한 정제법은 황산기와 회분의 제거효과가 가장 좋았다. PEG처리에 의한 한천 정제법은 황산기와 회분의 제거 효과는 상당히 좋았으나, 수율이 $55.6\%$로 매우 낮았다. CPC처리에 의한 정제 한천은 황산기와 회분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겔강도가 618에서 $1180g/cm^2$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에탄올, 아세톤 그리고 프로판을 침전법으로 정제한 한천은 황산기와 회분함량이 감소하고 겔강도는 증가되었으며, 아세톤에 의한 정제 효과가 가장 좋았다. 우뭇가사리에서 추출한 한천에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그리고 칼륨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인, 철, 알루미늄, 아연 그리고 납은 100ppm이하로 미량이었다. 나트륨을 제거하는데는 CPC처리, 칼슘의 제거는 EDTA처리, 칼륨, 인, 철 그리고 아연의 제거는 키토산 처리시에 가장 효과가 좋았다.

  • PDF

혈합육어의 조직중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 2. 고등어와 정어리 장기조직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비교 (Proteolytic Enzymes Distributed in the Tissues of Dark Fleshed Fish 2. Comparison of the Proteolytic Activity of the Tissue Extract from the Internal Organs of Mackerel and Sardine)

  • 김형낙;변재형;조진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21-528
    • /
    • 1986
  • 고등어와 정어리의 각 장기조직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최적활성조건을 분석${\cdot}$비교하고, 열안정성과 저온저장중의 활성의 변화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등어와 정어리의 각 장기에서 단백질분해효소를 추출하여 pH에 따른 단백질분해능을 분석한 결과, 소화관, 췌장, 유문수 및 비장은 알칼리성에서, 위는 산성에서, 그리고 간은 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의 세 영역에서 각각 단백질분해능이 있음을 알았다. 그리고, 소화기관인 위, 췌장, 및 유문수에서 추출한 조효소는 활성이 높았으나, 간 및 비장에서 추출한 조효소는 활성이 아주 낮았다. 2. 각 장기에서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의 열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두 어종의 위와 유문수 및 정어리의 췌장에서 추출한 효소의 내열성이 가장 약했으며, 비장과 간에서 추출한 중성단백질분해효소는 내열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각 장기에서 추출한 조효소의 저장성을 검토한 결과. $5^{\circ}C$ 저장시 두 어종의 유문수와 고등어의 췌장${\cdot}$위 및 비장에서 추출한 효소는 안정성이 높았으며, 그 이외의 조직에서 추出한 효소는 저장 28일까지 많은 실활이 일어났다. 또한 방부제 sodium azide에 의한 영향은 어종과 조직에 따라 미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15^{\circ}C$에서 저장한 경우가 $5^{\circ}C$에 저장한 경우보다 효소의 실활이 더욱 컸다.

  • PDF

창출 성분의 장관면역 자극을 통한 골수세포 증식활성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ctivity through Intestinal Immune System by the Components of Atractylodes lancea DC.)

  • 유광원;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5-141
    • /
    • 2001
  • 십전대보탕의 10가지 구성 천연물을 열수추출하여 장관면역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ALR)과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PG)에서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약한 활성을 갖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ues, ASR)와 당귀(Angelica aculiloba Kitagawa, AR)를 제외하고는 어떤 생약에서도 거의 활성을 갖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활성을 가진 생약(ALR, PG와 ASR) 중에서도 특히 ALR만이 종류, 생산지 및 육종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높은 활성을 보여주어 창출의 열수추출물 획분(ALR-0)이 십전대보탕의 장관면역 활성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시료로 선정되었다. ALR-0 획분은 다시 용매별로 분획되어 메탄올-가용성 획분(ALR-1), 메탄올-불용성/에탄올-가용성 획분(ALR-2) 및 조다당 획분(ALR-3)으로 조제되었으며 이들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지 ALR-3 획분만이 Peyer's patch를 통한 골수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는 장관면역 활성을 시료농도에 의존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획분에는 활성이 거의 없었다. 한편 ALR-3 획분을 $NaIO_4,\;NaClO_2$ 및 pronase로 처리한 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periodate 산화에 의해 심한 활성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십전대보탕의 장관면역 활성은 10종의 생약 중에서도 특히 창출이 중요하게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용매별 분획을 통해 저분자보다는 에탄올에 침전된 고분자가 주요 함유물질인 조다당 획분이 장관면역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periodate 산화에 의해 활성이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주로 다당류가 창출의 장관면역에 중요한 활성물질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자공여작용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한 산국(山菊)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for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Petals)

  • 박난영;이기동;정용진;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23-528
    • /
    • 1998
  • 반응표면분석에 의하여 야생국인 산국 꽃잎의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 및 관능적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에탄올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 실험계획에서 시료에 대한 용매비$(X_1)$, 에탄올 농도$(X_2)$, 추출시간$(X_3)$을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물의 품질 즉, 전자공여작용$(Y_1)$, 관능적 색상$(Y_2)$ 및 관능적 향$(Y_3)$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여 $60^{\circ}C$에서 추출을 실시하였다. 조건별 실험 결과는 회귀분석하여 4차원 반응표면으로 나타내었다. 종속변수들에 대한 결정계수$(R^2)$$0.8180{\sim}0.9696$ 범위로 나타났다. 산국의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 작용은 50 mL/g, 61%, 16 hr에서, 관능적 색상은 88 mL/g, 21%, 16 hr에서 그리고 관능적 향은 55 mL/g, 73%, 19 hr의 조건에서 추출물의 특성이 가장 높은 값으로 예측되었다. 산국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전자공여작용과 관능적 품질을 고려한 최적 추출조건 범위는 시료에 대한 용매비 $65{\sim}78\;mL/g$, 에탄올 농도 $90{\sim}100%$, 추출시간 $15{\sim}25\;hr$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조건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예측값들은 실제 측정값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음양곽과 $\alpha$ -MSH에 의한 B16 Melanoma 세포의 멜라닌화와 Retinoic Acid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Retinoic Acid and Melanization of B16 Melanoma Cell by Epimedium koreanum Nakai and $\alpha$ -MSH)

  • 천현자;김일광;우원홍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33-540
    • /
    • 2000
  • 음양곽 물추출액과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에 의한 B16 melanoma 세포의 멜라닌화를 비교 조사하였으며, retinoic acid (RA)에 의한 억제효과도 연구하였다. B16 melanoma 세포(1×$10^5$개 정도)를 $\alpha$-MSH로 처리하고 72시간 배양한 결과 $\alpha$-MSH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tyrosinase 활성도와 melanin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8 ng/mL 처리시 tyrosinase 활성도는 350%, melanin 함량은 290% 이상이었다. 음양곽 물추출액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100 ${\mu}g$/mL 처리시 tyrosinase 활성도는 200%, melanin 함량은 180% 이상이었다. 위 조건에 RA를 가하면, $\alpha$-MSH의 경우 tyrosinase 활성도는 350%에서 210%로, melanin 함량은 290%에서 250%로 억제되었다. 음양곽 물추출물의 경우 tyrosinase 활성도는 200%에서 100%로, melanin 함량은 180%에서 120%로 억제되었다. 이 결과는 음양곽 물추출액이 cAMP 신호전달 경로를 통하여 B16 melanoma 세포의 멜라닌화를 촉진하며, RA는 그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Bacillus pumilus RS7에 의한 난분해성 케라틴 분해효소의 생산 및 아미노산 공급원으로서 우모 분해산물 (Production of Keratinolytic Protease by Bacillus pumilus RS7 and Feather Hydrolysate As a Source of Amino Acids)

  • 우은옥;김민주;손형식;유은연;정성윤;손홍주;이상준;박근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0호
    • /
    • pp.1203-1208
    • /
    • 2007
  • Feathers are produced in huge quantities as a waste product at commercial poultry processing plants. Since feathers are almost pure keratin protein, feather wastes represent an alternative to more expensive dietary ingredients for animal feedstuffs. Generally they become feather meal used as animal feed after undergoing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These processes require significant energy and als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s. Therefore, biodegradation of feather by microorganisms represents an alternative method to prevent environment contamin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ltural conditions affecting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pumilus RS7. We also assessed the nutritive value of microbial and alkaline feather hydrolysates, The composition of optimal medium for the keratinolytic protease was fructose 0.05%, yeast extract 0.3%, NaCl 0.05%, K2HPO4 0.03%, KH2PO4 0.04% and MgCl2 6H2O 0.01%, respectively. The optimal temperature and initial pH was $30^{\circ}C$ and 9.0, respectively. The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tion under optimal condition reached a maximum after 18 h of cultivation. Total amino acid content of feather hydrolysates treated by NaOH and B. pumilius RS7 was $113.8\;{\mu}g/ml$ and $504.9\;{\mu}g/ml$, respectively.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of feather hydrolysates treated by NaOH and B. pumilius RS7 was $47.2\;{\mu}g/ml$ and $334.0\;{\mu}g/ml$, respectively. Thus, feather hydrolysates have the potential for utilization as an ingredient in animal feed.

고체상 정제 및 HPLC/PDA에 의한 영유아식 중 나이아신의 분석 (Determination of Niacin in Infant Formula by Solid-phase Clean-up and HPLC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 홍지은;김미란;천상희;채정영;박은령;문춘선;곽인신;김옥희;이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59-363
    • /
    • 2009
  • 영유아식 중 나이아신의 기기분석법을 개발하고 영 유아식 중의 나이아신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니코틴산 및 니코틴 아미드에 대해 액체 추출 및 고체상 정제과정을 통해 전처리 한 후 HPLC로 분석할 경우 $83{\sim}104%$ 범위의 회수율과 $1.5{\sim}3.5%$ 범위의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260 nm의 파장에서 분석할 경우 $0.02{\sim}10$ mg/L 범위에서 검량선의 직선성이 1.0000 수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영유아식 중의 검출 한계는 0.2 mg/kg 수준으로 나타났다. 총 50건의 영 유아식에 대해 나이아신 함량을 모니터링한 결과 $53.5{\sim}140.3$ mg/kg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3회 반복시험 시의 상대표준편차는 $0.6{\sim}5.5%$ 범위로 나타나 본 방법이 나이아신 분석에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매복된 하악 제 3 대구치 발치시 항생제 투여의 효용성 (THE EFFICACY OF ANTIBIOTIC ADMINISTRATION IN THE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

  • 여환호;정종훈;박주철;강태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370-375
    • /
    • 1999
  •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tibiotic administration in the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 the author investigated 107 patients requiring extraction of the lower third molar who visited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hosun Dental Hospital and were healthy without medical problems and had no signs and symptoms of infection around the lower third molar.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method of antibiotics administration: 13 patients without antibiotics administration(group 1), 30 patients with only intravenous injection of $Cefazoline^{(R)}$ 2.0g 30 minutes before the procedure(group 2), 39 patients with intravenous injection of $Cefazoline^{(R)}$ 2.0g 30 minutes before the procedure and oral administration of follow-up dosages of $Augmentin^{(R)}$ for 1 day(group 3), and 25 patients with intravenous injection of $Cefazoline^{(R)}$ 2.0g 30 minutes before the procedure and oral administration of follow-up dosages of $Augmentin^{(R)}$ for 3 day(group 4). Infection rates after extraction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according to gender, the age of the patients, the level of impaction, and also compared between four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infection rate was 8.4%. 2. The infection rate was higher in male(11.9%) than in female(4.2%),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3. Infection rate was lower in patients under age 30(7.2%) than in patients over age 30(12.5%),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between them. 4. Infection rat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complete bony impacted tooth(11.1%) than in patients with partial bony impacted tooth(6.5%),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5. Infection rate was 7.7% in group 1, 10.0% in group 2, 10.3% in group 3, 4.0% in group 4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ummary, it is more important to extract the impacted lower third molar under aseptic condition and to minimize the injury of tissue if possible than to administer the preventive antibiotics in reducing the infection rate in healthy patients without medical problems who had no signs and symptoms of infection around the lower third molar.

  • PDF

Chemometric 방법에 의한 메탄올/물 계에서 전이 금속 이온과 소염제 Piroxicam의 산성도 및 착체 형성에 관한 분광광도법 연구 (Spectrophotometric Study of Acidity and Complex Formation of Anti-Inflammatory Drug Piroxicam with Some Transition Metal Ions in Different Methanol/Water Mixtures by Chemometric Methods)

  • Ghasemi, Jahan B.;Jalalvand, Alireza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693-703
    • /
    • 2009
  • 소염제 piroxicam (PX, 4-hydroxy-2-methyl-N-2-pridyl-2H-1, 2-benzothiazine-3-carboxadiamide-1,1-dioxide)의 착물형성을 전이금속이온, Co(II), Ni(II), Cu(II), Zn(II)과 함께 메탄올(MeOH)/물 이성분 혼합물에서 25$^{\circ}C$, 일정한 pH=5.0와 I=0.1 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 SQUAD를 스팩트라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얻는데 사용하였다. Fitting 과정의 output은 안정도 상수, 평가한 안정도 상수의 표준편차, 농도분포 다아그램, 모든 종의 스팩트럼 프로파일이다. Co(II), Ni(II), Cu(II), Zn(II)의 PX 착체의 안정도 순서는 Cu(II) > Co(II) > Ni(II) ${\approx}$ Zn(II) 순서이다. 이것은 이들 금속이 온들이 기하학적 경향이 다른 이유일 것이다. PX의 산성도 상수는 다른 pH 값에서 흡수 스펙트럼으로 부터 위의 조건에서 역시 결정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 DATAN을 PX의 산성도 상수의 결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산성도 상수의 validity는 잘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 SPECFIT/32을 사용하였다. 안정 및 산성도 상수의 용매성질, 음이온과 같은 다른 인자의 효과에 관하여 자세하게 논의하였다.

반응표면 분석에 의한 도토리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적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Acorn Hot-Water Extrac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진만;김성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1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도토리를 이용한 기능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한 연구의 일환으로 도토리의 항산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온도 $30{\sim}70^{\circ}C$, 추출시간 $1{\sim}5$ 시간, 용매비 $5{\sim}25$ mL/g을 중심합성계획법으로 16개의 구간으로 하여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전자공여능, 항산화능 및 아질산 염소거작용 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온도 $57.91^{\circ}C$, 추출시 간 4.08 시간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39 mL/g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용매비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추출시간 및 추출온도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에 대해서는 추출온도 $60.37^{\circ}C$, 추출시간 2.85 시간 및 용매비 6.47mL/g일 때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항산화능에서는 최대값이 2.09 AI로 예측되었고, 이때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37.11^{\circ}C$, 추출시간 1.67시간 및 용매비 18.84 mL/g이었으며 추출온도, 추출시간 및 용매비 모두에 대해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소거능은 추출온도 $47.07^{\circ}C$, 추출시간 1.24시간 및 용매비 19.55 mL/g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추출 후 아질산염소거능의 변화는 용매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받으며, 다음으로 추출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정 범위내에서 추출시간에 대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