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induced fatty liver model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7초

적소두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세포 모델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haseolus angularis Seed on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장영숙;서지윤;권민정;권정남;이인;홍진우;김소연;최준용;박성하;주명수;한창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02-808
    • /
    • 2013
  • Here we tried to uncover the potential anti-lipogenic effect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Phaseolus angularis seed in a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duced in HepG2 cells. Ethanol extract of Phaseolus angularis seed (JSD) was prepared. HepG2 cells were incubated in palmitate containing media to induce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co-treated with JSD for 16 hrs before examine intracellular lipid content. In control group, the cells were not co-treated with JSD. We measured the effects of JSD on liver X receptor ${\alpha}$ ($LXR{\alpha}$)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1c (SREBP-1c) expression, transcription level of lipogenic genes, including acetyl-CoA carboxylase (ACC), fatty acid synthase (FAS), stearoyl-CoA desaturase-1 (SCD-1),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in HepG2 cells. JSD markedly reduced palmitate-induce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HepG2 cells. JSD suppressed $LXR{\alpha}$/SREBP-1c expression, and SREBP-1c mediated induction of ACC, FAS, and SCD-1. Furthermore, JSD activated AMPK, which plays a major role in the control of hepatic lipid metabolism.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JSD has a potential to alleviate hepatic steatosis, at least in part, by suppressing $LXR{\alpha}$/SREBP-1c mediated induction of lipogenic genes. In addtion, the anti-lipogenic potential may be associated with activation of AMPK. Therefore, the Phaseolus angularis seed could be applied as a potential therapeutics for NAFLD with additional clinical studies.

Chronic Alcohol Consumption Results in Greater Damage to the Pancreas Than to the Liver in the Rats

  • Lee, Seong-Su;Hong, Oak-Kee;Ju, Anes;Kim, Myung-Jun;Kim, Bong-Jo;Kim, Sung-Rae;Kim, Won-Ho;Cho, Nam-Han;Kang, Moo-Il;Kang, Sung-Koo;Kim, Dai-Jin;Yoo, Soon-Jib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4호
    • /
    • pp.309-318
    • /
    • 2015
  • Alcohol consumption increases the risk of type 2 diabetes. However, its effects on prediabetes or early diabetes have not been studied. We investigate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n the pancreas and liver resulting from chronic alcohol consumption in the prediabetes and early stages of diabetes. We separated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a type-2 diabetic animal model, into two groups based on diabetic stage: prediabetes and early diabetes were defined as occurrence between the ages of 11 to 16 weeks and 17 to 22 week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ethanol-containing liquid diet for 6 weeks. An 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conducted after 16 and 22 weeks for the prediabetic and early diabetes group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between the control and ethanol groups. Fasting and 120-min glucose levels were lower and higher, respectively, in the ethano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prediabetes rats, alcohol induced significant expression of ER stress markers in the pancreas; however, alcohol did not affect the liver. In early diabetes rats, alcohol significantly increased most ER stress-marker levels in both the pancreas and liv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ronic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the risk of diabetes in prediabetic and early diabetic OLETF rats; the pancreas was more susceptible to damage than was the liver in the early diabetic stages, and the adaptive and proapoptotic pathway of ER stress may play key roles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diabetes affected by chronic alcohol ingestion.

알코올성 지방간 유발 마우스에서 다슬기 유래 가수분해물의 간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emisulcospira libertine Hydrolysate on Alcohol-induced Fatty Liver in Mice)

  • 송은진;조경환;추호진;양은영;정윤경;서민균;김종철;강은주;류기형;박범용;하영술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18-325
    • /
    • 2017
  • 본 연구는 다슬기의 간 보호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슬기를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인 alcalase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을 얻은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HepG2 세포에 다슬기 가수분해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다슬기 가수분해물과 에탄올(1 M)을 가하여 24시간 후 세포생존율을 확인했을 때, 세포가 알코올 독성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다슬기 가수분해물의 간 손상 보호 효과를 Liber-DeCarli 알코올 액체 식이 급여와 동시에 경구 투여를 통한 알코올 단회 폭음(single binge)으로 알코올성 지방간과 염증을 유발시킨 마우스모델(NIAAA)을 사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들 마우스 모델에서 알코올 식이 급여 후 초기에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점차 비알코올 식이 급여군과 유사한 체중으로 회복하였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간 세포내 지방 축적과 지방성 염증이 에탄올과 함께 다슬기 가수분해물을 투여한 군에서 개선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알코올 투여에 의한 AST, ALT 및 ALP의 효소활성 증가가 다슬기 가수분해물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만성 알코올 섭취에 의한 염증 매개 효소와 염증성 사인토카인의 발현 증가는 다슬기 가수분해물을 투여한 군에서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슬기 효소 가수분해물 소재는 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용 상업적 소재로서 높은 실용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올레산 유도 비알콜성 지방간세포에서 용아초의 중성지방 조절효과 (Triglyceride Control Effect of Agrimonia eupatoria L. in Oleic Acid Induced NAFLD-HepG2 Model)

  • 손은화;김태성;정용준;한효상;이영성;조영미;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35-640
    • /
    • 2015
  • 본 연구는 지방축적이 유도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용아초 EtOAc 분획물의 지방축적억제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Oleic acid를 HepG2 세포에 처리하여 지방의 축적을 유도하였으며, 용아초 EtOAc 분획물 25, 50, 100㎍/㎖을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용아초 EtOAc 분획물은 100 ㎍/㎖의 농도에서 HepG2 세포의 지방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 효능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질관련 유전자인 PPAR-α와 PPAR-γ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용아초 EtOAc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25, 50, 100 ㎍/㎖) PPAR-α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PPAR-γ는 억제함으로써 지질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였다. 따라서 용아초 EtOAc 분획물의 지방축적억제 효능은 지방 생성의 주요 인자로 알려진 PPAR-α와 PPAR-γ의 유전자 발현을 통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비교적 저농도인 100 ㎍/㎖에서 효과적으로 지방축적억제 효능을 나타내었으므로 용아초 EtOAc 분획물은 비알콜성 지방간의 위해성을 경감하기 위한 후보물질로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활성성분 규명 및 명확한 작용기전 규명을 통하여 식품, 의약품의 원료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