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ctomy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19초

Successful Endoscopic Vacuum Therapy for Extensive Gastric Tubing Necrosis after Ivor-Lewis Esophagectomy: A Case Report

  • Hee Kyung Kim;Hyun Woo Je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5호
    • /
    • pp.362-366
    • /
    • 2023
  • The stomach has become the most commonly used site for grafts to replace the esophagus in esophageal cancer surgery because of its good blood supply and ability to enable single-reconstruction anastomosis. However, anastomotic failure is a serious complication after esophageal cancer surgery. Unlike anastomotic leakage due to local ischemia, gastric tube necrosis is a life-threatening condition with a high mortality rate. Gastric tube necrosis involves extensive ischemia due to a decreased blood supply, and an urgent operation is mandatory in most cases. Endoscopic vacuum therapy (EVT) has been used for anastomotic leakage after esophageal surgery. In recent years, it has been successfully used for more extensive disease, including large esophageal perforation as an indication for reoperation. Hence, we report a case of extensive gastric tube necrosis treated by EVT after an Ivor Lewis operation.

Endoscopic treatment of upper gastrointestinal postsurgical leaks: a narrative review

  • Renato Medas;Eduardo Rodrigues-Pinto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6호
    • /
    • pp.693-705
    • /
    • 2023
  • Upper gastrointestinal postsurgical leaks are life-threatening conditions with high mortality rates and are one of the most feared complications of surgery. Leaks are challenging to manage and often require radiological, endoscopic, or surgical intervention. Steady advancements in interventional endoscopy in recent decades have allowed the development of new endoscopic devices and techniques that provide a more effective and minimally invasive therapeutic option compared to surgery. Since there is no consensus regarding the most appropriate therapeutic approach for managing postsurgical leaks, this review aimed to summarize the best available current data. Our discussion specifically focuses on leak diagnosis, treatment aims, comparative endoscopic technique outcomes, and combined multimodality approach efficacy.

Salvage Endoscopic Resection for Residual Lesion after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in Esophageal Cancer

  • Kim, Seong Jung;Hong, Ran;Lee, Jun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57-60
    • /
    • 2019
  •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CRT) with its significant efficacy and safety in esophageal cancer is reserved for patients with unresectable tumor or those who decline surgery. However, the incidence of locoregional failure or recurrence after definitive CRT remains high. Although esophagectomy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locoregional failure or recurrence, this approach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A 56-year-old man diagnosed with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who refused to undergo surgery received definitive CRT. An endoscopy for response assessment performed after 2 months revealed a residual lesion, which was completely resected by salvage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endoscopic resection in locoregional failure or recurrence after definitive CRT is very rarely reported, and there are no guidelines or consensus to date. Here, we report a case of successful salvage endoscopic resection of residual lesion after definitive CRT.

식도암 환자의 GET 영상 평가 (GET Imaging Evaluation of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 문종운;이충운;서영덕;윤상혁;김용근;원우재
    • 핵의학기술
    • /
    • 제17권2호
    • /
    • pp.31-36
    • /
    • 2013
  • 위배출 시간 측정(Gastric Emptying Time, GET)은 비침습적이고 정량적 평가 방법으로서 주로 내시경이나 방사선적 검사로 기계적 폐쇄가 없음이 확인된 위정체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 외에 식도암 환자(식도 절제술을 시행한)를 대상으로 수술 직후와 1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후의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를 시행하여, 수술 후 흉강내에서 위장 기능의 평가 자료로서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원을 내원해서 식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93명을 대상으로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를 수술 직후와 1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후에 두 번 시행하였다. 환자의 검사 전 준비사항으로는 12시간 이상 밤새 공복과 약재나 흡연을 중단 시켜야 하고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주사 후 아침 일찍 검사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검사 방법은 유동식의 위배출 시간 측정은 예민도가 떨어지므로 시행하지 않고, 고형식의 위배출 시간 측정 방법으로 $^{99m}Tc-DTPA$로 표지된 레진이 들어간 계란찜, 그리고 김밥과 점성이 높은 발효유와 함께 먹은 후 입위 자세로 3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검사의 평가 방법은 위배출 곡선 상에서 위내 방사능치가 50%가 되는 시간, 즉 반감기(T1/2)를 구하였고, 반감기가 180분 이상시 지연 위배출, 180분 이내는 중등도, 삼킴과 동시에 소장으로 넘어가는 경우를 급속 위배출로 구분하였다. 일반적인 위배출 시간 측정 영상은 위의 전정부와 위저부가 강하게 나타나는 영상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장으로 넘어가는 영상이지만, 식도 절제술을 시행한 식도암 환자는 흉강쪽에 강한 집적 영상을 보였다. 수술 직후 반감기(T1/2)는 급속 위배출이 12.9%, 중등도 위배출이 52.7%, 지연 위배출이 34.4%로 나타났다. 이후 1년 이상의 시간이 흐른 뒤의 반감기 결과는 수술 직후 급속 위배출 환자 중 67%가 중등도 위배출로, 지연 위배출을 보였던 환자는 69%가 중등도 위배출로 나타났다. 중등도 위배출을 보였던 환자 중 급속 위배출 이나 지연 위배출로 나빠진 경우는 24%이다. 식도 절제술을 시행한 식도암 환자의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는 반감기(T1/2)가 급속 위배출 및 지연 위배출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중등도 위배출로 변하는 소견을 보였다. 이는 주로 위를 보는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가 흉강내의 식도를 대신하는 위장 기능의 평가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평가 기준을 세분화하고 검사의 시간 간격을 좁힌다면 좀 더 많은 정보와 분석으로 정확한 임상 진단과 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PDF

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n Resected Esophageal Cancer)

  • 이창걸;김충배;정경영;이두연;성진실;김귀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16-322
    • /
    • 2002
  • 목적 : 식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적 요법으로 방사선치료의 역할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후향적 분석을 통하여 식도암 환자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수술단독군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간의 생존률, 재발양상을 비교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1월에서 1993년 12월까지 식도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병기별로 I기 13예, IIA기 12예, IIB기 4예, 그리고 III기가 22예였다. 이 중 병기 I은 전 예에서 수술만을 시행받았고, 병기 II와 III의 38예 중 12예는 수술단독 그리고 25예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수술은 35예에서 경흉적 식도절제술(transthoracic esophagectomy)을 그리고 16예에서 경식도공 위장절제술(transhiatal esophagectomy)을 시행받았다. 방사선치료는 원발병소를 기준으로 종격동, 쇄골상부림프절 그리고 복강림프절을 포함하여 $3,000\~6000\;cGy$ $5\~6$주(중앙값 5400 cGy)조사하였다. 추적기간은 18개월에서 107개월 중앙치 38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56.4\%,\;36.8\%$였고 중앙생존기간은 45개월이었다. 병기별 2년생존율, 5년생존율 그리고 중앙생존기간은 병기 I $92\%,\;60.3\%$, 병기 II $63\%,\;42\%$, 51개월, 병기 III $34\%,\;23\%$, 19개월이었다. 병기 II와 III 전체에서 수술단독군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간의 5년생존율은 $22.8\%$$37.8\%$ 그리고 중앙생존기간은 45개월과 22개월로 차이가 없었다(p=0.89). 그러나 병기 III에서는 비록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p=0.14) 중앙생존기간 11개월, 20개월로 그리고 2년생존율에서 $0\%,\;36.5\%$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에서 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병기 II, III에서 국소재발률, 원격전이율은 수술단독군 $50\%,\;16\%$,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39\%,\;31\%$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N1병기에서 국소재발률은 수술단독군 $71\%$,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37\%$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19) 병합치료군에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군에서 국소재발된 경우는 전체 26예 중 10예로, 방사선치료 조사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조사면 내 재발이 2예, 경계부위 재발이 1예, 조사면 외부 국소 재발이 5예, 그리고 문합부 재발이 2예였다. 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근치적 절제술 후 병기 II, III 식도암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방사선치료는 수술단독군과 비교하여 생존율, 재발률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병기 III 혹은 N1의 경우는 국소재발을 낮추고 생존율향상의 경향을 보여 향후 좀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방사선치료시 국소재발률을 낮추기 위해 방사선치료의 범위를 종격동, 쇄골상부림프절, 복강림프절 그리고 문합부위 등을 모두 포함하는 좀더 넓은 조사면의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도암 수술후 문합부 합병증에 관한 연구 - 경부문합과 흉부문합 간의 비교- (A Study on Anastomotic Complications after Esophagectomy for Cancer of the Esophagus : A Comparison of Neck and Chest Anastomosis)

  • 이형렬;김진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799-805
    • /
    • 1999
  • 배경: 식도 및 분문부암에서 식도절제를 시행한 후 문합부에 생길 수 있는 중대한 합병증으로는 문합부 누출, 양성 협착, 그리고 종양재발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술후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그 문합의 위치가 경부 또는 흉부 어디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문합의 위치에 따른 합병증을 서로 비교할 필요가 있다. 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1998년까지 식도암 근치술을 시행 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절개에 의한 식도절제 후 그 문합 위치에 따라 경부 문합군(NA군, 20명) 및 흉부 문합군(C군, 16명)으로 각각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식도암환자의 병기는 2A기 13명, 2B기 7명, 3기 16명으로 술후 각각 판정되었고, 종양의 위치별로는 중흉부에 22명, 하흉부 및 분문부에 14명이 각각 위치하였다. 결과: 전체 수술사망률은 8.3%(경부 문합군 5%, 흉부 문합군 12.5%)였다. 문합부 누출율은 경부 문합군 15.0%, 흉부 문합군 12.5%으로 문합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문합 방법상 수봉합(27.3%)과 staple봉합(8.0%)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p<0.05). 종양으로부터 근위부 절제연은 평균 9.6 cm(경부문합군) 및 5.8 cm(흉부문합군)였고, 문합부 종양 재발율은 5.3%(경부문합군) 및 28.6%(흉부문합군) (p<0.05)였다. 양성 협착률-중등도 이상의 연하장해로 정의함-은 흉부문합군(21.4%)에 비해 경부문합군 (36.8%)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staple봉합법에 의한 문합시에는 staple의 크기가 작을수록 협착의 빈도는 높았다(25-mm staple에서 41.7%, 28-mm에서 9.1%) (p<0.05). 결론: 근위부 절제연을 크게 할수록 문합부의 종양 재발율을 줄일 수 있었고 staple봉합의 도입후 문합부 누출율은 크게 감소하였다. 양성 협착률은 경부 문합후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작은(25-mm) sstaple이 사용과 술후 문합부 누출의 합병이 중등도 이상의 협착의 더욱 큰 위험 요소라고 사료된다.

  • PDF

식도암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Esophageal Cancer)

  • 박기성;박창권;최세영;이광숙;유영선;금동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49-154
    • /
    • 1998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92년부터 1996년까지 수술한 54례를 분석하였다. 51명은 남자였고 3명은 여자였으며 연령분포는 42세에서 78세였으며 평균연령은 58.7$\pm$8.37세이었다. 증상은 다양하였으며 연하곤란(72.2%), 상복부 불쾌감(16.6%), 흉통(5.6%) 등이었다. 외과적 수술방법은 개흉술을 통한 식도절제술 및 식도위문합술(36례), 개흉술을 통한 식도절제술 및 결장대치술(4례), 개흉하지 않고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 및 경부에서 식도위문합술(14례)을 시행하였다. 7례에서 수술사망(12.9%)이 있었고 그중 6례는 개흉술을 통한 식도절제술, 1례는 개흉술을 통한 결장대치술이었다. 술후 합병증은 문합부위누출 7례, 창상감염 10례, 문합부협착 9례, 성대마비 2례, 기관지열상 1례와 THE(Orringer)술식후 기흉으로 폐쇄식 흉관삽관술을 3례에서 시행하였다. 식도암 병변위치로는 상부식도 4례, 중부식도 34례, 하부식도 16례였다. 조직학적 형태로는 선암 1례, 편평상피암 3례였다. 추적조사기간동안 총 25례가 사망하였다. 1년간 전체생존율은 52.7%였고 2년간 전체생존율은 45.5%였고 3년간 전체생존율은 45.5%였고 4년간 전체생존율은 45.5%였고 5년간 전체생존율은 45.5%였다.

  • PDF

식도질환의 외과적 치료 75례 (Surgical experience of esophageal disease: report of 75 cases)

  • 박창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231-242
    • /
    • 1983
  • A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on 75 cases of the esophageal cancer and benign esophageal diseases experienced at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uring 3 year period from 1978 to 1982. Of 75 cases of the surgical esophageal diseases, there were 35 patients of the esophageal cancer. 17 patients of benign esophageal stenosis, 10 patients of esophageal perforation, 4 patients of diverticulum. 3 patients of achalasia, 2 patients of congenital T-E fistula, one of upper esophageal web, one of esophageal foreign body, one of leiomyoma and patient of hemangioma. First, esophageal carcinoma was more frequent in men than in women by a ratio of five to one, and the peak incidence occurred in the 5th to 6th decade. Dysphagia was the most common symptom in 88.6 percent of our cases. The tumor was located mostly in the middle & the lower one third [91.4%]. The histological diagnosis was made in 35 cases. The squamous cell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82.9%] and the rest was the adenocarcinoma in the lower one third [17.1%]. Thirty-five cases were operated and resection was feasible in the twenty-five patients [71.4%] with 2 cases of hospital mortality [5.7%]. All but two of the esophageal stenosis were caused by corrosive esophagitis and ages ranged from 7 to 70 years with average age of 32 years. Corrective operations were performed on 17 patients of esophageal stenosis of whom 12 patients had esophagocologastrostomy, 3 patients esophagogastrostomy and in non-corrosive esophageal stenosis one case and esophagoplasty and another case had release of external compression. There was one complication of stenosis of the esophageal perforation were traumatic in five cases, empyema in three cases, caustics in one case and postemetic in one case. 10 patients of the esophageal perforation underwent operation: primary closure in 5 cases, two staged colon interposition in 2, esophagogastrostomy in 1 and closed thoracotomy in 2 cases There were 2 complications of leakage of anastomosis sites in postoperative period. 4 patients of traction type of diverticulum underwent diverticulectomy & 3 patients of achalasia underwent modified Heller`s operation. 2 patients of congenital esophageal atresia had distal tracheoesophageal fistula & underwent one staged operation with the results of one death caused by pneumonia. Upper esophageal web had divulsion through the esophagoscope and foreign body in upper esophagus was removed through cervical esophagotomy. One case of leiomyoma in esophagus had esophagectomy and reconstruction with right colon. And one case of hemangioma in esophagus had esophagectomy & esophagogastrostomy.

  • PDF

Surgical Outcomes of Cervical Esophageal Cancer: A Single-Center Experience

  • Yoonseo Lee;Jeonghee Yun;Yeong Jeong Jeon;Junghee Lee;Seong Yong Park;Jong Ho Cho;Hong Kwan Kim;Yong Soo Choi;Young Mog Sh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1호
    • /
    • pp.62-69
    • /
    • 2024
  • Background: Cervical esophageal cancer is a rare malignancy that requires specialized care. While definitive chemoradiation is the standard treatment approach, surgery remains a valuable option for certain patients. This study examined the surg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cervical esophageal cancer. Methods: The study involved a retrospective review and analysis of 24 patients with cervical esophageal cancer. These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2018.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1.0±10.2 years, and 22 (91.7%) of them were male. Furthermore, 21 patients (87.5%) had T3 or T4 tumors, and 11 (45.8%) exhibited lymph node metastasis. Gastric pull-up with esophagectomy was performed for 19 patients (79.2%), while 5 (20.8%) underwent free jejunal graft with cervical esophagectomy. The 30-day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8.3%.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mplications included leakage at the anastomotic site in 9 cases (37.5%) and graft necrosis of the gastric conduit in 1 case. Progression to oral feeding was achieved in 20 patients (83.3%). Fifteen patients (62.5%) displayed tumor recurrence. The median time from surgery to recurrence was 10.5 months, and the 1-year recurrence rate was 73.3%. The 1-year and 3-year survival rates were 75% and 33.3%, respectively, with a median survival period of 17 months. Conclusion: Patients with cervical esophageal cancer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aced unfavorable outcomes and relatively poor survival. The selection of cases and decision to proceed with surgery should be made cautiously, considering the risk of severe complications.

식도암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Esophageal Cancer Patient)

  • 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5호
    • /
    • pp.856-862
    • /
    • 1988
  • The survival rate after resectional operation for carcinoma of the esophagus is still very low and many factors contribute to these poor results. We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of 56 operated patients among 62 esophageal cancer patients between March, 1974 and July, 1988. Among the 62 patients, 52 patient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and 8 were adenocarcinoma, one was leiomyosarcoma and one was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The classification of esophageal cancer was based on TNM classification of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mong the operated patients, stage I was 5[9.6%], stage II was 13[25%], stage III was 26[50%], stage IV was 8[15.4%]. And its one year survival rate was 80%, 69%, 11.5%, 0% for each stages. The rate of resectability was 30.3% and resection of esophagus with esophagogastrostomy and extended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on 17 patients without distant metastasis or adjacent organ invasion. Substernal esophago-colono-gastrostomy, Celestine tube insertion and feeding gastrostomy was performed on remained 39 patients. The analysis of postoperative survival duration revealed the superiority of esophagectomy with extended lymph node dissection over other palliative operation. [1 year survival rate: 79% versus 21%] We concluded that the survival rate of esophageal resection with lymph node dissection group was superior to nonresective palliative operation group. And transthoracic approach was superior to extrathoracic approach in involved lymph node dissection and esophageal resection in locally invaded cases.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