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ythema index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2초

Role of suprascapular nerve block in idiopathic frozen shoulder treatment: a clinical trial survey

  • Mardani-Kivi, Mohsen;Nabi, Bahram Naderi;Mousavi, Mir-Hashem;Shirangi, Ardeshir;Leili, Ehsan Kazemnejad;Ghadim-Limudahi, Zahra Haghparast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2호
    • /
    • pp.129-139
    • /
    • 2022
  • Background: Several therapeutic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frozen shoulder syndrome. These include suprascapular nerve block, a simple and cost-effective technique that eliminates the need f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therapy. Methods: This was a clinical trial that included patients with unilateral shoulder joint stiffnes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ose treated with isolated physiotherapy for 12 weeks (PT group), those treated with a single dos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corticosteroid together with physiotherapy (IACI group), and those treated with a suprascapular nerve block performed with a single indirect injection of 8-mL lidocaine HCL 1% and 2 mL (80 mg) methylprednisolone acetate together with physiotherapy (SSNB group). The variables assessed were age, sex, side of involvement, dominant limb, presence of diabetes,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including erythema, swelling, and muscle wasting; palpation and movement findings;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score;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pre-intervention and at 2-, 4-, 6-, and 12-week post-intervention. Results: Ninety-seve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urvey (34 cases in the PT group, 32 cases in the IACI group, and 31 cases in the SSNB group). Mean age was 48.55±11.06 years. Fifty-seven cases were female (58.8%) and 40 were male (41.2%). Sixty-eight patients had a history of diabetes (70.1%). VAS and SPADI scores and range of mototion degrees dramatically improved in all cases (p<0.001). Results were best in the SSNB group (p<0.001), and the IACI group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 PT group (p<0.001). Conclusions: Suprascapular nerve block is an effective therapy with long-term pain relief and increased mobility of the shoulder joint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Effectiveness of the Pico-toning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Melasma with a Low Fluence 1,064-nm Nd:YAG Laser in Asian Patients

  • Kim, Dong Gyu;Nam, Seung Min;Shin, Jin Soo;Park, Eun Soo
    • Medical Lasers
    • /
    • 제9권2호
    • /
    • pp.166-171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Melasma is an acquired pigmentary disorder characterized by brown or dark brown colored macules and patches which mostly involve the face. Compared to nanosecond lasers, picosecond lasers have fewer adverse effects on surrounding tissues and give better results for melanin frag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ico-toning technique using a low fluence 1,064-nm Nd:YAG laser on melasma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lasma cases treated using the pico-toning technique from June 2017 to November 2020. Based on photographic images, the modified Melasma Area and Severity Index (mMASI) score was blind evaluated by two independent plastic surgeons. Patient satisfaction was assessed through a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after treatment sessions. All adverse effects and complications were reviewed based on medical records. Results A total of 2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MASI scores for baseline and 2 months after the last procedure were 5.1 ± 1.4 and 2.6 ± 0.4, respectively. The mean mMASI score reduc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session (p < 0.05). The patient satisfaction score with the procedure was 3.8 ± 1.0. The subject satisfaction score and difference in the mMASI score before the procedure and 2 months after the last procedur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dverse effects observed in this study were erythema (n = 1) and edema (n = 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pico-toning technique is effective in Asian patients with melasma. We believe that safety was enhanced by using low fluence, and thus better results were achieved with fewer adverse effects.

개에서 DNCB에 의해 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대한 폴리감마글루탐산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oly-${\gamma}$-Glutamic Acid on DNCB-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Dogs)

  • 김현곤;김길수;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83-296
    • /
    • 2012
  •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은 T세포와 대식세포가 관여하는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으로 항원에 노출된 뒤 수 일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지연형 반응이다. 그 과정은 감작기와 유발기로 나뉘는데 감작기에는, 표피장벽을 통해 유입된 항원이 표피기저층에 있는 항원전달세포에 의해 처리된 후 림프절로 이동되어 T세포에 의해 인식되고 그 T세포는 항원특이 T세포로 활성화된다. 유발기는 동일 항원이 재감작될 때 항원특이 T세포의 반응을 활성화시키고 다양한 cytokine 분비를 통해 염증세포를 항원 유입부위로 이동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DNCB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을 유발한 개의 모델에 폴리감마글루탐산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다. 폴리감마글루탐산은 12일간 적용하였고 실험기간 동안 이틀 간격으로 피부 생리학적 지표를 측정하였으며 적용 후 cytokine 측정과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DNCB 적용후 피부 생리학적 지표의 변화로 표피경유수분손실, 피부 수화도, 피부 두께 그리고 홍반지수는 증가하였고 피부 산도는 감소하였다(p < 0.05).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 염증세포 침윤과 부종성 변화에 의한 상피두께 증가 및 진피 결합조직의 감소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피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와 IFN-${\gamma}$ 수치 및 상피에서 apoptotic change의 지표인 caspase-3와 PARP 면역반응세포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1). 하지만 폴리감마글루탐산 적용으로 피부 생리학적 지표(p < 0.05)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가(p < 0.01) 기본 수치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에서 DNCB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유발 및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폴리감마글루탐산은 향후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화로부터 추출한 천연염료에 대한 급성경구독성 및 피부자극성 시험에 대한 연구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Studies on Natural Dyes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 권중기;안인정;이진석;김혜리;박하승;김동찬;최병준;이규민;박용진;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8-193
    • /
    • 2012
  • 본 연구는 SD 계통의 랫드에서 국화 염료인 백색국화, 백색국화 잎과 줄기, 황색국화의 급성경구독성 및 피부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수컷 랫드에 처치한 물질은 백색국화, 백색국화 잎과 줄기, 황색국화를 각각 1 ml/kg, 2 ml/kg를 D.W에 용해시켜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수컷 SD rats에 투여 후 14일 동안 관찰하였으며, 피부자극성 시험은 피부의 찰과 및 비찰과부의 대조부, 처치부에 국화 염료를 처치하여 3일 동안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 투여 및 피부 자극성 시험 후 국화 염료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체중과 사료 섭취량, 임상증상, 안과학적 검사, 사망률, 피부자극성을 관찰하고, 랫드 피부에서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체중, 사료섭취량,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피부자극성을 확인 한 결과 1차 자극 지수가 0으로 비자극성 물질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화에서 추출한 염료가 급성 경구독성 시 안전한 물질이며, 피부 자극성을 야기 하지않는 물질로 평가된다.

오디 및 자초추출물의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Mulberry and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 Anti-aging against Photodamage)

  • 정유석;정희경;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44-1752
    • /
    • 2013
  • 본 연구에서 적색의 색소 성분을 함유한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의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오디 추출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4.92 mg/g이었고 HPLC 분석을 통한 자초 추출물의 shikonin 함량은 9.58 mg/g으로 나타났다. 오디 및 자초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84.32%와 57.46%로 분석되어 오디가 우수하였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오디 추출물이 76.34%로 자초추출물 61.55%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오디 및 자초추출물의 ORAC 값은 각각 $545.37{\mu}moles$ TE/g과 $427.18{\mu}moles$ TE/g으로 분석되어 오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HS68 세포에서의 UVB 조사군과 비교 시 MMP-1 생산 억제율은 오디 및 자초 추출물 $200{\mu}g/mL$ 첨가 시 각각 68.6%, 32.7%로 분석되었다. 무모쥐를 이용한 UVB 광노화 피부 동물 모델에서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의 피부조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시료 처리군이 무처리군에 비해 홍반, 주름 두께 및 깊이, 표피 비후, 콜라겐 각질층, 표피층이 감소되었으며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총 주름 깊이의 경우, 오디 추출물 7% 처리군과 자초 추출물 5%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30% 가량 억제되어 in vitro에서 뿐만 아니라 in vivo에서도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이 UVB에 의한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활성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및 자외선 유도 마우스 피부손상의 개선에 대한 새송이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 against inflammation in activated RAW 264.7 cells and UV-induced skin damage in mice)

  • 조병옥;윤홍화;이현서;추정임;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0-96
    • /
    • 2017
  • 본 연구는 먼저 새송이버섯 추출물인 PEE가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PEE를 처리했을 때 5과 15 mg/mL 등 높은 농도에서 NO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LPS가 유도하는 $IL-1{\beta}$와 IL-6는 5 mg/mL 농도에서는 억제 없었으나, 15 mg/mL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다음은 UVB가 유도하는 C57BL/6 마우스 피부손상에 대한 PEE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PEE를 7일간 경구투여한 후 7일, 10, 13일 등 3일 간격으로 하루에 1회씩 UVB ($250mJ/cm^2$)로 마우스 등 피부에 조사하여 피부손상을 유발하였다. UVB 조사 후부터는 PEE를 경구투여와 함께 피부에 도포하여 PEE가 피부 손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E 투여군은 UVB로 유도되는 표피두께, 홍반지수 및 멜라닌 지수가 참고약물로 사용한 비타민 C(AA) 투여군과 유사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PEE 투여군은 UVB가 유도하는 비만세포를 비롯한 염중세포 침윤이 현저히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PEE는 항염증 효과와 더불어 UVB가 유도하는 피부손상을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어 기능성 식품소재 및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열탕(淸熱湯)의 생물전환을 통한 항아토피피부염 효능(效能) 연구(硏究) (Effect of Cheongyeoltang (CYT) using Bioconversion on Atopic Dermatitis)

  • 강현숙;김승형;김선빈;김수명;김동희
    • 혜화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37
    • /
    • 2011
  • In order to improve efficacy of oriental medicines and to study the application of fermented oriental medicine in clinicals, the efficacy of CYT and CYTBH on atopic dermatiti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CYT and CYTBH significantly improved the atopic dermatitis symptoms in NC/Nga mice by naked eye evaluat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clinical index in both groups. CYT and CYTBH both decreased the cell numbers of CD3+, CD11b+Gr-1+ cells in dorsal skin. Of the cells, CYT significantly decreased CD11b+Gr-1+ cells whereas CYTBH significantly decreased all immune cells. CYT and CYTBH both decreased the production rate of IL-4 and IFN-${\gamma}$ activated by CD3/CD28. In the case of CYTBH, significant decrease in all cases was observed. CYT and CYTBH decreased the production rate of IL-5, IL-13 and IL-17 in serum. Significant decrease of IL-5 in the case of CYT and IL-5 and IL-13 in the case of CYTBH were observed. CYT and CYTBH significantly decreased transcription of IL-5 mRNA and IL-13 mRNA in skin. Significant decrease in IgG1 and IgE immunoglobulins in serum were oberved in both groups. Significant decrease was only observed in the case of CYTBH. Both CYT and CYTBH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cretion of histamine. Both CYT and CYTBH suppressed erythema, hemorrhage, edema, excoriation, erosion of skin tissues of NC/Nga mice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ickness of epidermis. Significant decrease of infiltration of obese cells was also observed. The results above indicated that both CYT and CYTBH had significant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through immune modulation. Animal studies showed that CYTBH had superior activity than that of CYT suggesting further and continuous studies on the changes in ingredients or absorption improvement by fermentation should follow.

백차 열수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염증 및 피부장벽손상 완화 효과 (The Alleviative Effect of White Tea Water Extract on Inflammation and Skin Barrier Damage)

  • 이경옥;김영철;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3호
    • /
    • pp.197-204
    • /
    • 2011
  • 백차 열수추출물의 염증 및 피부장벽 손상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생후 6~7주령 암컷 SKH-1 hairless 마우스 등 부위에UVB를 12주간 조사하여 피부노화를 유발시킨 후, 실험동물을정상군(N), 대조군(UVB+saline, C), 양성대조군(UVB+0.01%retinoic acid, PC), 실험군1 (UVB+1% white tea water extract, E1), 실험군2 (UVB+2% white tea water extract, E2)로 나누어 1일 2회, 주 5일, 4주 동안 매회 200 ${\mu}L$씩 시료를 도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부 홍반도 측정에서, 실험 4주 후 C군에비해 PC, E1, E2군은 각각 31, 41, 46% 유의하게(p<0.001) 낮았다. (2) 수분함량 측정에서, 실험 4주 후 C군에 비해 PC, E1, E2군은 각각 190, 207, 225% 유의하게(p<0.001) 높았다. 경표피수분 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측정에서, 실험 4주후 C군에 비해 PC, E1, E2군은 각각 61, 79, 85% 유의하게(p<0.001) 낮았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C군에 비해 E1, E2군은 표피층과 진피층의 비후, 비만세포수와 탈과립 정도가 현저하게 경감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hairless 마우스를 이용한in vivo 실험에서 백차 열수추출물 경피 도포는 자외선 조사로 인해 유발된 피부장벽 손상 및 염증 반응에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호장근(Reynoutria elliptica) 발효 추출물의 UVB에 의한 피부 광노화 억제효과 (Skin UVB Photo Aging Effect from Extract of Fermented Reynoutria elliptica)

  • 임애경;정유정;김길수;김용해;곽정훈;홍주헌;김학윤;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69-375
    • /
    • 2010
  • 호장근 발효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노화 억제활성을 살펴보고자 발효 전후의 호장근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 홍반도, 유수분 함량, 형태학 조직병리학적 검사, GSH, TBARS 그리고 XO, SOD, CAT 등의 항산화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피부 홍반도에 있어서는 대조군에 비해 호장근 발효 추출물 처리군에서 뛰어난 홍반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수분 함량에 있어서도 FR-1000군이 유분함량은 $21.75{\pm}0.72$, 수분함량은 $55.13{\pm}1.07$로 CO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형태학적으로는 FR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피부의 주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도 표피 및 진피의 화농과 염증의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장근 발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GSH는 증가하고 TBARS와 XO의 활성은 감소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CAT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UVB 조사로 노화가 유발된 hairless mouse에서 호장근 발효 추출물의 도포가 노화된 피부에 염증반응을 약화시키며 유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장벽의 손상을 방지하며, 항산화 효소 및 resveratrol과 같은 항산화 물질을 증가시켜 항노화 기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호장근 발효 추출물은 피부노화 예방 및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산국 에센셜오일을 함유한 화장품의 주름개선 임상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wrinkle Properties of Cosmetics Containing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최인호;황대일;김도윤;김하빈;이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2-446
    • /
    • 2019
  • 산국 에센셜오일의 채취시기별 특성과 in vitro 항산화, 미백,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활성이 본 연구진에 의해 최근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산국 에센셜오일(0.1%, v/v)이 함유된 크림제형의 화장품에 대해 주름개선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피시험자는 자연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42세에서 60세까지의 2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을 눈가주변에 도포하였다. 인체 피부 안전성은 피부과 전문의의 육안관찰 소견을 확보하고, 피부 주름개선 효능은 visiometer를 이용하여 roughness를 측정 하였다.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 및 대조시료는 시험기간 동안 인체에 홍반, 알러지 등의 이상반응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시험부위(test)는 대조부위(placebo)에 비해 roughness 지수 감소의 폭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R1, R2, R3 지수는 크림 사용 2주 후부터 시험부위가 대조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p<0.05)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국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되었으며, 피부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비고시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