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ythromycin %28EM%29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2000년 A군 연쇄구균 감염자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항균제 감수성 검사 (Antibiotic Sensitivity Test of Streptococcus pyogenes Obtained in Patients with Streptococcal Infections, 2000)

  • 김연호;차성호;마상혁;김기상;이영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9권1호
    • /
    • pp.79-84
    • /
    • 2002
  • 목 적 : 상기도 감염의 원인균 중 하나인 A군 연쇄구균에 대한 EM 내성율이 1998년 41.3%였고 이들의 T-혈청형은 T12, T4, T28로 구분된 균주가 EM에 내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매우 높은 비율의 EM 내성 A군 연쇄구균의 비율이 2년 후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를 역학적 동태를 감시할 수 있는 T-단백질 혈청형과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여 상기도 감염의 치료실패율을 감소시키고, 선별적 항균제 사용을 권유하고자 한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서울 및 경남지역에서 급성 인두편도염 및 성홍열 증상을 주소로 외래를 방문한 환자들로부터 경부배양검사를 시행하여 얻어진 162례의 A군 연쇄구균 균주를 대상으로 T단백 혈청학 검사와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162균주 중 가장 흔하게 분리된 균주는 T12(27.15%)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T1(25.16%), T4(12.58%) 순서로 분리되었다. 전체 162균주 중 성홍열로 진단된 환아에게서 배양된 균주는 25례로, 이번 조사에서는 경남지역에 국한된 결과이지만 T형 분류는 T12, T1, T4의 순서로 분리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Tetracyclin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는 25주로(15.4%) 이중 T12균주가 14주로(56%) 내성균주 중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EM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는 23주로(14.2%) 이중 T12균주가 11균주로 가장 높은 내성율을 보이는 균주로 조사되었다. Penicillin, Cefprozil, Vancomycin, Ceftriaxone, Chloramphenicol의 항생제에는 내성을 보이는 균주가 동정되지 않았다. 결 론 : 균이 배양된 지역적 장소가 동일하지는 않지만, 90년대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였던 T12균주가 98년경부터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더니 금번 조사에서도 가장 많이 분리되는 균주로 보고되었고, 또한 T12, T4균주는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로 향후 분자 역학적인 검사로 이 세균의 역학적 토대 및 질병 발생과의 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항생제 선택에 있어서도 상기 내성균주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하겠다. 서울 전체지역과 경남지역의 혈청학 분포가 동일하므로 아마도 우리나라 전지역에서 배양되는 균주도 동일할 것으로 추측할 수도 있을 것이다.

  • PDF

관절염 이환자돈과 건강한 모돈으로부터 분리한 Streptococci의 균종 및 항균제 내성 (Prevalence of Streptococci in arthritic piglets and healthy sows with reference to antibiotic resistance of isolates)

  • 조현주;여상건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5-324
    • /
    • 1989
  • In order to establish the extent of Streptococcal arthritis piglets, isolation of Streptococci from arthritic lesions of 34 piglets were undertaken from November 1987 to October 1988 in Korea. Also determined were isolation frequency of Streptococci in nasal cavity of 250 healthy sow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ies of the isolates. Streptococci were isolated from 52.9% of 34 arthritic piglets and 20 strains isolated belonged to 4 S suis type I, 8 S suis type II, 2 Lancefield group C and 6 group E. From 28.8% of 250 healthy sows, 72 strains of Streptococci were isolated and these consisted of 9 S suis type I, 51 S suis type II and 12 group C. Streptococcal arthritis seemed to occur prominently in piglets aged 2 to 4 weeks and in male than fema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recognized in tarsal and carpal joints as affecting site. All of 92 isolates were sensitive to ampicillin and penicillin, and all strains of S suis type I and group E Streptococcus were also sensitive to chloramphenicol and cephalothin. To cephalothin all strains of group C Streptococcus were sensitive. The 1. 7 to 100% of 92 isolates were resistant with different prevalence to colistin, erythromycin, kanamycin, tetracycline, gentamicin, chloramphenicol and cephalothin. The 92.5% of these resistant Streptococci were multiply drug-resistant strains. The drug resistant patterns most frequently encountered were Tc Cl Em Km Gm(16.3%) in quintuple pattern, Tc Cl Em Km(16.3%) in quadruple pattern, Tc Cl Em(10.9%) in triple pattern and Cl Em(14.1%) in double patter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