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al carcinoma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1초

Weight Loss Correlates with Macrophage Inhibitory Cytokine-1 Expression and Might Influence Outcome in Patients with Advanced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Lu, Zhi-Hao;Yang, Li;Yu, Jing-Wei;Lu, Ming;Li, Jian;Zhou, Jun;Wang, Xi-Cheng;Gong, Ji-Fang;Gao, Jing;Zhang, Xiao-Tian;Li, Jie;Li, Yan;Shen, 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5호
    • /
    • pp.6047-6052
    • /
    • 2014
  • Background: Weight loss during chemotherapy has not been exclusively investigated. Macrophage inhibitory cytokine-1 (MIC-1) might play a role in its etiology. Here, we investigated the prognostic value of weight loss before chemotherapy and its relationship with MIC-1 concentration and its occurrence during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57 inoperable 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ESCC patients receiving first-line chemotherapy. Serum MIC-1 concentrations were assessed before chemotherapy. Patient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weight loss before or during chemotherapy:>5% weight loss group and ${\leq}5%$ weight loss group. Results: Patients with weight loss>5% before chemotherapy had shorter progression-free survival period (5.8 months vs. 8.7 months; p=0.027) and overall survival (10.8 months vs. 20.0 months; p=0.010). Patients with weight loss >5% during chemotherapy tended to have shorter progression-free survival (6.0 months vs. 8.1 months; p=0.062) and overall survival (8.6 months vs. 18.0 months; p=0.022), and if weight loss was reversed during chemotherapy, survival rates improved. Furthermore, serum MIC-1 concentration was closely related to weight loss before chemotherapy (p=0.001) Conclusions: Weight loss both before and during chemotherapy predicted poor outcome in advanced ESCC patients, and MIC-1 might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weight loss in such patients.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혈장 DNA를 이용한 Microsatellite 분석 (Microsatellite Alterations of Plasma DNA in Non Small Cell Lung Cancer)

  • 김규식;김은정;김수옥;오인재;박창민;정주연;김유일;임성철;박종태;김영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4호
    • /
    • pp.352-358
    • /
    • 2005
  • 폐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방법으로써 MA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전남대학교 병원 내과에 내원한 폐암 환자 9례(squamous cell carcinoma 6례, adenocarcinoma 2례, non-small cell lung cancer: 1례), 연령이 비슷한 비폐암 대조군 9례(AMC, 결핵: 3례, 비특이적 염증성 폐질환: 6례)와 40세 이하 정상인 12례(NC)를 대상으로, 이들의 말초혈액의 백혈구와 혈장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D21S1245, D3S1300, D3S1234 유전자좌의 MA를 분석하였다. 세가지 유전자좌 중 어느 한 유전자좌에서라도 MA가 관찰되면 MA가 있는 것으로 인정하였다. MA는 NC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0%(0/12), AMC에서는 88.9%(8/9)에서 관찰되었다. AMC와 NC 총 21례 중 흡연자에서 70%(7/10) 비흡연자에서 9.1%(1/11) MA가 관찰되었다(p<0.05). 폐암군과 AMC 총 18례 중 AMC에서 88.9%(8/9), 폐암군에서 66.7%(6/9)를 보여 양군간에 서로 차이 없이 모두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혈장 DNA의 MA는 40세 이하의 정상인들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폐암 환자들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고령의 흡연자들인 비폐암 대조 군에서도 높은 빈도로 MA가 관찰되므로 폐암 조기진단의 지표로써는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수의 한정된 대상을 이용한 결과로써 다양한 연령층과 흡연력 그리고 조직형에 따라 세분화된 더 큰 대상 군을 이용한 연구가 추구되어야 할 것이다.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치료 (Treatment of Stomach Cancer Involving Esophagogastric Junction)

  • 이종목;백희종;박종호;임수빈;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30-936
    • /
    • 2001
  • 배경 : 식도-위 경계부위에 발생되는 암의 원발병소에는 하부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 바렛씨 식도에서 발생한 선암, 위의 분문부에서 발생한 선암, 그리고 상부 위암에서 하부식도를 침범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중 국내에서는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선암의 대부분은 상부위암의 경계부 침범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등은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위암중 1988년부터 199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수술적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212명이 수술을 받았고 남녀비는 156:56 이었다. 나이는 22세에서 78세였고 정중복부절개, 좌 우 흥부절개 및 복부절개, 그리고 흉-복부 동시절개 등이 이용되었다. 술후 병기는 IA가 7명, IB가 11명, II가 26명, IIIA가 75명, IIIB가 35명, 그리고 IV기가 58명 이었다. 199명에서 근치적 절제를 할 수 있었고 200명에서 위의 전절제를 시행하였다. 164례 에서 하부식도의 침습이 있었다(77.4%). 74.1%는 복부 임파절에 전이가 있었고 17례(8%)에서 종격동 임파절의 침범이 있었다. 수술 사망률은 3.3%였고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35%였다. 결론 : 또 여러 가지 수술 접근방법이나 수술시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지만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수술시 충분한 절제길이와 적절한 임파절의 절제를 위하여 흉부 및 복부의 동시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icochalcone C Inhibits the Growth of Human Colorectal Cancer HCT116 Cells Resistant to Oxaliplatin

  • Seung-On Lee;Sang Hoon Joo;Jin-Young Lee;Ah-Won Kwak;Ki-Taek Kim;Seung-Sik Cho;Goo Yoon;Yung Hyun Choi;Jin Woo Park;Jung-Hyun Shim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1호
    • /
    • pp.104-114
    • /
    • 2024
  • Licochalcone C (LCC; PubChem CID:9840805), a chalcone compound originating from the root of Glycyrrhiza inflata, has shown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kin cance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However,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LCC in treating colorectal cancer (CRC) and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remain unclear. Chemotherapy for CRC is challenging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drug resista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LCC in human colorectal carcinoma HCT116 cells, oxaliplatin (Ox) sensitive and Ox-resistant HCT116 cells (HCT116-OxR). LCC significantly and sel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HCT116 and HCT116-OxR cells. An in vitro kinase assay showed that LCC inhibited the kinase activities of EGFR and AKT. Molecular docking simulations using AutoDock Vina indicated that LCC could be in ATP-binding pockets.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EGFR and AKT was observed in the LCC-treated cells. In addition, LCC induced cell cycle arrest by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s p21, p27, cyclin B1, and cdc2. LCC treatment induced ROS generation in CRC cells, and the ROS induction was accompanied by the phosphorylation of JNK and p38 kinases. Moreover, LCC dysregulate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the disruption of MMP resulted in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the cytoplasm and activation of caspases to execute apoptosis. Overall, LCC showed anticancer activity against both Ox-sensitive and Ox-resistant CRC cells by targeting EGFR and AKT, inducing ROS generation and disrupting MMP. Thus, LCC may be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Ox-resistant CRC cells.

식도암의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과 개흉을 통한 식도절제술의 비교 (Transhiatal versus Transthoracic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 박기성;박창원;최세영;이광숙;유영선;이재훈;금동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296-302
    • /
    • 2002
  • 목적: 흉부식도암환자의 식도절제술 방법에 있어 표준술식은 흉부와 복부를 통한 술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우측 개흉과 더불어 흉부와 복부를 통한 Ivor-Lewis 술식(ILO)과 식도열공을 통한 transhiatal esophagectomy술식(THO)간에 논란이 많다. THO 술식은 수술시간, 이환률, 사망률, 재원기간 등에 좀 더 좋은 결과을 얻을 수 있다고 하나, ILO술식에 비해 전이된 임파선 제거에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은 것은 사실이 다. 이에 본 연구는 식도열중을 통한 식도절제술과 개흉술을 통한 식도절제술의 여러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식도암 환자 103례에서 식도암절제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식도열공을 통한 절제술을 시행(THO)한 환자 27례와 우측개흉을 통한 절제술을 시행(ILO)한 환자 45례를 각각 두 군으로 나누어 술 전, 술 후 결과를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비는 THO군 27례와 ILO군 45례에서 각각 1명씩 여자였으며, 조직학적으로는 THO 군에서 2례, ILO군 1례에서 선암이었고 나머지 모두 편평 상피암이었다. 술 전 나이와 성별, 폐기능, 조직소견, 병기, 식도암 위치에서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식도암 길이와 수술시간에 대해서는 THO군 3.81 cm, 354분, ILO 군 5.31 cm, 453분으로 각각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0.001). 그리고 합병증 중 호흡기계에 관련된 합병증이 THO 군 11.1%, ILO 군 35.6%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술증과 수술 직후의 수혈양, 술 후 재원일수, 합병증률, 문합부위 누출 및 문합부위 협착, 병원 사망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에서 5년 생존률은 각각 37%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병원 사망률, 술 후 합병증률, 장기 생존률 등에는 두 방법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으나, 술 후에 병원사망률과 연관 있는 중요한 합병증 중에 하나인 호흡기계 합병증은 ILO 술식에서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은 주변 장기에 침범이 없고 암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술 전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호흡기계 합병증 등이 우려되는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시행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그리고 두 술식은 집도외간의 기호와 경험에도 좌우될 수 있다고 하겠다.

진행된 식도암의 방사선 단독치료 성적 (External Beam Radiotherapy Alone in Advanced Esophageal Cancer)

  • 안성자;정웅기;나병식;남택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11-16
    • /
    • 2000
  • 목적 : 진행된 식도암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치료성적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흉곽내에 위치한 편평상피세포암의 식도암으로 1990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외부 방사선 단독 치료를 받은 10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근치 목적의 방사선은 6 MV 혹은 10 MV X선으로 55 Gy에서 70.8 Gy 의 선량으로 통상적인 분할치료를 시행하였다. 추적이 가능한 환자는 100명(94$\%$)으로 추적기간은 1개월에서 92개월(중앙값: 6개월)이었다. 결과 :전체환자의 중앙연령은 62세였으며, 남녀 비율은 104:2였다. 가장 흔한 병변부위는 중앙 부위로 54$\%$를 차지하였다. 83$\%$의 환자가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이들의 평균 방사선 선량은 58.6 Gy였으며(55$\~$70.8 Gy)평균 치료소요기간은 53일이었다. 전체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6개월이었고, 1, 2년 생존율은 각각 27, 12$\~$였다. 연하곤란으로 위루술을 시행한 7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의 완화를 보였다. 치료 직후 완전 관해율은 32$\~$ (34/106)였고 이들 환자의 중앙생존기간(14개월)과 2년 생존율(30$\%$)은 다른 환자의 중앙생존기간(4개월)과 2년 생존율(30$\%$)에 비해 좋았다(p=0.000). 진단시 연하곤란의 정도에 따른 중앙생존기간과 2년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정상적인 음식물 섭취가 가능한 경우는 9개월과 16$\%$인 반면, 전혀 음식물을 삼킬 수 있었던 환자의 경우는 3개월과 0$\%$였다(p=0.004). 그러나 식도주변조직의 침범이나 주변 임파절 침범 유무에 따른 두 군간의 성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요인 분석에서는 방사선치료 직후 종양의 완해 여부가 가장 중요하였고 그외 원발 병소의 길이, 진단 당시 연하곤란의 정도 순으로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인자였다. 치료로 인한 부작용은 10명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9$\%$). 결론 : 진행된 식도암 환자의 외부방사선 단독 치료는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에 진행된 병기의 식도암환자의 치료 선택에 있어서 반드시 근접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의 병행을 고려해야 하겠다.

  • PDF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결과 고찰 (Results of Radiotherapy With and Without Chemotherapy for Esophageal Cancers)

  • 김상보;윤상모;류삼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33-239
    • /
    • 1991
  • 방사선치료 단독(25명) 또는 화학요법과 방사선 병용치료(37명)를 받은 62명의 식도암환자에 대한 후향성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환자중 14명이, 병용치료를 받은환자 중 25명이 계획된 치료를 끝내었다. 추적기간은 6일에서 50개월 이었다. 39명중 완전관해는 3명($8\%$)에서, 부분관해는 28명($72\%$)에서 보였다.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고, 1년 및 2년 생존율은 각각 $48.6\%,\;13\%$이었다. 나이와 병기가 예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병기에 따른 1년 생존율은 1기에서 $70.1\%$, 2에서 $47.6\%$, 3기에서 $28.4\%$이었고, 중앙생존기간은 1기에서 19개월, 2기에서 11개월, 3기에서 6개월 원격전이가 있는 3기에서는 5.5개월 이었다. 나이에 따른 1년 생존률은 55세 이상에서 $69.6\%$, 54세 이하에서 $0\%$이었다. 치료방법, 종양의 위치, 원발병소의 반응에 따른 생존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Expression of CDX2 and Villin in Gastric Cardiac Intestinal Metaplasia and the Relation with Gastric Cardiac Carcinogenesis

  • Xiao, Zhong-Yue;Ru, Yi;Sun, Jiang-Tao;Gao, She-Gan;Wang, Yu-Feng;Wang, Li-Dong;Feng, Xiao-S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247-250
    • /
    • 2012
  • Objective: To determine whether CDX2 and villin protein expression are associated with intestinal metaplasia (IM) in gastric cardiac mucosa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evolution of gastric cardiac adenocarcinoma (GCA). Methods: We studied 143 gastric cardiac biopsy or resection specimens from Henan province China, including 25 cardiac gastritis specimens with IM, 65 dysplasia specimens with IM and 35 gastric cardiac adenocarcinoma specimens and stained them for CDX2 and villin by the immunohistochemical SP method. 15 normal gastric cardiac biopsy specimens were also collected as control. Results: (1) Normal gastric mucosa presented no CDX2 and villin expression. The positive rates of CDX2 protein in cardiac gastritis with IM, dysplasia with IM, and carcinoma tissues were 84.0% (21/25), 66.7% (32/48) and 36.4% (20/55), respectively. While the positive rates of villin protein in cardiac gastritis with IM, dysplasia with IM, and carcinoma tissues were 76.0% (19/25), 70.8% (34/48) and 45.5% (25/55),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for both CDX2 and villin (P<0.01).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rho) showed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proteins (r=0.843, P<0.01) and both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umor differentiation (both P<0.05), but not associated with age, sex, invasion and metastasis of lymph node (P>0.05).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ectopic expression of CDX2 and villin may be involved in early-stage IM and tumorigenesis in gastric cardia and the expression of villin may be regulated by CDX2.

원발성 간암의 방사선치료및 온열요법의 병용치료 효과 (Therapeutic Effect of Combined Radiotherapy and Hyperthermia in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 강기문;최일봉;계철승;최병옥;정수미;김인아;한성태;선희식;정규원;신경섭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191-199
    • /
    • 1994
  •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how the clinical results of combined radiotherapy and hyperthermia in primary hepatoma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December 1989 and March 1993, 50 patients with hepatomas were treated by combined radiotherapy and hyperthermia. Among them, we analyzed retrospectively 33 patients who received the complete course of treatment. The ages of the patients ranged from 36 to 75(mean age: 55.5 years). Twenty-six patients ($78.8\%$) were men, and 7 ($21.2\%$ were women. According to Child's classification, nine patients ($27.3{\%}$) were A group, 9 ($27.3\%$) were B group, 15 ($45.4\%$) were C group. Radiation therapy was done by a 6 MV and 15 MV linear accelerator. Patients were treated with daily fractions of 150-180 cCy to doses of 2550 cGy -4950 cGy (median : 3000 cGy). Local hyperthermia was done by 8 MHZ RF capacitive heating device (Cancermia. Green Cross Co., Korea), 50-60 min/session, 1-2 sessions/wk, and 8.5 sessions (median number)/patient. We analyzed the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age, sex, tumor type, Child's classification, $\alpha$-fetoprotein, liver cirrhosis, ascites, portal vein invasion, esophageal varix, number of hyperthermia, chemotherapy, total bilirubin level, Karnofsky perfomance status. Results : The overall 1-year survival was $24.2\%$, with a mean survival of 10months. Of 33 patients, tumor regression (PR+MR) was seen in $30.4\%$, no response was seen in $52.2\%,\;17.4\%$ patient was progressed. In patients who had tumor regression, the overall 1-year survival was $42.1\%$ with a mean survival of 14 months. Factors influencing the survival were sex (p=0.05), tumor type (p=0.0248), Child's classification (p=0.0001), liver cirrhosis (p=0.0108), ascites (p=0.0009), and Karnofsky perfomance status (p=0.0028). Complications developed in 28 patients, including 18 hot pain,5 fat necrosis, 3 transient fever, 2 nausea and vomiting.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results suggests that combined radiotherauy and hyperthermia may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hepatoma.

  • PDF

흉강경용 봉합기를 이용한 경부 식도위 문합술 (Cervical Esophagogastric Anastomosis with Endo Stapler)

  • 김광택;손호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1003-1009
    • /
    • 1996
  • 식도위장문합술에서 주로 사용되는 원형기계를 사용하는 문합술은 편리하며 누공발생률이 적은 술기이나 문합부의 협착이 잘 생기며 이는 문합기가 작은 경우에 발생빈도가 높다. 경부에서 식도위장문합시 기계문합식으로 편리하게 수술하면서 협착을 방지하는 수술수기로흉강경용 봉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고폰하여서 임상적용한 결과를 보고한다. 식도암 환자 13례에서 식도재건술에 흉강경용 봉합기를 사용하여 경부식도위장 문합을 하였고 수술후 평균 8개월 관찰하여 문합부의 헙착발생을 관찰하였다. 식도암환자 13례중 수술후 사망한 1례를 제외한 12례중 1례에서 술후 위장궤사에 의한 누공이 있었고, 11례에서는 협착증상 없었다. 경부식도위장 문합술에서 흉강경용 봉합기를 사용한 결과 수술이 편리하고 협착 및 누공의 발생률은 매우 낮다. 흉강경용 봉합기 문합술식은수술이 간편하고,작은 내경의 식도와위장문합에서 생기는문합부의 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수술로 경부의식도장관문합의 변형술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