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anol metabolism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4초

고과당식이 랫드모델에서 적하수오 투여에 의한 대사증후군 개선효과 (Beneficial effect of Polygoni Multiflori Radix in high fructose diet-induced metabolic syndrome rat model)

  • 고민철;이윤정;윤정주;이호섭;강대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8
    • /
    • 2015
  • Objectives : Polygoni Multiflori Radix (Jeokhasuo in Korean) is a Oriental traditional herbs widely used in East Asian countries. Overconsumption of fructose results in hypertension, dyslipidemia, obesity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which have documented as a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from Polygoni Multiflori Radix (PMR) in high-fructose (HF) diet-induced metabolic syndrome rat model. Methods : Sprague-Dawley (SD)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receiving regular diet and tap water, HF group, and HF + PMR group both receiving supplemented with 65% fructose (n=10), respectively. The HF + PMR group initially received HF diet with PMR (100 mg/kg/day) for 8 weeks. Results : PMR significantly prevented the metabolic disturbances such a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Chronic treatment with PMR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fat weight and adipocyte size, suggesting a role of anti-obesity effect. PMR led to improve the hyperlipidemia through the increase in HDL cholesterol level as well as the decrease in triglyceride and LDL cholesterol level. In addition, PMR suppressed adhesion molecules and endothelin-1 (ET-1) expression in aorta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hypertension. In muscle tissue, PMR significantly recovered the HF-induced insulin resistance through increase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1 (IRS-1), p-$AMPK{\alpha}1/2$, and p-Akt expression. PMR improved HF-induced metabolic disorders and its action was caused by energy metabolism-mediated insulin signaling activa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MR may be a beneficial therapeutic for metabolic syndrome through the improvement of hyperlipidemia,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hypertension.

대황목단탕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Daehwangmokdan-tang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한형선;권동렬;강옥화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54
    • /
    • 2020
  • Objective : Infectious diseases are a growing problem worldwide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Daehwangmokdan-tang is one of the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s contained 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tOH 70% extracts of Daehwangmokdan-tang (DMT) which prescription is composed of oriental medicine against MRSA. Methods :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ctive concentration of MRSA were verified by measur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DMT.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disease were checked by treating the existing antibiotics and large ethanol extract in parallel, and the extent of growth suppression was checked over time. In addition, cell membrane permeability experiment confirmed the effect of large DMT on the immunity mechanism of MRSA. Results : T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DMT against MRSA is 500 ~ 2000 ㎍/㎖ by broth dilution method. In the checkerboard method, the combinations of DMT with antibiotics has partial synergistic effect or synergy effect and DMT markedly reduced the MICs of the antibiotics oxacillin (OX), gentamicin (GEN) against MRSA. In the inhibition of resistance mechanism of DMT against MRSA, the expression of resistance gene and protein about β-lactam antibiotic was reduced. Also, we observed the effect of DMT about cell membrane permeability against MRSA, and confirmed that DMT suppressed growth of strains by increasing cell membrane permeability and energy metabolism. Conclusion : Basis on the result, we speculate that DMT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MRSA infection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β-lactam antibiotic.

난소 적출 마우스 모델에서 Oryza sativa L.의 뿌리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골다공증 개선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Osteoporosis Improvement Effect of Compounds Isolated from Oryza sativa L. root Extract in the Ovariectomized Mouse Model)

  • 김선희;최은용;양희진;배준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0-35
    • /
    • 2023
  • Bisphosphonates, estrogen, and calcium supplements are commonly used medications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but they are associated with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vaginal bleeding, deep vein thromembolism, and breast cancer.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a compound isolated from the roots of Oryza sativa L. to improve osteoporosis using an ovariectomized mouse model. We isolated and identified oryzativol A, a lignan compound, through chemical analysis of an ethanol extract using a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protocol. We also examined the metabolism, clearance, and CYP enzyme activity of oryzativol A, and found that it showed plasma stability of over 80% at all analysis times, and indicating a low likelihood of inactivation or excretion by the CYP3A4 enzyme. Our results showed that the high-dose group of oryzativol A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 ALP concentr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high-dose group of oryzativol A. Furthermore, the abnormal ratio of serum Ca/P, caused by osteoporosis, was improved to a level close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as the dosage of oryzativol A increased.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ryzativol A is stable in vivo and has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for osteoporosis, particularly when administered in high doses.

간세포 독성과 에탄올 대사에서 추출 조건에 따른 다슬기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emisulcospira libertina Extracts from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on Liver Cell Toxicity and Ethanol Metabolism)

  • 조경환;추호진;서민균;김종철;신유진;류기형;조희영;정치영;하영술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58-1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슬기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과 에탄올 대사에서의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산과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슬기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조성, 항산화 활성, 아세트아미노펜 처리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 대한 보호효과 및 ADH와 ALDH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분석하였고, 다슬기 추출물을 알코올과 함께 백서에 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혈중 독성 중간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를 정량하여 알코올 섭취 후 나타나는 숙취해소에 대한 효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열수추출물과 비교하여 산추출물, 효소추출물, 효소-산추출물 모두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숙취해소를 도와주는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메티오닌 등이 대폭 증가하여 다슬기 추출물의 기능적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항산화능의 평가지표인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다슬기 추출물은 AAP로 간 손상을 유도한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생존율과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AAP 만을 처리한 대조군은 $67.8{\pm}4.3%$의 생존율을 보인 반면 다슬기추출물 1 mg/mL과 AAP를 병용처리한 경우 각각 9.7%와 13.7%의 간세포 생존율 증가를 보였다. 세포독성은 AAP 만을 처리한 대조군은 33.7%의 LDH 활성에 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낸 반면 다슬기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세포독성이 15.4%-24.4%로 감소되었다. 또한, 에탄올 대사에서 중요한 ADH와 ALDH 활성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효소를 이용한 다슬기 추출물에서 각각 최대 4.8배와 2.7배 증가하였다.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다슬기 효소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양한 추출 방법에 의한 다슬기추출물 소재는 항산화 활성과 간손상 보호효과 및 숙취해소능을 가지며, 효소추출물의 ADH와 ALDH 활성 증가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향후 이들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늘종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의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rlic Shoot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Fed a High-fat Diet)

  • 황초롱;강재란;강민정;심혜진;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6-284
    • /
    • 2015
  •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 마늘종 50% 및 75%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200 및 400 mg/kg B.W./day 농도로 투여하여 혈중 및 간 조직의 지질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혈청 총 지질 및 중성지방 함량은 GSB-2군에서 가장 낮았고,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GSA-2와 GSB-2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 중 GSB-2군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고, LDL- 및 VLDL-콜레스테롤 함량은 GSB-1군 및 GSB-2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AI 및 CRF 지수는 GSB-2군에서 각각 0.58 및 1.57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혈청 AST, ALT 및 ALP 활성은 GSA-2 및 GSB-2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조직 중 총 지질 함량은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이었으나 실험군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간 조직 중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은 GSB-2군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활성은 GSB-2군에서 각각 40.16% 및 47.41%로 가장 높았다. 혈청 및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실험군 중 GSB-2군에서 가장 낮았다.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Leav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 on Hyperlipidemia in Rats)

  • 박유화;김희연;임상현;김경희;이정훈;김영국;안영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3-338
    • /
    • 2012
  • 본 연구는 가시오갈피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에 대해 구명하고자 3주령 된 흰쥐 40마리를 정상군, AIN-76 식이 대조군, 가시오갈피 추출물 처리군, 양성대조군(가르시니아)으로 나누어 6주간 실시하였다. AIN-76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가시오갈피 추출물은 AIN-76 식이군과 비교 시 10.5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가르시니아 투여군도 13.60%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 투여군과 유의적으로 같은 수준이었다. 식이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모든 군에서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16.87% 유의적으로(p<0.05)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AIN-76식이 대조군이 정상군 대비 28.36%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고,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 투여군과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AIN-76 식이군 대비 각각 25.47, 27.1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AIN-76 식이군이 정상군 대비 35.04%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시오갈피 추출물 잎 투여군과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AIN-76 식이군 대비 각각 37.54, 26.76%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 투여군과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AIN-76 식이군 대비 각각 7.01, 5.00%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과 부고환 지방 조직의 무게는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경우 AIN-76 식이군에서 정상군 대비 27.21%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고,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 투여군과 가르시니아 투여군에서는 AIN-76 식이군 대비 각각 6.77, 10.52%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AIN-76 식이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28.21% 증가하였고,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 투여군과 가르시니아 투여군 에서는 각각 5.78, 6.91%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위의 실험 결과 향후 가시오갈피 잎 추출물은 비만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copoletin 보충이 만성 알코올을 급여한 흰쥐의 인슐린저항성 및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opoletin Supplementation on Insulin Resistance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Chronic Alcohol-Fed Rats)

  • 이해인;이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3-181
    • /
    • 2015
  • 본 연구는 scopoletin 식이 보충이 알코올로 인해 유발되는 인슐린저항성과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의 수컷 SD계 흰쥐에게 총 열량의 36%에 해당하는 알코올을 액체식이 형태로 8주간 공급하였으며, scopoletin은 알코올 액체식이 리터당 0.01 g과 0.05 g 두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정상군은 알코올대조군과 동량의 에너지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8주간의 알코올 급여는 공복 시 혈당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으나 혈청 인슐린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인슐린저항성과 내당능 장애를 유발하였다. 그러나 scopoletin 저농도와 고농도 급여군 모두 인슐린 함량, 인슐린저항성 지표 및 내당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대조군은 p-PI3K의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낮추어 glucokinase 유전자 발현과 활성을 억제한 반면, 당신생 효소인 glucose-6-phosphatase의 유전자 발현과 활성을 유의적으로 높였다. 그러나 scopoletin 급여에 의하여 이들 변화는 완화되었다. 다른 당신생 효소인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의 유전자 발현과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scopoletin 급여군 모두 간조직의 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은 알코올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반면, cytochrome P450 2E1 활성은 억제되었다. 또한 알코올로 인하여 낮아진 간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superoxide dismutase, catalase와 glutathione peroxidase)의 유전자 발현과 활성을 높임으로써 과산화수소 및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을 낮추었다. 이와 같이 0.001%의 scopoletin 급여량에서도 당대사의 유전자 변화를 통하여 만성 알코올로 유도되는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였으며, 알코올대사계 활성 및 항산화방어계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함으로써 알코올로 인한 과산화수소와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화과(Fig) 효소를 첨가한 유산균을 이용하여 알코올 대사활성 함유 치즈의 제조 (Production of cheese containing alcohol metabolism using Lactobacillus with fig enzyme)

  • 이성재;양영헌;전종민;이기원;조인재;이성민;류정열;신원성;김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1-1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분해능이 높은 기능성 치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L. kitasatonis, L. amylophillus, L. mesenteroides sub. 및 무화과 효소를 이용하였다. 각각 균주의 에탄올, 내산 및 내담즙에 내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ADH 및 ALDH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10%의 무화과 효소를 첨가하였을 때의 ADH 활성도는 각각 $688.39{\pm}51.63$, $1054.98{\pm}79.12$, $825.28{\pm}61.89{\mu}mol$로 나타났으며 ALDH는 각각 $751.91{\pm}54.14$, $1209.93{\pm}87.11$, $891.09{\pm}64.16{\mu}mol$로 무화과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 amylophillus 균주를 이용하여 치즈를 제조한 뒤, 10%의 무화과 효소를 첨가하였을 때 ADH 및 ALDH 분해능이 무화과효소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보다 각각 252, 246%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무화과 효소를 첨가하였을 때, L. amylophillus을 이용한 치즈의 제품이 높은 알코올 분해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기능성 식품의 제조로써 무화과 효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적소두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세포 모델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haseolus angularis Seed on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장영숙;서지윤;권민정;권정남;이인;홍진우;김소연;최준용;박성하;주명수;한창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02-808
    • /
    • 2013
  • Here we tried to uncover the potential anti-lipogenic effect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Phaseolus angularis seed in a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duced in HepG2 cells. Ethanol extract of Phaseolus angularis seed (JSD) was prepared. HepG2 cells were incubated in palmitate containing media to induce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co-treated with JSD for 16 hrs before examine intracellular lipid content. In control group, the cells were not co-treated with JSD. We measured the effects of JSD on liver X receptor ${\alpha}$ ($LXR{\alpha}$)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1c (SREBP-1c) expression, transcription level of lipogenic genes, including acetyl-CoA carboxylase (ACC), fatty acid synthase (FAS), stearoyl-CoA desaturase-1 (SCD-1),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in HepG2 cells. JSD markedly reduced palmitate-induce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HepG2 cells. JSD suppressed $LXR{\alpha}$/SREBP-1c expression, and SREBP-1c mediated induction of ACC, FAS, and SCD-1. Furthermore, JSD activated AMPK, which plays a major role in the control of hepatic lipid metabolism.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JSD has a potential to alleviate hepatic steatosis, at least in part, by suppressing $LXR{\alpha}$/SREBP-1c mediated induction of lipogenic genes. In addtion, the anti-lipogenic potential may be associated with activation of AMPK. Therefore, the Phaseolus angularis seed could be applied as a potential therapeutics for NAFLD with additional clinical studies.

Comparison of Microbial Diversity and Composition in the Jejunum and Colon of Alcohol-Dependent Rats

  • Fan, Yang;Ya-E, Zhao;Ji-dong, Wei;Yu-fan, Lu;Ying, Zhang;Ya-lun, Sun;Meng-Yu, Ma;Rui-ling, Z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1호
    • /
    • pp.1883-1895
    • /
    • 2018
  • Alcohol dependence is a global public health problem, yet the mechanisms of alcohol dependence are incompletely understood. The traditional view has been that ethanol alters various neurotransmitters and their receptors in the brain and causes the addiction. However, an increasing amount of experimental evidence suggests that gut microbiota also influence brain functions via gut-to-brain interactions, and may therefore induce the development of alcohol use disorders. In this study, a rat model of alcohol dependence and withdrawal was employed, the gut microbiota composition was analyzed by high-throughput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the metagenome function was predicted by PICRUSt software. The results suggested that chronic alcohol consumption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diversity and richness of gut microbiota in the jejunum and colon, but rather markedly changed the microbiota composition structure in the colon. The phyla Bacteroidetes and eight genera including Bacteroidales S24-7, Ruminococcaceae, Parabacteroides, Butyricimonas, et al were drastically increased, however the genus Lactobacillus and gauvreauii in the col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lcohol dependence group compared with the withdrawal and control groups. The microbial functional predic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oportions of amino acid metabolism, polyketide sugar unit biosynthesis and peroxisom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D group.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hronic alcohol consumption has a dramatic effect on the microbiota composition structure in the colon but few effects on the jejunum. Inducement of colonic microbiota dysbiosis due to alcohol abuse seems to be a factor of alcohol dependence, which suggests that modulating colonic microbiota composition might be a potentially new target for treating alcohol ad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