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hetic treatment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33초

안면 비대칭환자의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Orthognathic Surgery in Facial Asymmetry Patient : Case Report)

  • 임소민;신형주;김대곤;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3호
    • /
    • pp.359-371
    • /
    • 2010
  • 안면 비대칭 중 가장 흔히 나타나는 하악 비대칭은 성장 중 골격성장의 비대칭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안면 비대칭이 있을 경우 외모 뿐 아니라 저작과 기능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심한 골격성 악간관계 부조화가 있는 경우 보철치료만으로는 이상적인 교합관계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힘의 분산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치와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악간관계 부조화로 인한 부정교합이 존재하여 치아의 수복 시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먼저 교정치료를 통한 악간관계의 개선을 위한 교합안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부조화가 심한 경우 기능적 및 심미적인 치료 결과를 위해 악교정 수술이 필요하며, 진단결과에 따라 편악 또는 양악수술이 시행된다. 상 하악 또는 안면 비대칭증의 악교정 수술시 이부 성형술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는 하악골의 이부의 수직적, 횡적, 전후방적 위치를 외과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심미적인 안모개선을 얻기 위해 시행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안모의 비대칭과 돌출된 하악 및 불량 보철물을 개선하고자 술전 교정을 시행한 뒤 상악 Le-Fort I 골절단술, 하악 시상분할골절단술, 이부 성형술(전방 4 mm), 우측 하악각 증대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교정치료를 진행하고 치관연장술 및 완전구강회복을 진행하였다. 보철 수복 완료 후, 환자의 평가와 객관적 결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아질 형성 부전증 환자에서 CAD/CAM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완전구강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CAD/CAM monolithic zirconia in dentinogenesis imperfecta: a case report)

  • 김민규;김성훈;이재봉;한중석;여인성;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17-323
    • /
    • 2014
  • 상아질 형성 부전증은 발병율이 1 : 6 - 8000정도인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 변색된 치아, 저 형성, 저 석회화된 법랑질과 상아질로 인해 잦은 파절이 발생하고 교모가 급속도로 진행된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잔존 치아를 오래 보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제1형 상아질 형성 부전증을 가지고 있는 19세 남자로 갈색 빛의 치아와 곳곳에 파절된 법랑질, 약간의 수직 고경 상실, 상하 전치부치간 공간 존재, 구치부 5개의 치아 상실을 보이고 있었다. 전치부 심미성과 약간의 수직 고경 상실을 고려해 수직 고경을 증가시켰다. 인상 채득 과정에서 다수치아 인상의 어려운 점을 레진 캡을 이용하여 극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치아 변색을 가리고 강한 강도를 가지는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로 최종 수복하였다. 일련의 치료 과정을 통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다수치아를 상실한 엇갈린 교합 환자에서 임플란트와 $Locator^{(R)}$ attachment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증례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toration using single implant supported with $Locator^{(R)}$ attachment in a crossed occlusion patient: a case report)

  • 신운철;방몽숙;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3-118
    • /
    • 2013
  • 다수 잔존치를 상실한 경우 잔존치간의 관계가 역학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환자가 의치에 관한 거부감이 없을 때, 이러한 경우 피개의치를 고려할 수 있지만,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이용함으로써 역학적인 불리함을 극복하고 국소의치의 지지, 안정, 유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증례는 소수 잔존치간에 엇갈린 교합을 보이는 환자로 상악 치아에 대합되는 하악의 무치악 부위에 단일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Locator^{(R)}$ attachment를 연결하여 상하악 국소의치로 치료하였다. 기존의 기울어진 교합평면을 이상적으로 재설정하여 환자의 심미적 만족도를 향상시켰다. 치료 이후 6개월간의 임상 관찰에서 환자는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 자연치열에 대합되는 상악 임플란트 전악 수복 증례 (Implant-supported maxillary full-arch fixed prosthesis opposing mandibular natural dentition: A clinical report)

  • 김인주;박종희;박주미;송광엽;안승근;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1-57
    • /
    • 2015
  • 치주질환에 의해 수평적, 수직적 골흡수를 보이는 환자에게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수복 치료를 계획한 경우에는 저작 기능, 심미, 발음 등을 고려한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철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진단이 필요하며 광범위한 골이식과 연조직 이식술이 요구되기도 한다. 아직까지도 골이식한 상악에 대한 적절한 임플란트 식립 개수, 하부구조물 분할 여부 및 상부 구조물의 유지 방법 등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진단과정에서 이를 고려한 검사가 요구된다. 본 증례에서는 치주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상, 하악 다수 치아 발거 및 치주 치료 후, 골이식 및 연조직 이식을 동반한 다수 임플란트 식립과 하악 자연 치열에 대합되는 상악 임플란트 전악 보철수복을 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골 부분절제술 시행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보철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after hemimandiblectomy: Case report)

  • 이동훈;유동수;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9-45
    • /
    • 2015
  • 하악골 연속성의 상실은 하악 기능의 균형과 대칭에 영향을 주며, 하악의 움직임에 변화를 유발하고 절제된 부위로 잔존하악골을 편위시킨다. 또한 연하, 발음, 하악의 운동, 저작, 호흡과 같은 다른 부분에서도 기능이상을 나타낸다. 하악골의 일부가 결손된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외과적 재건에 이어 보철적 수복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BRONJ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와 같은 전신적 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우, 외과적 재건의 적용에 제한이 있게 되고 전적으로 보철적 수복에 의지하게 된다. 다양한 보철적 방법이 하악의 변위를 최소화하고 저작 효율과 기능 및 심미를 개선하기 위하여 제시되었다. 가철성 국소의치로 치료 시, 입술, 뺨, 혀의 운동에 의해 측방 및 수평력이 발생하며 기능 인상을 통해 이를 최대한 줄여 주어야 한다. 또한, Twin occlusion을 사용하면 적절한 구순 및 협측의 지지를 얻으면서 교합관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증례보고에서는 하악골 결손 증례에서 중립대 인상 방법과 twin occlusion을 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DICOR와 G-CERA PORCELAIN LAMINATE VENEER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DICOR AND G-CERA PORCELAIN LAMINATE VENEER)

  • 조미숙;양재호;이선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41
    • /
    • 1991
  • Cermic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esthetics and strength. The recently introduced castable ceramic system is regarded as the more esthetic and biocompatible restorative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f Dicer & G-Cera porcelain laminate veneer according to the type of cement and surface treatment and to observe the surface of bonding failure with SEM. Total forty disks(3.5mm $diam.\times2.0mm$ thickness) were prepared. Forty extracted human maxillary central incisor teeth were stored in saline solution. Ten teeth were bonded to Dicer specimen with Dicer ZPC cement and ten teeth were bonded with Dicer resin cement. Ten silicoated G-Cera specimen and ten non-silicoated G-Cera specimen were bonded to teeth with G-Cera resin cement. Bonded units were mounted in a plastic tube with hard stone and stored in a humidor at $37^{\circ}C$ for 24 hours.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1125) and all the specimen were observed with SEM(JEOL, JSM-T2000)and modes of failure were record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of Dicer bonded with Dicer resin cement was 11.62 MPa and that bonded with Dicor ZPC cement was 0.88 MPa : Shear bond strength of Dicer bonded with Dicer resin ce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5). 2.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of silicoated G-Cera was 13.10 MPa and that of non silicoated G-Cera was 10.93 MPa : Shear bond strength of silicoated G-Cera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3. Shear bond strength of Dicer and G-Cera porcelain laminate vene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4. In observation of bond failure with SEM, Dicer bonded with Dicer ZPC cement exhibited adhesive failure. Dicer bonded with Dicer resin cement and silicoated and non silicoated G-Cera exhibited cohesive failure.

  • PDF

MMPI를 이용한 악교정 수술환자의 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through the MMPI.)

  • 박우경;박재억;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41-750
    • /
    • 1998
  • 이 연구에서는 악교정 수술환자의 술전, 술후 인성의 특성 및 술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객관적인 인성검사의 한가지인 MMPI를 이용하였다. 악교정 수술환자들의 수술동기와 술후 만족도는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술전교정 중인 환자50명과 악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 22명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술전 환자군에서 K척도를 제외한 모든 T-scores는 정상적인 범주에 놓여 있었다. K척도값은 57.7이었으며 이것은 이 환자들이 다소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2. 술후 환자군은 모든 척도에서 정상범주에 놓여 있었다. 3. 술전, 술후 환자군을 비교했을 때, 단지 K-score만이 수술 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p<0.05) 4. 남성환자는 술전 K 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정상적이었으며, 술후에 K, Hs 척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p<0.05) 5. 여성환자는 모든 T-score가 정상적인 범주에 놓여 있었다. 6. 수술동기는 크게 심미적, 기능적, 악관절문제, 정신사회학적 동기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각 28.2, 32.1, 9.0, $30.7\%$였다. 7. 수술 후 수술 동기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하는 환자가 전체의 $14.3\%$, 만족하는 환자가 $71.4\%$, 그저 그렇다고 답한 환자가 $9.5\%$였으며, 매우 불만족스러움을 답한 환자가 $4.8\%$였다.

  • PDF

Le Fort I 골절단술에서 posterior impaction의 양과 occlusal plane angle, incisor inclination의 변화 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posterior impaction and the change of occlusal plane angle and incisor inclination in Le Fort I osteotomy)

  • 김복주;김민구;김정한;김철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5호
    • /
    • pp.375-379
    • /
    • 2010
  • Introduction: In the management of dentofacial deformities, variable movement of the maxilla can be made possible by a Le Fort I osteotomy. Posterior impaction of the maxilla necessary for rotation of the maxillomandibular complex enhances the functions and esthetic results. In cases of posterior impaction of the maxilla, an increase in the figure of the occlusal plane angle and incisor inclination can occur. This study re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posterior impaction and the change in the occlusal plane angle and incisor inclination in a Le Fort I osteotomy b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lateral cephalogram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who had undergone orthognathic surgery in Dong-A University Medical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Lateral cephalometrics, within 3 weeks prior to surgery and 3 days after surgery, were used for analysis. Pr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of the occlusal plane angle and incisal inclination based on the Frankfort horizontal (FH) plane were performed. X and Y were defined as the amount of vertical change in the upper incisor tip and the amount of vertical change in the upper first molar mesial cup tip through the operation. The amount of final posterior maxillary impaction was determined by subtracting Y from X, which is the difference in vertical height.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sterior maxillary impaction, the change in the occlusal plane angle and incisal inclination was measured. Results: The average posterior maxillary impaction was 2.91 mm and the average change in the occlusal plane angle and incisal inclination was $6.54^{\circ}$after surgery. As a result, each mm of posterior maxillary impaction changed the occlusal plane angle and incisal inclination by $2.25^{\circ}$. Statistically, there was high significance. Two cases were observed: one with the same amount of posterior maxillary impaction performed on both the right and left showing $2.20^{\circ}$, and the other with a different amount of posterior maxillary impaction performed showing $2.35^{\circ}$. In this case,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ses. Conclusion: Each mm of posterior maxillary impaction changes the occlusal plane angle and incisal inclination by an average of $2.25^{\circ}$. In posterior maxillary imp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occlusal plane angle and incisal inclin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re was an equal amount of posterior maxillary impaction on both sid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n the presurgical orthodontic preparation and presurgical treatment planning.

전악 무치악 환자에서 골이식술을 선행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fully edentulous patient with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preceding bone graft: A case report)

  • 안주남;이정진;서재민;김경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7-87
    • /
    • 2018
  •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치료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수복, hybrid 고정성 보철수복, 임플란트 유지 혹은 지지 피개의치 등이 있으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 발음 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보인다.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을 계획한 경우 발음, 심미, 구강 위생 등을 고려한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진단이 필수적이다. 진단 과정을 통해 파악된, 보철물이 필요한 곳에 임플란트를 식립(prosthetic-driven)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치조골과 연조직 지지 등이 필요하며 이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광범위한 골이식술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증례는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 상실로 인해 치조골 흡수가 심하게 진행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치조골 증대술을 선행하고 임플란트 식립 후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표면처리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결합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COMPOSITE RESIN TO AIR-ABRADED ENAMEL AND DENTIN)

  • 신재호;장기택;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124
    • /
    • 1997
  • According to extensive use of composite resin which have superior esthetic property, every effort on improving bonding strength between a tooth and composite resin has been continued. Acid etching technique is a method that micro-etches the tooth surface which provides bonding with composite resin possible. Recently, there were several reports that mechanical treatment obtained from air-abrasion can provide similar bonding strength with acid etching technique. So,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shear bonding strength between using air-abrasion technique and using acid etching technique. Initially, bovine teeth were divided into enamel and dentin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each group was categorized into three subgroups. One subgroup was acid etched with 35% phosphoric acid, then bonded with composite resin. The other subgroup was air-abraded with $50{\mu}m$ $Al_2O_3$ particles sprayed with 160psi air pressure using air abrasion unit(KCP-1000, A.D.T., U.SA), and composite resin was bonded. In another subgroup, composite resin was bonded after acid etching following air-abrasion. So, enamel experimental groups were made of E1 (acid etched only), E2(air-abraded only), E3(acid etched following air-abraded), and dentin experimental groups were made of D1(acid etched only), D2(air-abraded only), D3(acid etched following air-abraded). Each subgroup had 10 specimens. Dentin bonding system(Scotchbond Multi-purpose, 3M Co., U.S.A.) and composite resin(Z-100, 3M Co., U.S.A.) were applied on treated surface using 5mm diameter gelatin capsule as manufacturer's direction. After 1200 times thermocycling between $5^{\circ}C$ and $55^{\circ}C$,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in 5mm/min crosshead speed with Instron(Instron Co., U.S.A.), and also treated enamel and dentin were observed with SEM(JEOL Co., Japa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enamel experimental groups, acid etched following air-abraded group had highest shear bond strengt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acid etched group. Air-abraded only group had lowest shear bond strength,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rest of groups. 2. In the dentin experimental groups, acid etched following air-abraded group had highest shear bond strengt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acid etched group. Air-abraded only group had lowest shear bond strength,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rest of groups. 3. In the SEM study, air-abraded enamel and dentin had irregular and rough surfa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