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solution textur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하동군 북천면 지역 함티타늄광체 내 티탄철석의 산출특성 (Occurence of Ilmenite on the Ti-bearing Ore Bodies in Bukcheon, Hadong Area)

  • 곽지영;최진범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7-205
    • /
    • 2014
  •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지역은 하동 회장암체의 최남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회장암체의 남서쪽에서 섬록암이 관입하여 나타난다. 이 지역의 회장암 및 섬록암 내에는 티탄철석 광체가 발달하고 있는데 이 중 섬록암 내의 산상은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 없다. 회장암 내 광체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은 단일광물로 산출되는 반면, 섬록암 내 광체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 내에는 티탄철석-산화철, 금홍석-산화철 간의 용리조직이 관찰된다. 티탄철석 내 MnO의 함량은 섬록암체 내 광체에서 2.14~3.74 wt%로 회장암 내 광체에서의 함량보다 높게 나타나며, 사장석은 섬록암체에서 안데신($An_{28.7-42.9}$)의 조성을 보여주고, 회장암에서 라브라도라이트($An_{57.1-72.8}$)의 조성을 보여준다. 섬록암 내 광체에서 산출되는 티탄철석에서 관찰되는 용리조직은 섬록암의 관입으로 공급된 열에 의해 부분 재용융이 일어나고 냉각과정에 티탄철석이 산화철과 금홍석으로 용리된 것으로 사료된다.

덕음광산(德音鑛山) 은광물(銀鑛物)의 입도(粒度)와 조직(組織) (Grain Size and Texture of Silver Minerals from Duk-Eum Ore Deposits)

  • 양동윤;지정만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spc호
    • /
    • pp.227-237
    • /
    • 1986
  • The Duk-Eum mine located in Kongsan-myeon, Naju-gun, Cheolanamdo is producing silver ore mainly, with rare gold association. The grade-up and recovery of the concentrates have been concerned to the main problem. And then, this study aimed at applying the basic data for ore processing. In the first half of the study, the attempts were made to identify the ore minerals, this followed by determination of the mineral texture, paragenesis, grain size, and size distribution by employing the microscopical method and the etching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ore deposit is composed of the hydrothermal fissure linked veins, and filling cavities are mostly tensile fractures or joints, in rhyolitic rocks as a wall rock. 2. The principle ore minerals are native silver, acanthite, canfieldite, pyrargyrite, galena, tetrahedrite, sphalerite, pyrrhotite, chalcopyrite, chalcocite, covellite, zincite, and the gangue minerals are quartz and calcite. 3. The grain size of each ore minerals before grinding are; max. $2\frac{1}{2}$ mesh, medium 48-100 mesh(main size, contained over 80%), min. 3200mesh. And the grain size of each ore minerals after grinding is; max. 42mesh, medium 65-250mesh(main size, contained over 80%), min. 3200mesh. 4. The properties of the mineral texture effected on the ore dressing are follows; a) Inclusion texture; the fine grains of chalcopyrite is included in most acanthite, and rarely, that of galena included in acanthite. b) Exsolution texture; pyrargyrite is exsolved in acanthite. c) Replacement texture; native silver replaced pyrargyrite, and acanthite replaced galena. d) Interlocking paragenetic texture; the interlocking paragenetic minerals are pyrite, chalcopyrite, chalcocite, canfieldite. e) Fissure filling texture; chalcopyrite was filled along the cracks in acanthite. Among of the above texture, it is impossible to liberate the grains of a), and more difficult to liberate those of b) and c), while easy to liberate those of d) and e).

  • PDF

거도광산(巨道鑛山) Fe-Cu 및 Au-Bi-Cu 광상(鑛床)에 대(對)한 광물학적(鑛物學的) 및 성인적(成因的) 연구(硏究) (Mineralogy and Genesis of Fe-Cu and Au-Bi-Cu Deposits in the Geodo Mine, Korea)

  • 고재동;김수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15권4호
    • /
    • pp.189-204
    • /
    • 1982
  • The Geodo mine is located in the southern limb of the Hambaeg syncline. Geology of the area consists of Paleozoic-Mesozoic sedimentary Rocks and Cretaceous igneous rocks. The important igneous rocks presumably related to skarnization and ore mineralization in the area, are the early granodiorite and the late porphyritic granodiorite. Two mineralogical types of ore deposits are recognized in the area. They are the Fe-Cu deposits in the Myobong formation and the Au-Bi-Cu deposits in the Hwajeol formation. Contact metamorphism due to granodiorite intrusion includes hornfelsization, exoskarnization and endoskarnization. Wall-rock alterations related to the Fe mineralization are grouped into the hydrothermal replacement skarnization and the hydrothermal filling skarnization. Another hydrothermal alte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Cu mineralization. Various mineralogical analyses have been applied for the identification of minerals. They include optical microscopy, chemical analysis, etching test, X-ray diffraction, and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ic analyses. The ore minerals in these ore deposit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hypogene and supergene minerals. Hypogene minerals consist of magnetite, pyrite, chalcopyrite, and chalcocite. Supergene minerals consist of chalcocite, bornite, and geothite. Ore minerals show various kinds of ore texture: open-space filling, exsolution, replacement, and cementation texture. The gangue minerals consist of quartz, diopside, epidote, garnet and plagioclase in the hornfelsic zone, garnet, diopside, scapolite, actinolite, sericite, chlorite, quartz, and calcite in the skarn zone, and, epidote, chlorite, sericite, quartz, and calcite in the late hydrothermal alteration zone. This study shows that the Fe-Cu deposits are of metasomatic pipe type with the later hydrothermal fillings, and the Au-Bi-Cu deposits are of hydrothermal fissure-filling type. The mineralization is probably related to the intrusion of porphyritic granite.

  • PDF

Sulfide MINERALs texture AT THE HUGO DUMMETT PORPHYRY Cu-Au DEPOSIT, OYU TOLGOI, MONGOLIA

  • Myagmarsuren, Sanjaa;Fujimaki, Hirokazu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convergence
    • /
    • pp.99-102
    • /
    • 2008
  • Mineralogical studies of ore and alteration mineral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Hugo Dummett porphyry copper deposit. The Hugo Dummett porphyry copper gold deposit is located in the South Gobi region, Mongolia and currently being explored. This deposit divided into the Cu-rich Hugo Dummett South and the Cu-Au-rich Hugo Dummett North deposits. The Hugo Dummett deposits contain 1.08% copper(1.16 billion tonnes in total) and 0.23 g/t gold(Oyunchimeg et al., 2006). Copper-gold mineralization at these deposit are centered on a high-grade copper(typically>2.5%) and gold(0.5-2 g/t) zone of intense quartz stockwork veining. The high grade copper and gold zone is mainly within the Late Devonian quartz monzodiorite intrusions and augite basalt, also locally occurs in dacitic rocks. Intense quartz veining forms a lens up to 100 m wide hosted by augite basalt and partly by quartz monzodiorite. Although many explorations have been carried out, only a few scientific works were done in the Oyu Tolgoi mining area. Therefore the nature of copper-gold mineralization and orgin of the deposit is not fully understood. Copper-gold mineralization in the Hugo Dummett deposits occurs in dominantly quartz monzodiorite and minor augite basalt, dacitic rocks and locally biotite granodiorite. Chalcopyrite, pyrite, bornite, molybdenite, tennantite, tetrahedrite, enargite, sphalerite, chalcocite, covellite, eugenite, galena and gold occur as main ore minerals in the Hugo Dummett North and South deposits. These sulfides occur as: (1) a vague vein-like trail 1-3cm long and 2-3 mm wide, (2) minute, discontinuous cracks within quartz(micron scales), and (3) irregular blebs/spots(micron scales)and (4) disseminated within the sericite and plagioclase, commonly concentrated in the quartz. Sulfide minerals commonly display as a replacement, intergrown and minor exsolution texture in the both of the Hugo Dummet deposits.

  • PDF

제주도 현무암에 포획된 Type II 포획암: 성인과 조직적 특성 (Textural and Genetic Implications of Type II Xenoliths Enclosed in Basaltic Rocks from Jeju Island)

  • 유재은;양경희;황병훈;김진섭
    • 암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3-236
    • /
    • 2009
  • 제주도 동남부에 산출되는 초염기성 포획암은 두 그룹, Type I과 Type II로 분류되어진다. Type I 포획암은 Mg 성분이 높은 광물(mg#=89-91)로 구성된 페리도타이트로서 노두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된다. 제주도 초염기성 포획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Type I 맨틀포획암에 관한 것이다. 반면에 Type II 포획암은 상대적으로 Mg, Ni, Cr성분은 낮고 Fe, Ti 성분이 높은 감람석, 사방휘석, 단사휘석(mg#=77-83)으로 이루어져 있다. Type II 포획암의 성분은 월라이트-감람석 단사휘석암-감람석 웹스터라이트-웹스터라이트이며, Ti이 풍부한 단사휘석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Type II 포획암은 노두에서 포이킬리틱한 조직을 나타내어 규뮬레이트의 특성을 보인다. Type II 포획암에 나타나는 삼중점과 킹크밴딩, 직선적인 입자경계 조직은 Type II 포획암이 열에 의해 야기되는 정적재결정작용과 어닐링을 경험하였음을 지시한다. 조립질의 사방휘석과 단사휘석은 용리엽리를 보이며(고온형 휘석), 세립질의 휘석은 용리엽리를 보이지 않는(저온형 휘석) 특성을 보이지만 이들의 주성분조성은 거의 유사하여 저온에서 화학적 재평형이 완전히 이루어졌음을 지시한다. 단사휘석과 감람석의 가장자리를 사방휘석이 교대치환하고 있어 사방휘석의 부화작용(enrichment)이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같은 노두에서 발견되는 Type I 맨틀포획암, 반려암질포획암, 모암인 현무암내의 결정들과 비교해보면 Type II 포획암의 주성분원소 조성은 Type I 맨틀포획암과는 뚜렷하게 단절되는 불연속을 형성하지만 반려암 질포획암과 모암인 현무암과는 연속적인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조직적 특성과 주성분원소 성분조성은 Type II 포획암이 현재의 모암인 현무암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할지라도 제주도를 형성한 마그마계의 일부분으로 분별결정작용에 의한 집적암(cumulates) 기원임을 제시한다.

순경(順鏡) 페그마타이트에서 산출(産出)되는 석석(錫石), 콜럼바이트, 탄탈라이트 및 수반광물(隨伴鑛物)에 대한 광물화학(鑛物化學) (Mineral Chemistry of Cassiterite, Columbite, Tantalite and Associated Minerals from Soonkyoung Tin-bearing Pegmatite)

  • 김수영;문희수;박노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4호
    • /
    • pp.327-339
    • /
    • 1989
  • 상동지역(上東地域), 순경(順鏡) 함광석(含鑛石) 페그마타이트에서는 석석(錫石)을 비롯하여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 그리고 함(含)Ta-금홍석(金紅石) 등(等)이 산출(産出)된다. 석석(錫石)은 산포상(散布狀)의 미정질(微晶質)에서부터 거정질(巨晶質)에 이르기까지 다양(多樣)하며, 일반적(一般的)으로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 함(含)Ta-금홍석(金紅石)과 공존(共存)하고 있다.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는 미세맥(微細脈) 혹은 용리상능(溶離狀能)로서 석석결정(錫石結晶)에 배태(胚胎)되며 간혹 독립광물(獨立鑛物)로서 석영(石英)에 수반(隨伴)되는 경우가 있다. 함(含)Ta-금홍석(金紅石)은 상기(上記)한 광물(鑛物) 중 최후기상(最後期相)으로서 석영(石英)을 수반(隨伴)하는 세맥상(細脈狀)으로 산출(産出)된다. 석석(錫石)에서 ${\Sigma}Ta^{+5}$, $Nb^{+4}$, $Ti^{+4}$ 및 Fe*은 $Sn^{+4}$과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로 치환(置換)에 전적(全的)으로 관계(關係)하고 있으며, 0.01-0.15mol.% 까지 치환(置換)하고 있다. $Ta^{+5}$$Nb^{+5}$는 Fe* 쌍치환관계(雙置換關係)이며 $Ta^{+5}$$Ti^{+4}$와 화학적(化學的) 친화관계(親化關係)로서 밀접(密接)히 수반(隨伴)된다. 이상구조(異常構造)가 발달(發達)된 석석(錫石)은 결정(結晶)의 내핵(內核)에서부터, 외각(外殼)으로 갈수록 Ta/Nb 비(比)가 증가(增加)하며, 이는 온도(溫度)의 하강(下降)에 따른 Ta의 참여효과(參與效果) 가 높아지는데 기인(起因)된다. 함(含)Ta-금홍석(金紅石)은 $TiO_2$:57.41-86.00wt.%, $Ta_2O_5$:5.08-21.51 wt.%, $Nb_2O_5$:1.60-6.81 wt.%, FeO*:2.06-5.85 wt.% 그리고 $SnO_2$:1.74-10.35 wt.%의 화학조성(化學造成)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본 광물(鑛物)은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에 비(比)하여 Ta/Ta+Nb의 비(比)가 높다.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의 화학조성(化學造成)에 의하면, Ta/Ta+Nb가 증가(增加)하고, Mn/Mn+Fe*는 감소(減少)하는 분결경향(分結傾向)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은 분결작용(分結作用)이 진행(進行)되는 동안 Ta의 활동도(活動度)가 증가(增加)되는 것으로 Li과 F가 고갈(枯渴)되고, Be과 P가 풍부(豊富)한 환경(環境)을 지시(指示)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환경(環境)은 순경(順鏡) 페그마타이트에 Li과 F 운모(雲母)의 부재(否在)와 탄탈라이트와 녹주석(綠柱石)이 석석(錫石) 광화작용(鑛化作用)과 밀접(密接)히 수반(隨伴)되는 것과 일치(一致)하는 것이다. 본 페그마타이트는 Ta-Be 복합형(複合型)의 페그마타이트로서 석석(錫石)은 탄탈라이트-콜룸바이트, 녹주석(綠柱石) 등(等)의 분결작용(分結作用)을 수반(隨伴)하며 형성(形成)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