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levee safety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9초

하천제방의 유지관리 효율성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을 위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of River Levee Safety Map to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and Disaster Responsiveness)

  • 김진만;문인종;윤광석;김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0-29
    • /
    • 2018
  • 최근 기후 및 홍수사상이 변화함에 따라 하천제방 붕괴 및 범람으로 인한 수재해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각종 수재해 시나리오에 대응 가능한 하천제방 유지관리 기술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천제방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및 재해 대응성 향상을 위하여 하천제방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별 안전도맵 평가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하천제방 안전도맵은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세굴, 제체재료 등의 안전도 지표를 GIS맵 상에 지도형태로 표출함으로써 육안으로 신속하게 위험지역을 파악할 수 있고, 피해발생 이후 피해복구를 실시하는 현 국내 제방관리 수준에서 벗어나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하천제방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기 제안된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등을 포함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에 세굴, 제체재료 등을 추가 및 보완한 후속논문으로서, 1)문헌 및 자료 조사를 통한 세굴 및 제체재료 3등급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시범평가를 통해 2)남강지역 좌안 5개소의 홍수위지속시간에 따른 활동 및 파이핑 특성, 3)남강지역 좌/우안 9개소의 세굴 및 제체재료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는 향후 하천관리자 행동요령, 보수 보강공법 선정, 소요 예산 산정 등을 연계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현실적이고, 활용성 높은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천제방 유지관리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 제안 (Evaluation System of River Levee Safety Map for Improving River Levee Maintenance Technology)

  • 김진만;문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768-777
    • /
    • 2017
  • 세계 각국은 기후 및 홍수사상의 변화와 이에 따른 각종 수재해 시나리오에 대응하기 위하여 하천제방 유지관리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세계적 동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하천제방을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하천제방 안전도맵의 개념은 현행 하천제방의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등의 안전도 지표를 GIS맵 상에 지도형태로 표출함으로써 하천관리자의 유지관리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관련 문헌 및 자료 조사를 통해 활동, 파이핑, 육안점검 등 주요 안전도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안전도 지표를 A, B, C 등 3등급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기준을 바탕으로 수치해석을 활용하여 시범구간(남강)에 대한 홍수위지속시간 변화에 따른 활동 및 파이핑 안전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시범평가 결과, 활동의 경우 제내외지 구분 없이 모두 A등급을 만족하였으며, 파이핑의 경우 R2에서 홍수위지속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파이핑 등급 C등급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를 제안하는 기획연구로서 하천제방 안전도맵 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추후 개선된 추가 연구, 하천제방 자료의 표준화, 제도 및 관련 법 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차원 수리해석에 의한 하천 제방 위험도 평가분석 (Hazard Evaluation of Levee by Two-Dimensional Hydraulic Analysis)

  • 박준형;김태형;한건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7
    • /
    • 2016
  •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방의 안전도 평가는 여러 가지 붕괴원인 중 하나의 요인에 대해서만 평가를 하거나 주로 제방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한 1차원 수리분석을 통한 평가에 국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기법들은 제방의 다양한 붕괴원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없으며, 정확한 지형정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지형정보를 반영한 2차원 수리해석을 결과를 이용하여 제방의 다양한 붕괴원인인 월류, 침투, 침식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제방 위험도 지수를 제안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주요 합류부에 대해 하천준설사업 전 후의 지형 변화를 고려하여 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한 수리해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해 제방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정확한 하천의 형상을 반영한 수리해석 결과를 이용한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제방위험도 평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댐 및 하천제방에 대한 위험도 해석기법의 개발 : I. 이론 및 모형 (Risk Model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Dam and Levee : I. Theory and Model)

  • 한건연;이종석;김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679-690
    • /
    • 1997
  • 본 연구는 댐 및 하천제방에 대한 수문학적 위험도 평가를 위해서 Monte-carlo 기법과 AFOSM 기법에 의한 위험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댐 및 제방에 대한 위험도 해석을 위하여 fault tree를 작성하였고, 단계별 위험도 평가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위험도 모형은 모형 매개변수에 대한 변동성을 고려하여 강우-유출해석, 저수지 추적, 하도추적 등으로 구성하였다. 강우-유출해석에 있어서는 200년 빈도 및 PMP에 의한 설계강우에 대한 KRRL법에 적용되었다. 저수지 홍수추적은 4차 Runge-Kutta법을 이용하였고, 하도부 추적은 표준축차계산법에 의한 부등류 해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모형은 기존의 댐 및 제방에 대해서 홍수시 안전도 평가와 유지보수의 정책결정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 PDF

원심모형시험기를 활용한 통관기초형식에 대한 제방의 안전성 검토 (Stability evaluation of levee to foundation type of drainage construction in Using Geo-centrifuge)

  • 임은상;신동훈;김재홍;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856-861
    • /
    • 2010
  • In recent days, the safety of the levee has been an issue because the levee has become bigger according to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and so on. The greater part of the levee damage has occurred in the interface between soils and the structures. Specially, the drainage construction crosses the levee keeps its settlement down in order to secure a grade of drainage. However, when the settlement isn't generated by using foundation such as pile, the levee is more likely to have leakage at the interface because the construction doesn't behave with soils. In our study, therefor, testing of the behavior of the levee having the drainage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foundation type of drainage construction.

  • PDF

수치해석을 이용한 하천제방 배수통문의 안정성 평가 연구 (Numerical Studies for the Safety Estimation of Box-Culvert in Levee)

  • 김진만;최봉혁;오세용;김경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479-4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하천제방 배수통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배수통문 설치에 따른 영향, 차수공 길이에 의한 영향, 배수통문 하부지반 투수성 저하에 따른 영향 등을 평가하고자 2차원 침투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배수통문 설치에 따라 하천제방의 침투 및 사면안정성이 저하되며, 흥벽 및 선단 하부에 설치되는 차수공은 배수통문 주변의 다짐 불량 및 공동에 의해 발생되는 파이핑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해수통문 설계 시 반드시 설치가 요구되며, 중앙부 차수공의 경우 제체 전체의 침투해석을 통하여 파이핑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 차수벽의 개념으로 설치가 유도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하천제방 매수통문과 같은 하천구조물이 설치된 제방의 안정성 평가는 2차원 침투해석의 경우 주변 지반으로의 침투에 의한 포화영역의 소산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합리적인 침투해석을 위해서는 주변 지반으로의 침투를 평가할 수 있는 3차원 침투해석에 의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불확실성을 고려한 연피해 기대치 산정 (Expected Annual Damage Estimation with Uncertainty)

  • 김형수;김유진;이지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2
    • /
    • 2003
  • The flood damage reduction studies have been performed by the channel improvement plan and the levee has mainly constructed with the freeboard concept. However, the freeboard concept might be an inappropriate choice as a safety factor of the levee because many uncertainties are involved in the procedure of the channel improvement plan studies. So, we considered the uncertainties In the discharge-probability, stage-discharge, and stage-damage functions and estimate the expected annual damage. The Monte Carlo technique for uncertainty analysis is used. As our results, the expected annual damage with uncertainty shows the larger value than without uncertainty. Since the expected annual damage with uncertainty already considers the safety factor it is the proper result. However, the expected annual damage without uncertainty does not consider the safety factor yet. Thus, if the expected annual damage without uncertainty considers the freeboard concept, it could be compared with the expected annual damage with uncertainty for the evaluation of the overestimation or underestimation of the levee construction.

  • PDF

파이핑에 의한 하천제방 붕괴 메카니즘 분석 및 대책공법 평가 (Analysis of River Levee Failure Mechanism by Piping and Remediation Method Evaluation)

  • 김진만;문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00-608
    • /
    • 2017
  • 제체 내 누수와 관련이 있는 파이핑(piping) 현상은 제방 내에 큰 공동이나 수로를 만들어 제체의 붕괴 및 부등 침하를 일으키고 최종적으로 하천제방의 붕괴를 초래한다. 따라서 파이핑 현상에 의한 제방 붕괴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공법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파이핑 현상에 의한 제방 붕괴 메카니즘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축소 모형시험과 대형 모형시험을 수행하여 파이핑에 의한 제방 붕괴 형상 및 메카니즘을 분석하였으며, 침투압 시험을 수행하여 파이핑 대책공법으로 제안된 Hydraulic well의 침투압 분포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축소 모형시험을 통해 파이핑 안전율이 낮을수록 제방 붕괴 형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대형 모형시험에서는 파이핑으로 인한 제방의 국부적인 손상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Hydraulic well의 침투압 시험을 통해 well의 중심 아래에서 파이핑 억제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하고 연계성이 있는 모형시험 조건을 적용한 추가연구가 필요하지만, 이 연구는 파이핑에 의한 제방 붕괴 메카니즘 분석 및 대책공법 마련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조립토 하천제방의 수위파형결정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Hydrograph Determination for Cohesive Soil Levee)

  • 김진만;김지성;오은호;조원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81-92
    • /
    • 2014
  • 하천제방 건전도 평가는 하천설계기준 해설(2009),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해설(2009) 등 관련 기준을 토대로 한계동수경사법, 한계유속법 등에 의한 파이핑 안전성과 제내지 및 제외지의 활동안전성 평가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때 수위파형은 건전도 평가 시 가장 중요한 설계입력자료이나 관련 국가기준에서 그 결정방법을 제시하지 못함으로서 부정확한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 문산제를 대상으로 평수위 상승, 홍수위 지속, 수위하강, 홍수빈도 등 개별 수위파형을 변화시켜가면서 제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합리적인 수위파형특성을 제안하였다. 평가결과, 문산제 조립토 제방의 설계수위파형은 최대 57시간 이상의 평수위상승시간 및 53시간 이상의 홍수위지속시간 등을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