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al pattern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사초과 식물 잎의 표피형에 대하여(6) (A Study of Epidermal Patterns of the Leaf Blades on Korean Sedges, Eriophorum, Fuirena, Kobresia, Rhynchospora and Scirpus(6))

  • 오용자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2호
    • /
    • pp.99-105
    • /
    • 1974
  • Author has studied and reported on taxonomy of Korean sedges, using gross morphology, anatomy and epidermal patterns of the leaf blades(1969, 1971, 1973, 1974). This paper is the 6th report of epidermal patterns of leaf blade on sedges and includes 5 genera, Eriophorum, Fuirena, Kobresia, Rhynchospora and Scirpus. The author proposed to find epidermal patterns of leaf blades as an important taxonomic characteristic of sedges classif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lements of leaf epidermis, subsidal cells, silica body, cell wall of long cell, prickles, and arrangement of the elements a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for th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edge.

  • PDF

한국산 골풀아재비속 3종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study on genus Rhynchospora Vahl in Korea)

  • 오용자;이창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3-409
    • /
    • 2003
  • 한국산 골풀아재비속 3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줄기와 잎의 단면, 및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줄기, 잎, 잎싸개, 포, 꼬마이삭, 비늘조각, 수과의 길이와 너비, 암술머리의 수, 꼬마이삭, 비늘조각, 수과의 모양 등의 외부형태형질과 줄기와 잎의 횡단모양, 유관속의 수, 수과의 표피 세포의 모양, 잎표피의 규소체의 형태, 기공복합체의 빈도, 부세포의 모양 등의 미세형태형질이 이들 분류군의 유용한 분류형질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Carex L. subgen. Eucarex Cross & Germ.) 피사초절과 그늘사초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ect. Rhomboidales Kük. and sect. Digitatae Fr. of genus Carex L. subgen. Eucarex Cross & Germ. (Cyperaceae) in Korea)

  • 오용자;김지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1-338
    • /
    • 2002
  •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Eucarex Cross & Germ.) 피사초절(section Rhomboidales Nees) 4종과 그늘사초절(section Digitatae Fr.) 7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과 수과의 길이와 너비, 포의 수)과 정성적 형질(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의 모양, 엽설의 유무, 줄기단면과 비늘조각 윗부분의 모양) 및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기본표피세포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수와 모양,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부세포의 모양)이 종을 동정,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잎, 줄기, 암꽃 비늘조각과 과낭의 길이, 과낭부리 모양과 부리 표피형이 피사초절과 그늘사초절을 나누는 유용한 형질이 되었다. 그리고 외부형태학적 특징이 유사하여 동정에 어려움이 있어온 가는잎그늘사초(C. humilis Leyss.)와 그늘사초(C. lanceolata Boott.)는 줄기의 길이, 엽설의 유무, 줄기 단면모양과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에서 차이를 보여 두 종을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넓은잎그늘사초(C. pediformis C. A. Meyer)를 그늘사초(C. lanceolata Boott)의 아종이나 변종으로 취급하는 등 학명사용에 혼란이 있어 왔으나 과낭과 수과의 모양, 줄기 단면의 모양과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에서 뚜렷히 구분되어 각각 다른 종으로 취급하였고 학명과 국명을 정리할 수 있었다.

한국산 사초과 3속(검정방동산이속, 좀바늘사초속, 너도고랭이속)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study on the Fuirena, Kobresia, and Scleria of Korea(Cyperaceae))

  • 오용자;이창숙;이재경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63-382
    • /
    • 2002
  • 한국산 사초과 3속, 검정방동산이속(Fuirena), 좀바늘사초속(Kobresia), 너도고랭이속(Scleria) 식물 3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또한 광학현미경(L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줄기와 잎의 단면,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줄기의 길이와 너비, 잎의 너비, 비늘조각의 길이, 포의 길이와 너비, 수과의 길이, 모양, 부리의 모양, 화피의 유무, 암술머리 등의 외부형태형질과 수과와 잎의 표피형(수과의 표피세포의 모양, 잎표피의 규소체형, 잎표피세포, 기동세포의 유무), 잎과 줄기의 횡단 모양 등이 속, 종을 구별하는 유효형질이었다. 이들 분류형질을 기준으로 학명과 국명을 재정리하였다.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 6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ix sections Ischnostachyae, Anomalae, Capitellatae, Debiles, Capillares and Molliculae of Carex L. in Korea (Cyperaceae))

  • 오용자;이창숙;윤자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7-319
    • /
    • 2004
  •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의 염주사초절 (sect. Ischnostachyae), 참삿갓 사초절 (sect. Anomalae), 바늘사초절 (sect. Capitellatae), 길뚝사초절 (sect. Debiles), 묏풀사초절 (sect. Capillares), 애기흰사초절 (sect. Molliculae) 등 총 6절 14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 수과의 길이와 너비, 잎의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기본세포줄, 기공줄의 수)과 정성적 형질[암/수꽃이삭, 비늘조각, 과낭, 수과, 과낭, 수과의 표피세포, 잎의 표피 구성요소(기본표피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모양, 부세포의 모양),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 가시돌기 및 털의 유무] 등이 종을 동정하고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이삭의 수, 암/수꽃이삭의 배열, 포의 유무로 바늘사초절과 나머지절로 2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눌 수 있었다.

한국산 사초속 왕비늘사초절의 분류학적 연구 (A taxanomic study on section Acutae of Carex L. in Korea (Cyperaceae))

  • 오용자;이현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3-222
    • /
    • 2001
  • 한국산 사초속(Carex L.) 왕비늘사초절(section Acutae Fries) 11종을 대상으로 외부 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분석하였다.그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과 수과의 길이와 너비)과 정성적 형질(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의 모양, 엽설의 유무, 줄기단면과 비늘조각 윗부분의 모양) 및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기본표피 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수와 모양,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부세포의 모양)이종을 동정,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또한 왕비늘사초절 11종은 과낭의 가장자리와 부리모양, 과낭의 기본표피세포의 모양에 따라 산뚝사초(C. forficula Fr. & Sav.)는 제1그룹, 애기천일사초(C. subspathacea Worm.), 회색사초(C. cinerascens K$\ddot{u}$k.), 산비늘사초(C. heterolepis Bunge)는 제2그룹, 갈미사초(C. bigelowii Torr.), 구슬사초(c. tegulata H. L$\acute{e}$v. & Van't.), 산꼬리사초(C. shimidzensis Fr.), 뚝사초(c. thunbergii Steud.)는 제3그룹, 쥐방울사초(C. phacota Spreng.), 왕비늘사초(C. maximowiczii Miq.), 이삭사초(C. dimorpholepis Steud.)는 제 4그룹, 모두 4개의 그룹으로 나눌수 있었다.

  • PDF

한국산 사초속 감둥사초절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ection Atratae of Carex L. in Korea (Cyperaceae))

  • 오용자;이창숙;유경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3-251
    • /
    • 2001
  • 한국산 사초속(Carex L.) 감둥사초절(section Atratae Kunth) 7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과 과낭부리, 수과의 길이와 너비)과 정성적 형질(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의 모양, 줄기와 잎의 횡단면, 비늘조각 윗 부분의 모양) 및 과낭과 수과의 표피세포모양, 잎의 표피구성요소(기본표피 세포의 모양, 세포벽 굴곡의 형태, 규소체의 수와 모양,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잎의 유두돌기와 가시돌기의 유무가 종을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감둥사초절 7분류군은 줄기 정단부에 위치하는 이삭의 형태와 과낭부리의 모양, 수꽃이삭의 모양, 줄기의 길이에 따라 2그룹(group)으로 구분되었다. 제 1그룹은 감둥사초(C. atrata L.), 늪사초(C. buxbaumii Wahlenb.: 국명신칭), 덕진사초(C. gmelinii Hook. & Arn.), 해산사초 (C. hancokiana Maxim.)와 백두사초 (C. peiktusani Komarov)이며, 제 2그룹은 북사초(C. augustinowitzii Menish.)와 진들검정사초(C. meyeriana Kunth)이다. 또한 외부형태가 유사한 덕진사초, 해산사초와 백두사초는 비늘조각의 끝부분, 잎표피형, 수과와 과낭의 모양과 표피형에 차이가 있어 각 각을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쉬땅나무족(장미과) 화판표피의 미세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tal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ibe Sorbarieae (Rosaceae))

  • 송준호;홍석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6-384
    • /
    • 2016
  • 쉬땅나무족 15분류군의 화판의 미세형태학적 형질을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화판 향축면, 배축면의 세포 외형, 배열, 수층벽, 큐티클의 미세형태를 자세히 기재하였으며, 분류학적, 계통학적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쉬땅나무족의 화판은 유두상 또는 원추형 유두상(PCS), 직사각형의 주름판상(TRS)로 확인되었으며, 향축면, 배축면의 화판 구조에 따라 크게 세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Type I. PCS-TRS, Type II. PCS-PCS, Type III. TRS-TRS (향축면-배축면). 구분된 이들 유형과 수층벽, 큐티클 표면의 형태는 족 내 속간/종간 진단 형질로 유용하였을 뿐 아니라, 계통학적으로도 그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화판 표면의 세포의 미세형태와 수분매개자(곤충을 통한 충매)와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사례로 제시하였다.

Topical or oral treatment of peach flower extract attenuates UV-induced epidermal thickening, matrix metalloproteinase-13 express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hairless mice skin

  • Kwak, Chung Shil;Yang, Jiwon;Shin, Chang-Yup;Chung, Jin H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1호
    • /
    • pp.29-40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Ultraviolet radiation (UV) is a major cause of skin photoaging.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ethanol extract (PET) of Prunus persica (L.) Batsch flowers (PPF, peach flowers) and its subfractions, particularly the ethylacetate (PEA) and n-butanol extracts (PBT), have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attenuate the UV-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expression in human skin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activity of PPF extract against UV-induced photoaging in a mouse model. MATERIALS/METHODS: Hairless mice were treated with PET or a mixture of PEA and PBT either topically or orally along with UV irradiation. Histological changes and biochemical alterations of mouse skin were examined. Major phenolic compounds in PPF extract were analyzed using an ACQUITY UPLC system. RESULTS: The overall effects of topical and oral treatments with PPF extract on the UV-induced skin responses exhibited similar patterns. In both experiments, the mixture of PEA and PB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UV-induced skin and epidermal thickening, while PET inhibited only the UV-induced epidermal thickening. Treatment of PET or the mixture of PEA and PB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UV-induced MMP-13 expression, but not type I collagen expression. Topical treatment of the mixture of PEA and PBT with UV irradiation significantly elevated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peroxidase (GPx) activities in the skin compared to those in the UV irradiated control group, while oral treatment of the mixture of PEA and PBT or PET elevated only catalase and SOD activities, but not GPx. Thirteen phytochemical compounds including 4-O-caffeoylquinic acid, cimicifugic acid E and B, quercetin-3-O-rhamnoside and kaempferol glycoside derivatives were identified in the PPF extract.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reatment with PET or the mixture of PEA and PBT, both topically or orally, attenuates UV-induced photoaging via the cooperative interactions of phenolic components having anti-oxidative and collagen-protective activities.

The Effects of the 3-OH Group of Kaempferol on Interfollicular Epidermal Stem Cell Fate

  • Chae, Je Byeong;Choi, Hye-Ryung;Shin, Jung-Won;Na, Jung-Im;Huh, Chang-Hun;Park, Kyoung-Chan
    • Annals of dermatology
    • /
    • 제30권6호
    • /
    • pp.694-700
    • /
    • 2018
  • Background: Kaempferol (3,4',5,7-tetrahydroxyflavone) is a flavonoid known to have a wide range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The 3-OH group in flavonoids has been reported to determine antioxidant activities. Objective: We tested whether kaempferol can affect the expression of integrins and the stem cell fate of interfollicular epidermal stem cells. Methods: Skin equivalent (SE) models were constructed,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stem cell markers and basement membrane-related antigens were tested.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patterns of integrins, p63, and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were compared between kaempferol- and apigenin-treated SE models.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evaluate the mRNA expression of integrins. Results: Kaempferol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epidermis when added to prepare SEs. In addition, the basal cells of kaempferol-treated SEs appeared more columnar. In the immunohistological study, the expression of integrins ${\alpha}6$ and ${\beta}1$ and the numbers of p63- and PCNA-positive cells were markedly higher in the kaempferol-treated model. However, apigenin showed no effects on the 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skin models. RT-PCR analysis also confirmed that kaempferol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ntegrin ${\alpha}6$ and integrin ${\beta}1$.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d that kaempferol can increase the proliferative potential of basal epidermal cells by modulating the basement membrane. In other words, kaempferol can affect the fate of interfollicular epidermal stem cell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both integrins ${\alpha}6$ and ${\beta}1$. These effects, in particular, might be ascribed to the 3-OH group of kaempfe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