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olution family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8초

Cytological Analyses of Iris ruthenica K. Gawl. (Iridaceae),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 Choi, Bokyung;Temsch, Eva M.;Weiss-Schneeweiss, Hanna;So, Soonku;Myeong, Hyeon-Ho;Jang, Tae-So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24
    • /
    • 2019
  • Iris L. is a perennial genus comprising approximately 300 species worldwide, with the greatest number of endemic species occurring in Asia. Iris is one of the largest genera in the family Iridaceae and includes ca. 15 species native to Korea. Although chromosome number change, karyotype restructuring, and genome size vari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plant genome diversification, understanding the karyotype variation in Korean Iris species has been hampered by the wide range of base chromosome number (x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2) reported to date. This study documents the chromosome numbers, karyotype structure and genome size variation in Iris ruthenica K. Gawl.,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obtained using classic Feulgen staining and flow cytometry. The chromosome number of all investigated plants from the nine populations was 2n = 42. All individuals studied possessed metacentric and submetacentric chromosomes. The genome size of the I. ruthenica in eight wild populations ranged from 2.39 pg/1C to 2.45 pg/1C ($2.42{\pm}0.02pg/1C$: $mean{\pm}SD$).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report of genome size variation in Iris ruthenica in Korea. This study lays foundation for cytogenetic further analyses employing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to better understand the chromosomal evolution in this species and in the whole genus.

  • PDF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and Rapid Molecular Detection of Xanthomonas euvesicatoria Using Unique ATP-Dependent DNA Helicase recQ, hrpB1, and hrpB2 Genes Isolated from Physalis pubescens in China

  • Faisal Siddique;Yang Mingxiu;Xu Xiaofeng;Ni Zhe;Haseeb Younis;Peng Lili;Zhang Junhu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91-206
    • /
    • 2023
  • Ground cherry (Physalis pubescens) is the most prominent species in the Solanaceae family due to its nutritional content, and prospective health advantages. It is grown all over the world, but notably in northern China. In 2019 firstly bacterial leaf spot (BLS) disease was identified on P. pubescens in China that caused by both BLS pathogens Xanthomonas euvesicatoria pv. euvesicatoria resulted in substantial monetary losses. Here, we compared whole genome sequences of X. euvesicatoria to other Xanthomonas species that caused BLS diseases for high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in genomic sequences through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and BLAST comparison. Molecular techniques and phylogenetic trees were adopted to detect X. euvesicatoria on P. pubescens using recQ, hrpB1, and hrpB2 genes for efficient and precise identification. For rapid molecular detection of X. euvesicatori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real-time PCR techniques were used. Whole genom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genome of X. euvesicatoria was more closely relative to X. perforans than X. vesicatoria, and X. gardneri with 98%, 84%, and 86% ANI, respectively. All infected leaves of P. pubescens found positive amplification, and negative controls did not show amplification. The findings of evolutionary history revealed that isolated strains XeC10RQ, XeH9RQ, XeA10RQ, and XeB10RQ that originated from China were closely relative and highly homologous to the X. euvesicatoria. This research provides information to researchers on genomic variation in BLS pathogens, and further molecular evolution and identification of X. euvesicatoria using the unique target recQ gene through advance molecular approaches.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Analyses of SSIV-2 Gene in Rice

  • Thant Zin Maung;Yong-Jin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2-212
    • /
    • 2022
  • Soluble starch synthase (SS) IV-2 is one of the starch synthase gene family members and responsible for starch chain elongation interacting with other rice eating and cooking quality controlling genes (e.g., AGPlar and PUL). SSIV-2 is mainly expressed in leaves, especially at grain-filling stage and its alleles can significantly affect rice quality. Here, we investigated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analyses of SSIV-2 gene by using 374 rice accessions. This rice set was grouped into 320 cultivated bred (subsequently classified into temperate japonica, indica, tropical japonica, aus, aromatic and admixture) and 54 wild rice. Haplotyping of cultivated rice accessions provided a total of 7 haplotypes, and only three haplotypes are functional indicating four substituted SNPs in two exons of chromosome 5: T/A and G/T in exon 4, and C/G and G/A in exon 13. Including the wild, a highest diverse group (0.0041), nucleotide diversity analysis showed temperate japonica (0.0001) had a lowest diversity value indicating the origin information of this gene evolution. Higher and positive Tajima5s D value of indica (1.9755) indicate a selective signature under balancing selection while temperate japonica (-0.9018) was in lowest Tajima's D value due to a recent selective sweep by positive selection. We found the most diverse genetic components of the wild in PCA but shared in some portion with other cultivated groups. Fixation index (FST-values) and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 a closer relationship of the wild with indica (FST=0.256) than to its association to both of temperate japonica (FST=0.589). Structure analysis shows a clear separation of cultivated subpopulations at every K value, but genetic components were admixed within the wild illustrating the same genetic background with japonica and indica in some proportion.

  • PDF

조선 16~17세기 관요(官窯) '별(別)'명 백자의 성격과 제작 배경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Gwanyo's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with "Byeol(別)" Inscription in 16th and 17th Century Joseon)

  • 김귀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214-230
    • /
    • 2022
  • 이 글은 조선 16~17세기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별(別)'명 백자의 성격과 제작 배경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별'명 백자는 1560년대 이후 '좌(左)·우(右)'명 백자와 함께 관요 백자의 이원적(二元的)인 명문 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별'명 백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15~17세기 관요 백자에 새겨지는 명문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별'명 백자는 1560년대부터 1640년대까지 관요에서 생산되었다. 관요는 연례진상자기(年例進上磁器) 이외에 왕실이나 조선 조정의 요구에 대응하여 별기(別器)를 제작·공급하였다. '별'명 백자는 별번(別燔)을 통해 생산한 별기이다. 별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국용(國用)과 내용(內用)으로 구분된다. 다만, 그릇에 '별(別)'만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명의 성격을 정확히 언급하기 어렵다. 연례진상자기가 별기로, 별기가 또 다른 목적으로 전용(轉用)되면서 소비와 관련된 명문이 백자에 점각(點刻)되었다. 16세기 왕실은 신유공안(辛酉貢案)을 바탕으로 백자 소비를 확대하였다. 왕실은 1560년대 관요의 운영 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 최상품(最上品) 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별'이라는 명문을 활용하였다. 관요 백자는 생산단계에서부터 연례진상자기인 '좌·우'명 백자와 별기인 '별'명 백자로 구분·관리되었다. '별'명 백자는 1640년대까지 제작되었다. 1640년대 중·후반은 관요에서 별번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다. 1659년경부터는 연례진상자기를 만드는 백토(白土)와 별기 소용 백토를 다른 지역에서 공급받았다. 당시 연례진상자기는 원주토(原州土)·서산토(瑞山土), 별기는 경주토(慶州土)·선천토(宣川土)를 원료로 사용하였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경주토·선천토가 원주토·서산토에 비해 훨씬 정결(精潔)하였다. 별번은 백토부터 별도로 채굴·관리하는 체계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특정한 명문을 통해 별기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성이 감소되었고, 결국 '별'명 백자는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큰가시고기과 어류의 형태변이와 핵형 (Morphological Variation and Karyotype of the Korean Species of Sticklebacks, (Pisces, Gasterosteridae) in Korea)

  • 김익수;윤창호;이지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2호
    • /
    • pp.107-119
    • /
    • 1989
  • 우리나라 연안과 담수역에 서식하는 큰가시고기과(Gasterosteidae)어류의 많은 표본은 1988년 3월부터 1989년 6월까지 채집하여 이들의 형태변이와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 6개 조사집단의 체측인판수는 모두 32-35개였고 그 형태는 완판형으로 국내에서는 아직 육봉형이라고 생각된느 저판형이나 반판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G. aculeatus의 척추골수, 세파수, 지느러미 기조수 등의 계수형질이나, 두장, 안경 및 등지느러미가시길이의 계측치는 집단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와 잔가시고기 P. kaibarae ssp. 집단의 체측인판수는 모두 31-35개의 완판형이었고, 등지느러미가시 기조수, 척추골수 및 체고비등에 있어서 2종간에 구별되었지만, 잔가시고기 P. kaibarae ssp.의 집단에는 등지느러미가시 기조막에 담회색을 띤 표본(White form)이 출현하였는데 이것은 이들이 서식하는 환경과 관련된 변이라고 본다. 이 2종의 염색체의 수는 모두 2N=42로서 서로 같지만 G.aculeatus의 핵형은 metacentrics이 6개, submetacentrics이 6개 subtelo-acrocentrics이 30개이고, P. sinensis와 P. kaibarae ssp.는 모두 metacentrics이 4개, submetacentrics이 4개 subtelo-acrocentrics이 34개로 2속 사이에는 서로 달랐다.

  • PDF

한국 테다니해면속 (보통해면강: 다골해면목: 테다니해면과)의 2신종 (Two New Marine Sponges of Genus Tedania (Demospongiae: Poecilosclerida: Tedaniidae) from Korea)

  • 김형준;심정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33-241
    • /
    • 2005
  • 제주도와 추자도에서 2004년과 2005년에 SCUBA 다이빙을 하여 채집된 해면동물을 동정$\cdot$분류한 결과 테다니해면속(Tedania)의 2종, 송악테다니해면[Tedania (Tedania) songakensis n. sp.]과 사수테다니해면 (Tedania(Tedania) sasuensis n. sp.]이 신종으로 밝혀졌다. 송악테다니해면은 T. (T.) purpurescen과 골편 형태에 있어서는 유사하지만 onychaete 크기와 성장형태에 있어 차이가 있다. 송악테다니해면의 onychaete 길이는 T (T.) purpurescen onychaete 의 두 배이며 성장형태에 있어 T (T.) purpurescen은 얇게덮어 싸는 형태이나 송악테다니해면은 덩어리 형태이다. 사수테다니해면은 T. (T.) connectens의 골편 구성과 형태는 유사하지만 골편크기와 성장형태에 있어 차이가 있다. 사수테다니해면의 큰 onychaete는 T (T.) connecters의 큰 onychaete 보다 더 크고, 작은 onychaete도 T. (T.) connecters의 작은 onychaete보다 더 작다. 성장형태에 있어서도 사수테다니해면은 덩어리 형태이지만 T. (T.) connecters는 두껍게 덮어 싸는 형태이다. 또한 송악테다니해면과 사수테다니해면의 성장형태는 유사하나 외형, 색깔과 모든 골편의 크기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서구의 '케어와 이민의 결합' 연구와 한국 사례의 기여 가능성 탐색 ('Care-migration Iintersection' Research in the West and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the Korean Case)

  • 김규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103-123
    • /
    • 2017
  • 본 연구는 케어와 이민의 관련성에 관해 서구에서 이루어진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한국의 경험이 이러한 연구 성과들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이 논문은 케어, 이민 그리고 그 둘의 결합, 이렇게 세 영역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했다. 케어는 다면적 개념이며 따라서 다양한 접근방법이 가능하다. 특히 케어를 사회적 재생산 노동으로 정의할 때, 케어는 개인과 가족 차원을 넘어 복지국가의 다양성과 진화의 경로를 분석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계화와 국제이민의 맥락에서 케어 개념은 복지국가와 사회정책 연구에 있어 방법론적 국가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그간 축적된 증거들은 계급, 젠더 그리고 인종 등과 같은 사회적 실체들의 관계에 대해 초국가적 관점을 적용함으로써만 케어의 사회적 분배 역학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케어와 이민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유럽 복지국가들에서 케어의 이민자화 경향의 광범위한 수렴을 발견했지만, 케어와 이민이 결합하는 구체적 방식은 제도적,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여 다양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케어-이민 결합 연구가 널리 알려진 복지국가(레짐)들의 사례들을 넘어서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국의 사례는 새로운 복지국가레짐 유형(소위 생산적/발전주의 복지국가)과 이민레짐 유형(동포이민과 결혼이민)을 기존의 케어-이민의 결합 연구에 포함시킴으로써, 이 연구의 지리적, 이론적 적용범위를 확대하는 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해산(韓國海産) 히드라충류(蟲類)의 계통분류학적(系統分類學的) 연구(硏究) 9. 테히드라과(科)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Hydroids in Korea 9. The Family Sertulariidae)

  • 박정희;노분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spc1호
    • /
    • pp.1-52
    • /
    • 1986
  • 한국(韓國) 해산(海産) 히드라충류(蟲類)의 계통분류학적(系統分類學的) 연구(硏究)의 일환(一環)으로서 1965년부(年)부터 1984년(年)까지 우리 나라의 삼면연안(三面沿岸)과 도서지방(島嶼地方) (60개(個)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된 테히드라류의(類) 표본(標本)을 동정(同定) 분류(分類)하였고 아울러 분포(分布)도 고찰(考察)하였다. 그 결과(結果) 2아과(亞科) 10속(屬) 40종(種)이 밝혀졌으며 이 중(中)에서 21종(種)은 한국미기록종(韓國未記錄種)으로 판명(判明)되었다. 가로테히드라 (Sertularella miurensis) 가 가장 흔한 종(種)으로서 우리나라의 전해역(全海域)에 널리 분포(分布)되어 있었고 40종중(種中) 24종이(種) 일본해역(日本海域)과 공유(共有)되어 있었다. 테히드라류의(類) 군집계수(群集係數)에 근거(根據)한 우리나라의 두 해역간(海域間)의 연관(聯關)은 남해(南海)와 황해(黃海)사이가 가장 높았고 남해(南海)와 동해(東海)사이가 그 다음이며 동해(東海)와 황해(黃海)사이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ZNF424, a novel human KRAB/C2H2 zinc finger protein, suppresses NFAT and p21 pathway

  • Wang, Yuequn;Zhou, Junnei;Ye, Xiangli;Wan, Yongqi;Li, Youngqing;Mo, Xiaoyan;Yuan, Wuzhou;Yan, Yan;Luo, Na;Wang, Zequn;Fan, Xiongwei;Deng, Yun;Wu, Xiushan
    • BMB Reports
    • /
    • 제43권3호
    • /
    • pp.212-218
    • /
    • 2010
  • Zinc finger-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s are the largest single family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in mammals, which play an essential role in cell differentiation,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neoplastic transformation. Here we have cloned a novel KRAB-related zinc finger gene, ZNF424, encoding a protein of 555aa. ZNF424 gene consisted of 4 exons and 3 introns, and mapped to chromosome 19p13.3. ZNF424 gene was ubiquitously expressed in human embryo tissues by Northern blot analysis. ZNF424 is conserved across species in evolution. Using a GFP-labeled ZNF424 protein, we demonstrate that ZNF424 localizes mostly in the nucleus. Transcriptional activity assays shows ZNF424 suppresses transcriptional activity of L8G5-luciferase. Overexpression of ZNF424 in HEK-293 cells inhibit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FAT and p21, which may be silenced by siRNA. The results suggest that ZNF424 protein may act as a transcriptional repressor that suppresses NFAT and p21 pathway to mediate cellular functions.

조선족 농촌주거 공간구성형태의 지역적 특징에 관한 연구 - 중국 동북3성 각 지역의 조선족 농촌주거에 대한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rural Dwelling Houses of China's Korean Ethnic - Based o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ach District's rural Dwelling houses of China's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

  • 김일학;박용환
    • 농촌계획
    • /
    • 제15권4호
    • /
    • pp.75-87
    • /
    • 2009
  •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local uniqueness and evolutionary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rural dwelling houses of China's Korean Ethnic. For this purpose, the paper selected 51 typical samples in each district, analyzing their ancestral home, building age, size, construction method, family composition etc. Moreover, the paper classified the pattern of the sampl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 and evolutionary process of each pattern.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ncestral homes are as follows: 1.The house pattern of these China's Korean ethnics who are originally from the Hamkyung province is mainly jeongji- access type (A-type). A-type is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Tumen River and Yalu River, in the Sino-Russian borders and the inland areas of Heilongjiang province. With the migration of the China's Korean ethnics, in Sino-Russian borders and the inland areas of Heilongjiang province, A-type with the 'badang' space, vestibule-access type (C-type) and living-centered type (D-type) appeared. 2. House patterns of Korean ethnics who are originally from the Pyongan province include three types: A-type, kitchen type (B-type) and C-type. A-type is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Yalu River while B-type and C-type are mainly in the inland areas of these three Northeast provinces. With the decrease of population, the merger of rooms happened in A-type; while in the B-type and C-type, bathroom and storage came to exist in the north of the room. 3. The house pattern of Korean ethnics who are originally from the Gyeongsang province is mainly B-type, which is distributed in the inland areas of Heilongjiang and Jilin provinces. Besides, C-type and D-type also exist. They are in Jilin and Liaoning provinces. In the process of evolution, storage was set in the north part of the room or the window was cancelled in order to defend the coldness in Heilongjiang area, while in Jilin and Liaoning provinces, living room came into existence, which is gradually developing to D-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