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ctomy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2초

Long-term Outcomes of Laparoscopic Versus Open Transhiatal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Esophagogastric Junction Cancer

  • Lee, Yoontaek;Min, Sa-Hong;Park, Ki Bum;Park, Young Suk;Ahn, Sang-Hoon;Park, Do Joong;Kim, Hyung-H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1호
    • /
    • pp.62-71
    • /
    • 2019
  • Purpose: The laparoscopic transhiatal approach (LA) for adenocarcinoma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AEJ) is advantageous since it allows better visualization of the surgical field than the open approach (OA). We compared the surgical outcomes of the 2 approache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08 patients with AEJ who underwent transhiatal distal esophagectomy and gastrectomy with curative intent between 2003 and 2015. Surgical outcomes were reviewed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The LA and OA were performed in 37 and 71 patient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OA, the LA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shorter duration of postoperative hospital stay (9 vs. 11 days, P=0.001), shorter proximal resection margins (3 vs. 7 mm, P=0.004), and extended operative times (240 vs. 191 min,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LA and OA for intraoperative blood loss (100 vs. 100 mL, P=0.392) or surgical morbidity rate ($grade{\geq}II$) for complications (8.1% vs. 23.9%, P=0.080). Two cases of anastomotic leakage occurred in the OA group. The number of harvested lymph nod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LA and OA groups (54 vs. 51, P=0.889). The 5-year overall and 3-year relapse-free survival rates were 81.8% and 50.7% (P=0.024) and 77.3% and 46.4% (P=0.009) for the LA and OA groups, respectively. Multivariable analyses revealed no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overall survival. Conclusions: The LA is feasible and safe with short- and long-term oncologic outcomes similar to those of the OA.

Lymph Node Status after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according to Radiation Field Coverage

  • Kim, Sang Yoon;Park, Samina;Park, In Kyu;Kim, Young Tae;Kang, Chang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5호
    • /
    • pp.353-359
    • /
    • 2019
  • Background: To explore the effect of radiation on metastatic lymph nodes (LNs) after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nCRT), we examined the metastatic features of LNs according to their inclusion in the radiation field. Methods: The patient group included 88 men and 2 women, with a mean age of $61.1{\pm}8.1$ years, who underwent esophagectomy and lymphadenectomy after nCRT. Dissected LNs were compared in terms of clinical suspicion of metastasis, nodal station, and inclusion in the radiation field. Results: LN positivity did not differ between LNs that were inside (in-field [IF]) and outside (out-field [OF]) of the radiation field (IF: 40 of 465 [9%], OF: 40 of 420 [10%]; p=0.313). In clinical N+ nodal stations, IF stations had a lower incidence of metastasis than OF stations (IF/cN+: 16 of 142 [11%], OF/cN+: 9/30 [30%]; p=0.010). However, in clinical N- nodal stations, pathological positivity was not affected by whether the nodal stations were included in the radiation field (IF/cN-: 24 of 323 [7%], OF/cN-: 31 of 390 [8%]; p=0.447). Conclusion: Radiation therapy for nCRT could downstage clinically suspected nodal metastasis. However, such therapy was ineffective when used to treat nodes that were not suspicious for metastasis. Because significant numbers of residual metastases were identified irrespective of coverage by the radiation field, lymphadenectomy should be performed to ensure complete removal of residual nodal metastases after nCRT.

Long-Term Outcomes of Colon Conduits in Surgery for Primary Esophageal Cancer: A Propensity Score-Matched Comparison to Gastric Conduits

  • Jae Hoon Kim;Jae Kwang Yun;Chan Wook Kim;Hyeong Ryul Kim;Yong-Hee K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1호
    • /
    • pp.53-61
    • /
    • 2024
  • Background: In the treatment of esophageal cancer, a gastric conduit is typically the first choice. However, when the stomach is not a viable option, the usual alternative is a colon conduit. This study compared the long-term surgical outcomes of gastric and colon conduits over the same interval and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of patients who underwent esophagectomy followed by reconstruction for primary esophageal cancer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20. Results: The study included 1,545 patients, with a gastric conduit used for 1,429 (92.5%) and a colon conduit for 116 (7.5%). Using propensity-matched analysis, 116 patients were selected from each group for comparis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longterm survival between the gastric and colon conduit groups, irrespective of anastomosis level and pathological stage.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in the colon conduit group experienc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ared to the gastric conduit group (57.8% vs. 25%, p<0.001). Multivariable analysis revealed that age over 65 years, body mass index below 22.0 kg/m2, neoadjuvant therapy, postoperative anastomotic leakage, and renal failure were risk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ith a colon conduit. Regarding conduit-related complications, cervical nastomosis was the only significant risk factor among those with a colon conduit. Conclusion: Despite the association of colon conduits with high morbidity rates relative to gastric conduits, the long-term outcomes of colon conduits were acceptable. Mor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perioperatively to the use of a colon conduit, particularly in cases involving cervical anastomosis.

완전 절제된 식도암의 재발과 생존에 대한 임상적 고찰 (The Recurrence and Survival after Complete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 김형수;유정우;김관민;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411-417
    • /
    • 2003
  • 식도암은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으로 최근 수술 전 보조요법을 통하여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 결과에 있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수술 전 보조요법을 시행하지 않고 Ivor Lewis 술식으로 완전절제가 가능하였고, 흉강 및 복강내의 임파절을 모두 제거할 수 있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생존율 및 재발률 등을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에서 식도암으로 수술을 받은 351명의 환자 중 수술 전 보조요법을 시행하지 않고, 다른 원발성 암이 없으며, Ivor Lewis 술식으로 수술을 받고,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던 편평상피 식도암 환자 1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자료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167 : 15였고, 중앙 연령 값은 62세였다. 식도암의 위치는 상흉부 7명(3.8%), 중흉부 86명(47.3%), 하흉부 89명(48.9%)이었고, 수술 후 병기는 0기 2명(1.1%), I기 32명(17.6%), IIA기 47명(25.8%), IIB기 25명(13.7%), II기 54명(29.7%), IVA기 10명(5.5%), IVB기 12명(6.6%)였다. 수술 후 원내 사망률은 3.8%(7명)이었고, 수술 후 합병증은 65명(35%)에서 발생하였다. 환자의 95.6%에서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다. 수술 후 56명의 환자에서 재발을 하였고, 5년 무병률은 55%였다. 그리고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7%였고, 각 병기의 5년 생존율은 I기 80%, IIA기 65%, IIB기 58%, II기 48%, IVB기 40%였다. 그리고 수술 후 보조요법을 시행한 환자 중 IIA기를 제외한 5년 생존율은 59%였고, 보조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34%로 통계적 유의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결론: 식도암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적인 완전절제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라고 생각되며, 병기가 진행된 경우라도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 및 보조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내시경을 통한 식도-위 문합술의 질 평가-경부와 흉부 문합의 비교-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Esophago-gastric Anastomosis by Endoscopic Examination -Cervical Versus Intrathoracic Anastomosis-)

  • 심재훈;김현구;백만종;김학제;최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2호
    • /
    • pp.920-926
    • /
    • 2006
  • 배경: 식도-위 문합의 수술기법 향상과 술 후 관리기법의 발전은 문합부 누출, 폐렴 등의 위험한 조기 합병증을 감소시켰지만, 수술 후 환자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문합 부위의 협착 또는 위식도 역류에 의한 증상은 상대적으로 간과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차 중요시되고 있는 식도암 환자의 수술 후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식도-위 문합부의 협착과 역류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도-위 문합술의 질적 평가를 시행하고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식도 절제술 후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외래 추적 기간 중 내시경을 시행 받은 53명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병력, 수술 후 투약내용, 문합 위치, 문합 방법, 내시경 소견상 역류성 식도염의 존재 여부와 문합부 협착 유무 및 시행되어진 중재적 시술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총 53명의 환자 중 남자 환자가 85%(n=45)였고, 수술 당시 연령은 $60.3{\pm}8.87$세($39{\sim}81$세)였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29{\pm}23.6$개월($5{\sim}111$)이었다. 식도-위 문합을 흡수성 봉합사로 시행한 경우가 23명이었고 EEA를 이용한 경우가 30명이었으며, 문합 방법에 따른 협착이나(p=0.64)이나 역류성 식도염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p=0.41). 문합 위치가 경부인 경우는 26명, 흉부인 경우는 27명이었으며, 문합 위치에 따른 협착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p=0.44), 역류성 식도염은 경부 문합 26명 중 3명(12%)에서만 발견되어 흉부 문합군(5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 식도-위 문합 시 경부 문합은 흉부 문합에 비해 문합부 협착의 빈도는 차이가 없고, 역류성 식도염의 빈도는 현저히 적으며, 식도암의 경우 더 여유 있는 절제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따라서 식도절제술 및 위-식도 문합 시 특별한 금기증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경부 문합을 선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문합 방법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과 협착의 빈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수술 시간의 단축 등의 몇몇 장점으로 인해 기계 문합을 선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식도암의 수술 기법과 술 후 관리의 향상으로 인하여 문합 부위의 역류로 인한 증상과 환자의 일상 생활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따른 적극적인 anti-reflux 수술에 대한 고려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의 성적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for the Result after Curative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 이재익;노미숙;최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56-363
    • /
    • 2004
  • 식도암은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으로, 최근 식도암의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행해지고 있으나 아직 그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8년 간 동아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치험한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기 및 장기 성적을 분석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시행한 경부 임파절 절제술의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식도암으로 식도절제술을 받은 70명의 환자 중 근치적 절제가 가능하였고, 중복암이 동반되어 있지 않으며, 술 전 보조요법을 받지 않은 식도암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자료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식도 절제는 대부분 우측 개흉술을 이용하였고 대부분의 문합은 경부에서 시행하였다. 1997년 후반부터 선택적인 환자에서 경부 임파절 절제술(3-field ltmph node dissect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46 : 5였고, 중앙 연령 값은 60세였다. 식도암의 위치는 상흉부 10명(19%), 중흉부 21명(41%), 하흉부 20명(40%)이었고, 조직학적으로는 편평상피세포암이 46명(90%)으로 가장 많았고 소세포암이 2명, 선암, 선암-편평상피세포암과 미분화세포암이 각각 1명씩이었다. 술식은 경부문합이 41명, 흉부문합이 10명이었으며, 2-field lymph node dissection을 40명에서 3-field lymph node dissection을 11명에서 시행하였다. 술 후 병기는 I기 9명(17.6%), IIA기 20명(39.2%), IIB기 7명(13.7%), III기 11명(21.6%), IVA기 2명(3.9%), IVB기 2명(3.9%)이었다. 술 후 원내 사망률은 3.9%(2명)이었고, 술 후 합병증은 24명(47%)에서 발생하였다. 수술 사망 예를 포함한 전체 환자의 1, 3, 5년 생존율은 각각 74.4%, 48.4%, 48.4%이었다. 경부 임파절 절제를 한 군은 4년 생존율이 50.5%로 2-field lymph node dissection을 한 군(48.9%)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호흡기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고 수술시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도암에 대한 외과적 절제술은 비교적 낮은 수술 사망률로 시행할 수 있으며, 병기가 진행된 경우라도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경부 임파절 절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리라 본다.

식도암 조직에시 p53 및 nm23 유전자 발현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p53 Gene and nm23 Gene Expression in Esophageal Cancer)

  • 박건;이종호;사영조;진웅;권종범;박재길;이선희;곽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61-266
    • /
    • 2004
  • 식도암 환자에서 조기진단 및 수술적 치료 방법의 상당한 진전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예후는 여전히 좋지 않다. p53 종양 억제유전자는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nm23 유전자는 설치류 흑색종에서 종양의 전이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실험은 p53과 nm23유전자 발현과 식도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인 특징상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에서 수술한 식도암 환자 40명의 조직을 대상으로 하였고, p53 변이형 단백질과 nm23단백질을 면역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10% 양성 종양세포 : negative ; 10∼30% 양성 종양세포: +; 30∼50% 양성 종양세포 : ++; >50% 양성 종양세포: +++의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고, 또한 종양의 침습 정도는 none, mild, moderate, severe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p53 변이형 단백질과 nm23 단백질의 과발현은 생존율 및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연관성이 없었고, 또한 p53 및 nm23유전자 발현의 조합 분석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감염성 대동맥류에 혈관 내 스텐트 삽입 시행 후 발생한 대동맥-식도루 - 1예 보고 - (Aorta-esophageal Fistula That Developed after Endovascular Stent-grafting of a Mycotic Aneurysm - A case report-)

  • 남진혜;박계현;유재석;이재항;임청;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81-784
    • /
    • 2010
  • 74세 여자 환자가 3개월 전 발열, 오한이 있어 시행한 검사에서 우연히 소낭형 흉부 대동맥류가 발견되어 외과에서 대동맥 내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 받았다. 시술 후 발열, 오한이 지속되었으나 별도의 항생제 치료 및 추적 관찰 없이 지내던 중 토혈이 발생하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식도내시경 검사에서 스텐트가 삽입된 대동맥류 주변으로 공기-액체층 및 삼출물 저류 소견과 대동맥-식도루가 발견되어 감염성 대동맥류와 이에 합병된 대동맥-식도루가 강력히 의심되었다. 이에 토혈에 대한 보존적 치료와 감염에 대한 경험적 항생제 치료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기존의 스텐트를 제거하고 흉복부 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식도는 절제 후 경부 식도-위 문합술로 재건하였다. 술 후 1일째 별다른 문제 없이 인공 호홉기를 이탈하였고, 2일째 일반 병실로 전동되었다. 감염성 대동맥류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 시행 후 발생한 치명적인 합병증인 대동맥-식도루에 대하여 성공적인 수술적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Surgical Treatment for Early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Chen, Shao-Bin;Weng, Hong-Rui;Wang, Geng;Yang, Jie-Sheng;Yang, Wei-Ping;Liu, Di-Tian;Chen, Yu-Ping;Zhang, H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825-3830
    • /
    • 2013
  • More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reatments and prognosis of early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the outcome of surgical treatment for early ESCC, evaluate the results of a left thoracotomy for selected patients with early ESCC,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lymph node metastases and survival. The clinicopathological data of 228 patients with early ESCC who underwent transthoracic esophagectomy with lymphadenectomy without preoperative adjuvant treatment were reviewed. The ${\chi}^2$ test or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to detect factors related to lymph node metastasi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There were 152 males and 76 females with a median age of 55 years. Two hundred and eight patients underwent a left thoracotomy, and the remaining 20 patients with lymph nodes in the upper mediastinum more than 5 mm in short-axis diameter by computed tomography scan underwent a right thoracotomy. No lymph node metastasis was found in the 18 patients with carcinoma in situ, while lymph node metastases were detected in 1.6% (1/62) of patients with mucosal tumours and 18.2% (27/148) of patients with submucosal tumours. Only 7 patients showed upper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es in the follow-up. The 5- and 10-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81.4% and 70.1%, respectively. Only histologic grade (P<0.001) and pT category (P=0.001)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lymph node metastases. In multivariate analysis, only histologic grade (P=0.026) and pT category (P=0.008)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 left thoracotomy is acceptable for selected patients with early ESCC. Histologic grade and pT category affected the presence of lymph node metastases and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early ESCC.

양성 식도질환의 외과적 요법 (Surgical treatment of benign esophageal disease)

  • 김응중;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762-774
    • /
    • 1984
  • A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49 cases of the benign esophageal diseases experienced at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7 year period from 1977 to 1983. Of 49 cases Of the benign esophageal diseases, there were 19 patients of esophageal stricture, 11 of achalasia, 6 of perforation, 3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3 of esophageal perforation, 3 of esophageal leiomyoma and one of esophageal foreign body. Twenty three patients were male and 26 were female. Ages ranged from 4 years to 74 years with the average age of 34.7 years. Of 19 patients of esophageal strictures, 7 patients were male and 12 were female and ages ranged from 6 years to 74 years with the average being 33.8 years. Causes of esophageal strictures were corrosive of esophageal strictures were dysphagia, vomiting, general weakness, weight loss and pain that order and developed on several different parts of esophagus. Operations were performed in 18 cases, of whom 7 patients were performed by esophagocologastrostomy, 4 gastrostomy, 4 esophagogastrostomy, 1 esophageal resection and esophagoesophagostomy, 1 esophagotomy and dilatation and 1 scar revision. Five patients had one or two complications; 2 anastomotic leakage, 1 wound infection, 1 localized empyema, 1 bilateral pneumothorax and 1 respiratory failure. One patient expired due to respiratory failure arising from aspiration pneumonia. The average age of achalasia patients was 33.1 years and symptom durations were from 2 months to 10 years with the average of 3.3 years. Main symptoms were dysphagia, vomiting, weight loss, pain and cough in that order. Modified Hellers myotomy was performed in 11 patients with one complication of restenosis. One patient was operated on by using longitudinal incision and transverse sutures with good result. Of 6 patient of esophageal diverticulum, 2 patients were traction diverticulum on the midesophagus, 2 were pulsion diverticulum on the midesophagus and 2 were pulsion diverticulum on the lower esophagus. Diverticulectomy was performed on 2 cases of traction diverticulum and esophagocardiomyotomy with or without diverticulectomy was erformed on 4 cases of pulsion diverticulum with good results. Of 5 patients of congenital bronchoesophageal fistula, the chief complaints were productive cough in 4 patients and hematemesis without respiratory symptoms in one patient. Two patients were operated on by using fistulectomy only and 3 by fistulectomy with pulmonary lobectomy. Of 3 patients of esophageal perforation, causes were foreign body ingestion, esophageal stricture after ECG and corrosive esophagitis. Two patient were operated on by using drainage and gastrostomy with symptomatic improvement but one patient died due to septic shock after thoracotomy. Three patients of esophageal leiomyoma were all male and 2 patients were operated on by using enucleation and one by distal esophagectomy with esophagogastrostomy. In one patient of esophageal foreign body, it was removed by esophagotomy through the right thoracotom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