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interpreter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환경과 의식의 재조정을 통한 생명지속성의 비전 -카렌 헤세의 『모래폭풍을 지나며』 (The Vision of Sustainability through the Readjustment of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Karen Hesse's Out of the Dust)

  • 이정희
    • 영어영문학
    • /
    • 제56권2호
    • /
    • pp.383-408
    • /
    • 2010
  •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positive, ecological vision of sustainability in Karen Hesse's Out of the Dust that Billie Jo Kelby recovers herself through her readjustment of interior consciousness and outer environment in her tragic situations caused by the Dust Bowl. In spite of her desires for happiness and affluence of home, she loses her mother and brother, and her musical talent as a pianist, and lies in self-abandonment. But she finally raises up herself with her courage and patience, reconciliating with the nature and ameliorating the community by taking care of the devastated landscapes. Hence it is appropriate to approach the loss-recovery process of nature and consciousness with ecological solutions, The Dust Bowl breaks down human mind and body, and eventually leads to the situations of despairs and death. Hesse proposes the primary solution that humans should reconstruct their interior consciousness and participate in recovering the nature because humans are inevitably linked with nature. In this novel, the nature takes a dynamic and active role as a catalyst, reconciling the self with other humans and settling with the conflicting situations in history and culture. This verse novel as an active, self-ordering, and corrective process gives the more intense ecological message. As Hesse defines the setting of Dirty Thirties as a channel of energy, she creates the utmost effects of ecological process that human and environment are part of a total situation, representing the transactional formulation, each conditioned by conditioning to the other. Therefore Billie Jo takes her part as an interpreter and actualizes herself, understanding the nature with metaphor and symbol. Eventually Billie Jo realizes that she should rebuild her environment not out of the dust but in the dust, accepting the reality of Dust Bowl.

지표레이더(GPR) 탐사자료를 이용한 지하공동 분석 시 신뢰도 향상을 위한 영상처리기법의 활용 (Application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o GPR Data for the Reliability Improvement in Subsurface Void Analysis)

  • 김보나;설순지;변중무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0권2호
    • /
    • pp.61-71
    • /
    • 2017
  • 최근 도심 내 지반침하 사고가 증가하면서 지하공동 분포의 정밀한 조사를 위하여 지표레이다 탐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표레이다 탐사 자료의 일반적인 해석은 기초적인 자료처리만 적용된 후, 주관적인 분석이 수행되기 때문에 해석 결과의 신뢰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영상처리 분야 기술 중에 하나인 모서리 탐지 기법을 지표레이다 탐사 자료의 공동 및 파이프와 같은 강력한 회절원에 의한 이벤트에 적용시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공동 또는 매설관로 등에 대해 얻어진 지표레이다 탐사 현장자료에 영상처리 기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모서리 탐지 기법을 이용하여 공동 또는 매설관로 등의 회절원에 의한 주요 이벤트들이 효과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급격한 경사를 가지며 기록되는 강력한 회절원에 의한 이벤트와 달리 지반침하를 일으키는 공동은 비교적 넓은 규모를 가지고 있어 완만한 경사 이벤트로 기록되기 때문에 진폭변화에 따른 방향성 분석을 통해 회절원에 의한 이벤트들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효과적으로 분리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해석을 수행하게 되면 지하공동 분석 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향후, 이러한 기법들이 많은 현장자료에 대해 검증을 거친다면 방대한 양의 지표레이다 탐사 자료 해석의 반자동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반응적 교수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화학교사의 교수 유형 및 장애 요인 분석 (Analysis of Teaching Types and Obstacles of Chemistry Teachers through Teacher Educational Programs for Responsive Teaching)

  • 김정수;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268-278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화학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유형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반응적 교수 유형을 세분화하고, 반응적 교수 유형의 변화에 장애를 주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원 과정으로 개설한 화학교육 강좌에 참여한 화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반응적 교수법에 대한 소개, 반응적 교수법 사례 분석, 촉진자 유형의 교육시나리오에 대한 개별 과제 및 조별 토론 등이 포함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법은 변별자 유형, 전달자 유형, 안내자 유형, 촉진자 유형으로 분석하였을 때, 분류가 안되는 유형이 관찰되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탐색자 유형과 해석자 유형 등 2가지 유형을 추가하여 화학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또한 개별 과제 및 조별 토론 자료를 통해 교사들의 반응적 교수법 변화에 장애를 주는 요인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 찾아낸 장애 요인으로는 교사 요인, 학생 요인, 환경 요인 등이 있었다. 장애 요인 중 교사 요인으로는 교사 주도 수업에 대한 신념, 지식 전달자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 교육과정에 따라야 한다는 신념,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이해 부족, 학생 주도 확장을 이끄는 교사의 역량 부족 등이 나타났다. 학생 요인으로는 학생의 역량에 대한 불신이 있었다. 또한 환경 요인으로는 다인수 학급과 같은 교육 환경이 있었다. 이러한 장애 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질 때 반응적 교수법에 대한 효과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