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al rewarmi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토끼의 초저체온증 회복을 위한 식도가온법에 관한 연구 (Effects on the Esophageal Rewarmer for Repairing in Rabbits with Profound Hypothermia)

  • 정병현;이병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8-144
    • /
    • 2000
  •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ophageal thermal tube for rewarming in the hypothermia in rabbits. Thiry-one rabbits were continuously cooled with femoral arterio-venous bypass circulation to 25.0${\pm}$0.3$^{\circ}C$(profound hypothermia) of rectal temperature.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with 3 esophageal thermal tube groups perfused with circulation water at 38${\pm}$1$^{\circ}C$(low, n=12), 42${\pm}$1$^{\circ}C$(medium, n=12), and 45${\pm}$1$^{\circ}C$(high, n=7). Esophageal thermla tube specially constructed double-lumen esophageal tube with circulating warm water at respective htermal grade. With this device, rewarming of the rabbits as follows; High-esophageal thermal tube group(45${\pm}$1$^{\circ}C$)had a more effect on mean arterial pressure(MAP), heart rate(HR), esophageal temperature, and rectal temperature than others groups, but the circulation water at 45$\pm$1$^{\circ}C$ may cause thermal injuries in the esophagus because esophageal temperature increased to 41.1$^{\circ}C$. Medium-esophageal thermal tube group(42${\pm}$1$^{\circ}C$) had a more effect on RR than others groups, but the circulation water at 42${\pm}$1$^{\circ}C$ may also cause thermal injuries in the esophagus if the temperature exceeds 42$^{\circ}C$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because its esophageal temperature increased to 39.4$^{\circ}C$. Low-esophageal thermal tube group(38${\pm}$1$^{\circ}C$) had a more effect on MAP, RR, and esophageal temperature than others groups. In conclusion, rewarming of the central core in the treatment of profound hypothermia using the esophageal thermal tube perfused with circulation water at 38${\pm}$1$^{\circ}C$ appears to be a ideal alternative safety zone of the temperature of circulation water avoiding thermal injury in esophagus causing by out of order or lower precise thermostat of water bath to that of others groups.

  • PDF

토끼에서 초저체온증의 회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very of deep hypothermia in rabbits)

  • 이병한;전원철;김진영;김종성;박정환;박종성;한진수;정병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77-188
    • /
    • 1999
  •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overy in rewarming using the esophageal thermal tube in the deep hypothermia($25{\pm}1^{\circ}C$ ; rectal temp) in rabbits. Fifteen rabbits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n=6), peritoneal dialysis group(n=5) irrigated with dialysate at $42{\pm}1^{\circ}C$, and esophageal rewarming group(n=4) perfused with circulating water at $38{\pm}1^{\circ}C$. Rewarming of the rabbits was performed for 5 hours. MAP, HR, RR, esophageal temp, rectal temp, pH, $pCO_2$, $pO_2$, $Na^+$, and $K^+$ were observed. The results obtained in thes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Esophageal rewarming group($38{\pm}1^{\circ}C$) had more effect on esophageal temperature than other groups. Peritoneal dialysis group($42{\pm}1^{\circ}C$) had more effect on rectal temperature and $pO_2$ than other groups. The both groups also had more effects on MAP, HR, RR, and $pCO_2$ than control group. Three group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H, $Na^+$, and $K^+$.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simple, safe, and non-invasive esophageal rewarming method had an effect on the treatment of profound hypothermia as well as the peritoneal dialysis method in spit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ialysate and the circulating water, and the circulating water at $38{\pm}1^{\circ}C$ for esophageal rewarming also had an effect on the recovery of deep hypothermia.

  • PDF

개심술 중 경정맥 산소포화도의 역할 (The Role of Jugular Venous Oxyhemoglobin Saturation Monitoring During Cardic Surgery)

  • 김세연;지대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49-54
    • /
    • 1994
  • 숭모판 치환술이 예정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폐우회술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뇌산소 요구량과 소모량 사이의 불균형을 조사하기 위해 내경정맥 내의 산소포화도를 체외순환 5분전과 시작후 1분 이내, 저체온 상태가 안정되었을 때와 재가온하여 체온이 $34^{\circ}C$가 되었을 때, 그리고 체외순환 종료 후 15분 이내 등 5단계로 나누어 혈액을 채취하여 평균 동맥압, 체온, 동맥내 이산화탄소 분압, 혈색 소치, PH 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심폐우회술 중 이산화탄소 분압과 혈색소치 및 PH의 특이한 변화는 없었다. 2. 체외순환 직후 체온 및 평균 동맥압과 혈색 소치의 급격한 변화가 있었으나 임상적인 의미는 없었으며, $SjO_2$의 변화도 없었다. 3. 저체온 상태가 안정되었을때 $SjO_2$ 평균치가 72.4%이었으나 체온을 $34^{\circ}C$로 재가온하였을 때 56.1%로 감소하였다. 4. 재가온 시기에 $SjO_2$감소를 예방하기 위해 재가온 속도를 천천히 하고 이산화탄소를 증가시킴으로써 뇌혈류를 증가시키고 마취약제 등을 이용하여 산소에 대한 뇌대사율을 관류지수를 증가시켜야 하겠다.

  • PDF

소아에서의 저체온 심폐바이패스후 재가온 종료온도와 후하강 (End Point Temperature of Rewarming and Afterdrop After Hyp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 in Pediatric Patients)

  • 김원곤;이해원;임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25-130
    • /
    • 1997
  • 저체온 심폐바이패스후에 환자를 적절히 재가온시키지 못하면 수술직후 중환자실에서 종종 후하강 (afterdrop)현상이 발생할 수있다. 후하강이 생기면 전해질 장애, 부정맥, 혈역학적 불안정을 일으킬 수 있을뿐 아니라 전율에 의해 산소소모량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서 수술 직후 불안정한 심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 심장수술환자에서 적정 재가온 종료 온도를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50명의 환자들을 직장 온도를 기준으로 섭씨 35.5도에서 재가온을 종료한 군과 37도에서 재가온을 종료한 군으로 나눈뒤 두 군 사이에 후하강의 발생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후하강의 여부와 함께 심박수,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등 활력 증후도 함께 측정하였다. 그밖에 체온측정 장소에 따른 온도 의 차이를 관찰하기 위 해 심폐바이패스 중에는 직장 온도와 함께 식도 온도를 그리고 중환실에서는 직장 온도와 함께 액와 온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환자들은 전례에서 롤러 펌프에 의한 비박동성 관류를 시행 받았으며 산화기로는 막형 또는 기포형 산화기가 사용되었다. 두군의 환자들은 연령, 성별, 체표면적, 심폐바이패스 시간, 재가온 시간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찰 결과 두군의 환자들에서 모두 회복실에 도착한후 16시간후 까지 측정한 직장 온도에서 후하강은 없었으며 두군간 시간대별 직장 체온의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두군간 심박수와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재가온 종료시 식도 온도는 직장 온도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으며 중환자실에서 측정한 액와 온도는 직장 온도보다 항상 낮게 측정되었다. 전율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 결과는 소아에서는 직장 온도를 기준으로 적어도 섭씨 35.5도 이상에서 재가온을 종료하면 후하강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8례(11%),술후 일과성 신경학적 합병증이 7례 (9%),술후 일과성 정신과적 합병증이 6례 (8%), 급성 신부전이 3례 (4%),술후 출혈 및 폐렴이 각각 2례 (3%), 창상 감염과 십이지장 궤양 천공이 각각 1례 (1 %)이었다. 역행성심정 지액을 이용한 심근 보호법은 고위험도의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수술 위험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심근 보호법이라고 생각된다.처리구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740개의 정상수정란도 같은 반복수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미세주입한 수정란은 8일 후 11.6%(26/255) 및 5.2% (14/267)가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에서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으며 정상수정란은 27.2% (151/740)가 배반포기 배까지 발달하였다. 미세주입후 대조구에서는 23.1$\pm$2.6/70.7$\pm$4.7 (32.7%)의 할구가 $\beta$-Gal 활력을 보였고, 반면에 100$\mu\textrm{g}$/ml G418 처리구에서는 40.3$\pm$4.1/48.8$\pm$7.5 (82.6%)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비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ICM colony에서는 영양배엽과 내배엽을 제외한 epiblast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결과로부터 $\beta$-actin promoter/lacZ gene이

  • PDF

복부 수술 환자의 저체온 예방 중재 프로그램 (Rewarming Intervention Program for Abdominal Surgery Patients)

  • 안혜영;엄미란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0-230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ree groups of operative patients (Forced Air Warming, Electrical Blanketrol, Control) for discomfort and pattern of body temperature during surgery and post operatively.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3 randomized 3 groups of abdominal surgery patients admitted to an university hospital in D-city : The Bair Hugger and upper body blanket were used with the first group, electrical blanketrol with PVC Film with the second, and the third group was the control. ANOVA was used with the WIN SPSS 17.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for tympanic and esophageal body temperature at 1 hour after starting surger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ympanic body temperature during the 15 minute stay in the post anesthetic roo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rmal discomfort while in the post anesthetic room. or There among the three groups for serum cortisol during surgery.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pplication of a Bair Hugger or electrical blanketrol improves maintenance of body temperature of operative patients as well as body temperature of post operative patients, and is a clinically significant warming method providing a more consistent body temperature.

초저체온하 대동맥수술 환자에서 완전 순환차단의 안전한 체온 및 기간에 대한 연구 - 뇌파 Compressed Spectral Array의 임상적 응용 - (Clinical Application of Compressed Spectral Array During Deep Hypothermia)

  • 장병철;유선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8호
    • /
    • pp.752-759
    • /
    • 1997
  • 복합 심장질환이나 대동맥궁 수술시 뇌손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법 을 이용하고 있다. 수술후 뇌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들을 이용하여 왔으며, 1994년이후 저자들은 뇌대사를 감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술중 뇌파감시를 하고 있다. 저자들은 심장수술실에 사용이 편리한 뇌 파 압축 스펙트럼 정렬(compressed spectral array; CSA)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를 대동맥수술시 초저체온 및 설 전순환차단하에 뇌파감시에 적용하여 이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초저체온하 뇌파를 연속감시하여 뇌파가 소 실되고 다시 나타나는 온도를 확인하여 순환정지의 안전한 온도와 시간을 연구하였다. 급성 대동맥박리증 3 례와 대동맥궁 대동맥류 3례(2례는 가성)의 대동맥질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직장과 식도체온을 연 속 감시하였으며,마취후 뇌파를 연속감시하였다. 대상환자들중 3례는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차단하에 수술을 하였으며, 3례는 초저체온하 선택적 뇌관류하에(500 700Ml분) 수술을 하였다. 환자의 체온을 하강하여 뇌 파가 소실된 후 약 3분 후에 순환정지나 선택적 뇌관류를 하였다. 뇌파가 소실된 체온은 직장\ulcorner온이 $16.1^{\circ}C-22.1^{\circ}C(평균:$ $18.4\pm2.0),$ 식도체온이 $12.7^{\circ}C~16.4^{\circ}C(평균:$ $14.7\pm1.6)였다.$ 완전순환차단 환자의 경우 뇌 허혈 시간은 각각 30, 36, 및 56분이었으며, 뇌관류 환자의 경우 각각 41, 56, 92분이었다. 수술중 뇌파가 다시 나 타난 시간 및 체온은(증례 3~6) 5~23분후에 직장체온이 $14.1^{\circ}C~20.3^{\circ}C,$ 식도체온이 $11.7^{\circ}C~15.4^{\circ}C에서$ 나타났다. 수술후 뇌손상의 증상은 없었으며,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식도체온이 $16^{\circ}C이하에서도$ 뇌파가 23분이내에 다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식도체온이 $15^{\circ}C이하는$ 되어야 약 30분간의 완전순환 차단에 안전하리라 생각되었으며, 대동맥 수술시 CSA를 이용한 뇌파감시는 전기뇌활동을 감시하는데 유용 한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