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imated map

검색결과 701건 처리시간 0.033초

Modern Sedimentary Environment of Jinhae Bay, SE Korea

  • Park, Soo-Chul;Lee, K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2호
    • /
    • pp.43-54
    • /
    • 1996
  • Jinhae Bay, one of the largest tidal bay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s an area with thick accumulations of recent, fine-grained sediments, mainly supplied from the Nakdong River. The preponderance of silt and clay particles reflects the large quantity of sediments transported in suspension. Although the clay mineral assemblage is similar to that derived from the nearby Nakdong River,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3-9%) of smectite suggests some local input of fine particles from several streams around the bay or some contribution from the offshore water that may be influenced by the Tsushima Current.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s in sediments is as high as 12%, and their C/N ratios imply that they are comprised of mixtures derived from marine plankton and terrestrial plants. $^{210}Pb$ excess activity profiles of sediment cores yield an average sedimentation rate (a 100-year time scale) of about 2-5 mm/yr, which coincides well with the long-term sedimentation rate (a 1000-year time scale) estimated from the sediment isopach map. On the basis of sediment bulk density and sedimentation rate, an annual sink of mud in the bay is estimated approximately 1.0 ${\times}$ $10^{6}$ tons per year.

  • PDF

Development of Land Surface Temperature Retrieval Algorithm from the MTSAT-2 Data

  • Kim, Ji-Hyun;Suh, Myoung-Se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3-662
    • /
    • 2011
  •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is a one of the key variables of land surface which can be estimated from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the three sets of LST retrieval algorithm from MTSAT-2 data through the radiative transfer simulations under various atmospheric profiles (TIGR data), satellite zenith angle, spectral emissivity, and surface lapse rate conditions using MODTRAN 4. The three LST algorithms are daytime, nighttime and total LST algorithms. The weighting method based on the solar zenith angle is developed for the consistent retrieval of LST at the early morning and evening time. The spectral emissivity of two thermal infrared channels is estimated by using vegetation coverage method with land cover map and 15-day normalized vegetation index data. In general, the three LST algorithms well estimated the LST without regard to the satellite zenith angle, water vapour amount, and surface lapse rate. However, the daytime LST algorithm shows a large bias especially for the warm LST (> 300 K) at day time conditions. The night LST algorithm shows a relatively large error for the LST (260 ~ 280K) at the night time conditions.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weighting method is clearly improved regardless of the impacting conditions although the improvements of the weighted LST compared to the total LST a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and surface lapse rate conditions. The validation results of daytime (nighttime) LST with MODIS LST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ias and RMSE are about 0.62~0.93 (0.44~0.83), -1.47~1.53 (-1.80~0.17), and 2.25~4.77 (2.15~4.27), respectively. However, the performance of daytime/nighttime LST algorithms is slightly degraded compared to that of the total LST algorithm.

QuikSCAT과 ASCAT 해상풍 자료동화가 연안 지역 국지 바람장 예측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QuikSCAT and ASCAT Sea Wind Data Assimilation on the Prediction of Regional Wind Field near Coastal Area)

  • 이순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9-319
    • /
    • 2012
  • 연안 해상 바람 자원 평가에 적용되는 해상풍 위성자료 동화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위성자료는 미항공우주국의 QuikSCAT과 유럽우주국의 ASCAT이다. 해상풍 위성자료 동화과정은 연안지역 바람 자원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주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QuikSCAT의 관측 가능한 빔폭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QuikSCAT 해상풍 자료를 동화하여 제시된 연안 바람장이 ASCAT를 사용한 바람장보다 약간 높은 정확도를 제시한다. 그러나 센서의 직하 부근의 바람장은 상대적으로 ASCAT의 예측 정확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해상풍 위성자료의 동화효과는 6시간 정도 지속되기 때문에 정확한 연안지역 바람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공간해상도뿐 아니라 시간해상도가 높은 해상풍 위성자료 동화 과정이 필요하다.

전자회절도형을 이용한 장석의 구조 분석에 대한 고찰 (An Investigation on Structural Analysis of Feldspars by Electron Diffraction Patterns)

  • 김윤중;이영부;박병규;이정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7-187
    • /
    • 2004
  • Au 내부 표준시편을 이용하여 일반 전자회절도형에서도 알바이트와 올리고클레이스의 격자 상수 값을 1% 이내의 오차범위로 얻었다. 자연산 올리고클레이스 시료의 전자회절도형 지도를 작성하였고, 11개 지점의 정대축 전자회절도형을 얻었다 이러한 작업은 삼사정계민 장석으로부터 신뢰성 있는 전자현미경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장식의 {001} 벽개면과 TEM의 양측경사 시료지지대를 이용하면 장석의 구조/화학 분석에 필요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알칼리 장석은 [001] 방향에서 * 값을, [100] 방향에서 $\alpha$* 값을 측정하여 $\alpha$* - * plot을 함으로써 미세 영역에서 Si-Al ordering 상태 및 화학 조성을 예측할 수 있다. Na-rich한 사장석은 [001] 방향에서 * 값을 측정하여 Si-Al ordering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Na-poor한 사장석은 [100] 방향에서 e-reflection의 유무, 회절강도 및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구조 및 화학을 예측할 수 있다.

자동 선구조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북 의성지역의 선구조 분석 (Lineament analysis in the euiseong area using automatic lineament extraction algorithm)

  • 김상완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1호
    • /
    • pp.19-31
    • /
    • 1999
  • In this study, we have estimated lineaments in the Euiseong area, Kyungbuk Province, from Landsat TM by applying the algorithm developed by Kim and Won et al.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look direction bias associated with the Sun's azimuth angle. Fratures over the study area were also mapped in the field at 57 selected sites to compare them with the results from the satellite image. The trends of lineaments estimated from the Landsat TM images are characterized as $N50^{\circ}$~70W, NS~$N10^{\circ}$W, and $N10^{\circ}$~$60^{\circ}$E trend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lineaments is also studied using a circular gri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 can be divided into two domains : domain A in which NS~$N20^{\circ}$E direction is dominant, and domain B in which west-north-west direction is prominent. The trends of lineaments can also be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Among them, only C, D and G trends are found to be dominant based upon Donnelly's nearest neighbor analysis and correlations of lineament desities. In the color composite image produced by overlaying the lineament density map of these C-, D-, and G-trends, G-trend is shown to be developed in the whole study area while the eastern part of the area is dominated by D-trend. C-trend develops extensively over the whole are except the southeastern part. The orientation of fractures measured at 35 points in the field shows major trends of NS~$N30^{\circ}$E, $N50^{\circ}$~$80^{\circ}$W, and N80$^{\circ}$E~EW, which agree relatively well with the lineaments estimated form the satellite image. The rose diagram analysis fo field data shows that WNW-ESE trending discontinuities are developed in the whole area while discontinuities of NS~$N20^{\circ}$E are develped only in the estern part, which also coincide with the result from the satellite image. The combined results of lineaments from the satellite image and fracture orientation of field data at 22 points including 18 minor faults in Sindong Group imply that the WNW-ESE trend is so prominent that Gumchun and Gaum faults are possibly extended up to the lower Sindong Group in the study area.

  • PDF

임상도 특성에 따른 임목축적 및 탄소저장량 추정: 강원도를 중심으로 (Estimation of Growing Stock and Carbon Stock based on Components of Forest Type Map: The case of Kangwon Province)

  • 김소원;손영모;김은숙;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46-452
    • /
    • 2014
  • 본 연구는 임상도 상의 특성인 영급, 경급 및 수관밀도를 이용하여 임목의 축적 및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가산림조사(강원도 중심)를 바탕으로 한 임목축적 자료를 임상도 제작 당시의 축적으로 전환하였으며, 이 자료와 임상도 특성과의 관계를 수량화I방법을 통하여 임목축적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임상도 특성이 임목축적 추정에 기여하는 바를 알 수 있는 제곱 편상관계수의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영급이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었으며, 다음이 수관밀도, 임상, 경급의 순이었다. 임목축적 추정치 중 최소치는 활엽수림의 영급 II, 경급 '소', 수관밀도 '소'인 분류기준에서 ha당 $20.0m^3$이고, 최대치는 침엽수림의 영급 VI,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ha당 305.0이었다. 임상별로 침엽수림은 ha당 $30.5{\sim}305.0m^3$, 활엽수림은 ha당 $20.0{\sim}200.4m^3$, 혼효림은 ha당 $23.8{\sim}238.1m^3$로 추정되었다. 임상별 탄소저장량을 비교해 보면, 임상에 무관하게 경급 '대', 수관밀도 '밀'인 분류기준에서 임목축적에 따른 영급별 탄소저장량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임상도 특성을 이용한 임목축적 추정은 산지 전용 또는 산지 재해에 의한 임목축적의 감소 및 탄소저장량 변화를 충분히 추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일선 산림관계자 또는 정책입안자의 산림경영 의사결정에도 유효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크리깅을 이용한 소나무림 지위지수 공간분포 추정 (Spatial Estimation of the Site Index for Pinus densiplora using Kriging)

  • 김경민;박기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467-476
    • /
    • 2013
  • 산림입지도의 지위지수 정보는 조사지점에만 존재하므로 미조사 지역에 대한 지위지수는 별도의 추정이 필요하다. 미조사 지역의 지위지수 추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점자료로부터 연속표면을 생성하는 공간 내삽법인 크리깅 기법을 적용하였다. Chapman-Richards 생장모델을 이용하여 표준지별 지위지수 추정치를 구한 뒤 가우시안, 구형 및 지수형 베리오그램 모델별로 정규크리깅을 이용하여 단양 전역의 소나무림 지위지수를 격자단위($30m{\times}30m$)로 추정하였다. 교차검증을 위해 평균오차(ME), 평균표준오차(ASE) 및 평균제곱근오차(RMSE)를 계산하였다. 베리오그램 모델 적합 결과, 상대 너깃이 가장 큰 가우시안 모델(37.40%)이 제외되었으며 구형 모델(16.80%)과 지수형 베리오그램 모델(8.77%)이 선택되었다. 크리깅에 의한 지위지수 추정치는 지수형 모델을 적용한 경우 4.39~19.53, 구형모델을 적용한 경우 4.54~19.23의 분포를 보였다. 교차 검증 결과, RMSE는 두 모델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형모델의 ME와 ASE가 지수형 모델보다 작기 때문에 구형 베리오그램 모델 기반 지위지수 지도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지위지수 지도로부터 산출된 단양지역 소나무림 평균 지위지수는 10.78로 추정되었다. 공간이질성이 큰 우리나라 산림의 바이오매스 추정 시 지위지수 지도를 통해 지역적 변이를 고려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탄소저장량 분포 추정의 정확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계위 공간을 이용한 고품질 3차원 비디오 생성 방법 -다단계 계위공간 개념을 이용해 깊이맵의 경계영역을 정제하는 고화질 복합형 카메라 시스템과 고품질 3차원 스캐너를 결합하여 고품질 깊이맵을 생성하는 방법- (High-qualtiy 3-D Video Generation using Scale Space)

  • 이은경;정영기;호요성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620-624
    • /
    • 2009
  • 본 논문은 고화질(high definition, HD) 복합형 카메라 시스템과 고품질(high-quality) 3차원 스캐너를 결합하여 다시점 비디오와 그에 상응하는 다시점 깊이맵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복합형 카메라 시스템과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해 3차원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움직임이 없는 배경영역에 대한 깊이정보를 고품질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해 미리 획득하고, 동적으로 움직이는 전경영역에 대해서는 다시점 카메라와 깊이 카메라를 결합한 복합형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해 다시점 비디오와 깊이맵을 획득한다. 그리고 3차원 스캐너와 깊이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깊이정보를 이용해 3차원 워핑(warping)을 적용하여 각 다시점 카메라를 위한 초기 깊이정보를 예측한다. 초기 깊이정보를 이용해 다시점 깊이를 예측하는 것은 다시점 카메라의 각 시점에서의 초기 깊이맵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고화질의 다시점 깊이맵을 생성하기 위해서 belief propag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초기 깊이맵을 정제한다. 마지막으로, 전경영역의 경계선 영역의 불규칙적인 깊이맵을 정제하기 위해 전경영역의 외곽선 정보를 추출하여 생성된 깊이맵의 경계선 영역을 다시한번 정제한다. 제안한 3차원 스캐너와 복합형 카메라를 결합한 시스템은 기존의 깊이맵 예측 방법보다 정확한 다시점 깊이맵을 포함하는 3차원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었으며, 보다 자연스러운 3차원 영상을 생성할 수 있었다.

  • PDF

환경요인을 이용한 생태권역별 상수리나무의 적지판정 (Assessment of Productive Areas for Quercus acutissima by Ecoprovince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Factors)

  • 김태우;성주한;권태성;천정화;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437-445
    • /
    • 2013
  • 본 연구는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상수리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적지면적 및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로부터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상수리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4~6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 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0~0.41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精度),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을 이용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개발된 생태권역별 상수리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이용하여 적지면적을 산출하고 적지분포를 도해하였다.

환경요인에 의한 주요 침엽수종의 지위지수 추정식 개발과 적지 평가 (Development of Site Index Equations and Assessment of Productive Area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for Major Coniferous Tree Species)

  • 이용석;성주한;천정화;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395-404
    • /
    • 2012
  • 본 연구는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침엽수종(중부지방소나무, 강원지방소나무, 낙엽송, 잣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적지면적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산림기후도로부터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43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조제하였다. 최종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6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으며, 경사형태, 유효 토심, 연 평균기온, 연 최고기온, 연 최저기온, 그리고 생장기간 동안의 총강수량 등의 변수가 지위지수 추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6~0.56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이용하여 각 수종의 적지면적을 산출하고 적지분포를 도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