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program

검색결과 4,020건 처리시간 0.031초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체험프로그램 개발방법에 관한 연구 -2005 안동 군자마을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체험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Process of Experience Program in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 Focusing on Development Process of Experience Program in '2005 Andong Gunjamaul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

  • 신중진;김희경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4호
    • /
    • pp.7-2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ing a method of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for organizing continuous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Therefore, with having purpose of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which is deeply related with residents organization and architecture in the village, the researcher has participated in '2005 An-dong Gunjamaul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accomplished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which can continuously manageable by residents and space and facilities which are accompanied with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veloping process of experience program has four phases, selecting program, planning program, growing and changing program, and practicing and firmly establishing program. More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ce planning and setting up a resident's organization and the experience program need to be considered. The things that experts have to consider are come up with three subjects. First, planning experience program with citizen participation. Second, designing experience program with spaces which will contain the programs. Third, developing programs which are accompanied with rediscover village's resources through continuous feedback.

  • PDF

제주도의 지역 환경 자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Upper Grades using Local Environmental Resources of Jeju Island)

  • 강경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3호
    • /
    • pp.72-8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experience-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which use environmental resources and learning sources of Jeju island. This study designed developing framework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using local resources and developed experience-education program on the basis of it. Especially this program consisted of direct experience, indirect experience, and local community learning. This program consisted of five activities -'Jeju's water', 'Mecca of wind power', 'Rushing jellyfish', 'Ramsar wetland', and 'Searching the fossil'. Each activity themes was to use environmental resources of Jeju island. And this program had relationship with science, social studies, and ethics in the curriculum.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serve to activ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using local resources if we solve program's problem through application process.

  • PDF

간호학생의 장애체험이 장애인에 대한 관심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Changes in Interest and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ward the Disabled before and after the Disability Experience Program)

  • 강현숙;김정화;김원옥;박종님;이차연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8-95
    • /
    • 2004
  •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oncern and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ward the disabled before and after the disability experience program. Method: 151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in Nat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were conveniently selected as the subject. All subjects had experience the disability program,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3hours' program.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1.0 with paired t-test. Results: 1. The concern toward the disabled after their disability experience program was more positive than before(t=-4.930, p=.000). 2. Th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after their disability experience program was more positive than before(t=5.892, p=.000). 3. The appreciation of daily life after their disability experience program was higher than before(t=-8.563, p= .000). Conclusion: In summary, the disability experience program should be effective in order to promote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Therefore expansion of this program is of profound significant.

  • PDF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Healing Experience Program on Satisfaction: Focused on Experience Cost and Experience Time)

  • 안혜정;강순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183-200
    • /
    • 2022
  • 본 연구는 치유농업 분야에서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농촌 체험프로그램을 개발 하는데 있어서 치유 체험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어떤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치유체험프로그램의 마케팅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참여시간과 참여비용이 치유체험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을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치유 체험프로그램의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해 봄으로써, 치유체험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을 매개변수로 하는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으로써 농촌 체험프로그램의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한다. 체험프로그램의 하위요인으로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 심미적 체험이 있으며, 매개변수로 체험시간, 체험비용이 있으며, 종속변수로 만족도를 두었다. 또 한 설문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조사대상은 치유체험프로그램에 관심이 있거나 인지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 중 유효한 314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SPSS v22.0을 사용하였으며, 매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법과, Andrew F. Hayes(2018)의 SPSS PROCESS Macro Model No.4 검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결과에 대하여 비교함으로써 매개 효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적 체험(𝛽=.134, t=1.759*)이 체험비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체험(𝛽=.144 t=1.684*)이 체험시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적 체험(𝛽=.239, t=4.112***)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체험(𝛽=.330 t=4.921***)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시간은 심미적 체험과 만족도 사이에서 부(-)의 비일관적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미적 체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총 효과는 𝛽=.330 t=4.921***이며, 체험시간을 매개변수로 투입 시 직접효과(𝛽=.349 t=5.241***)는 총효과에 비해 𝛽=.019 만큼 증가한 반면, 간접효과(𝛽=-.019)로 부(-)의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경제이론에 의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Experiential Economy Theory on Perceived Valu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 김미정;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24
    • /
    • 2022
  • 본 연구는 체험경제이론을 반영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한 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4가지 요소 즉, 오락적 경험, 교육적 경험, 현실 도피적 경험, 심미적 경험을 교수·학습 활동에 반영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연구가설 1(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프로그램의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은 심미적 경험과 오락적 경험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가설 2(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교육적 경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농촌체험프로그램에 대한 대구시 학부모 선호 및 지불의사금액 추정 (A Study on Parents' Preference and estimate Parents' Willingness to Pay for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in Daegu City)

  • 권중섭;임청룡;장우환
    • 농촌계획
    • /
    • 제19권2호
    • /
    • pp.163-17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parents' preference and estimate parents' Willingness to pay(WTP) for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in daegu city by choice experiment(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ivided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into three types, namely: nature seeing, play exercise and learning experience. Second, the study has shown that parents prefer learning experience among those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s. Among attributes which form a experience program, instructor certificates, consuming time and expense for participant are statistically effecting significant impact. Third, the result of estimation on willingness to pay for development of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is as follow. The willingness to pay for learning experience is 6,337won, willingness to pay for instructor certificates is 14,102won and it for consuming time is 2,926won. Therefore, composition centering learning experience is better and instructor who has expert certificate is required. It is much better to compose that the consuming time is longer and the expense for experience is lower. But there is limitation because this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an assumption, so it could read over estimation problem.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using rural resources and to improve rural tourism policy.

플로러닝기반 자연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Nature Experience Activity based on Flow-learning)

  • 백연주;이동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19-128
    • /
    • 2023
  • 본 연구는 플로러닝을 기반으로 자연에 대한 인식과 활동 방법을 익히고 느낄 수 있는 자연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연체험활동을 통한 대안적 수업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연과 만나기, 자연 탐구하기, 자연과 온몸으로 놀기, 자연에서 느낀 감동 나누기의 네 단계가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는 플로러닝 자연체험활동을 기저로 하여 ADDlE 교수설계 모형의 각 단계별 주요 절차를 바탕으로 자연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을 통하여 자연체험활동 프로그램의 각 단계별 활동 및 유의사항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주요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연체험활동 프로그램은 교사에게 자연체험활동 방법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자연체험활동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유아는 자연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연을 자유롭게 느끼고 경험하며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학습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 박물관의 체험활동프로그램 조사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Program of Domestic Museums)

  • 채교문;정진주;최효승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3-20
    • /
    • 2004
  • Museums have conducted the role of conserving, collecting, and displaying cultural property generally but main museum function transforms the role of social educational place accomplishing various instruction programs .recently through social perception's changing.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 having experience program is more effect than before that. Museums need exhibition for preservation of property in regional community and history, as well as certainly require the concept to importing experience program. Through analysing experience program patterns and varieties in domestic museum. I will propose basic dater to supply preliminary and intermediate study.

  • PDF

환경기초시설을 활용한 환경교육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埋立場을 中心으로- (The Development of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Program of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ing Environmental Facilities - Focus on the sanitary landfill -)

  • 곽홍탁;이두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2호
    • /
    • pp.91-102
    • /
    • 2000
  • National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recommends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including survey and discuss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investigation of case studies, experiments, role play, and field-experience learning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s.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a good method to develop environmentally sound attitude and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but here has been very limited research concerning models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program of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ing environmental facilities. In this study a kind of such a basic model was developed and presented. The developed basic model of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was applied to the case utilizing landfill facilities.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landfill program to the Bangcheon-ri landfill, in Daegu, was also presented with related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ies. And various aspects in the program was discussed.

  • PDF

지역축제 체험프로그램 만족이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중심으로 - (Impact of Sense of Satisfaction with Regional Festival Experience Program upon Intention for Re-visit - With Focus on Andong International Mast Dance Festival -)

  • 이재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70-379
    • /
    • 2009
  • 본 연구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의 행사기간인 2008년 9월 26일부터 10월 5일까지 축제에 참석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이 재방문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의 체험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행사진행에 대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고 일탈감과 창의적 체험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에서도 편리성과 창의성 부분에 높은 만족도 보이고 있어 축제체험프로그램의 만족이 재방문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거듭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의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접근성과 체험프로그램이 꾸준히 연구 개발되어야 하고 변화하는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체험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