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public servan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신임환경공무원을 위한 환경소양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Cyber In-Service Training Contents Development Regarding Environmental Literacy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Public Servants)

  • 서우석;김수욱;김재호;이윤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2호
    • /
    • pp.25-39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cyber in-service training contents regarding environmental literacy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public servants. The blended type of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tents analysis of other programs, and expert conferences.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developed was ensured experts in environment.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re is a lack of time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public servants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Therefore, cyber training can be a good solution to the problems with environmental training courses. It improves access to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provides hands-on experiences through multimedia materials that reflect the real world. Second, directions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ere represented in three parts; 1) strategies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2) Models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3) Contents selection for developing cyb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Third, the developed contents for entry-level environmental officers consist of 4 domains: (1) the introduction to environment; (2) the natural scientif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3) the humanist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nd (4) the social scientific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Fourth, the program developed was evaluated by 7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according to 10 evaluation items of total contents and contents development structure. In result,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ensured.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 PDF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Indonesia: An Application of Planned Behaviour Theory

  • NEGARA, Danes Jaya;FERDINAND, Ferdinand;MEITIANA, Meitiana;ASTUTI, Maria Haryulin;ANDEN, Trecy;SARLAWA6, Rita;MAHRITA, An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1053-1064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study public servan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by implemen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researcher proposes an extended TPB combined with a perceived environmental concern variable as a determinant of behavioral intention.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civil society and the public sector at the district level in the Central Kalimantan Province of Indonesia. Collectively, 126 inquiries were received. A Partial Least Squares (PLS)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and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at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TPB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ived SDG realization. The findings also partially show tha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mediated the effect of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erceived environmental concern on SDG realiza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perspectives that affec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mong public sectors could be approached based on the offered model. Hence, the local government can implement the suggestion offered in this research. The originality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this study discloses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among public servants.

공무원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및 공직만족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mong Public Servants: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Public Service Satisfaction)

  • 정민호;한지영;박지원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43-258
    • /
    • 2023
  • 본 연구는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을 거쳐 혁신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와 공직만족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이 중앙행정기관 및 광역자치단체 소속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공직생활 실태조사 데이터 4,1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고,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과 Mplus 8.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검증 결과로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했다. 또한,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을 통해 혁신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공직만족의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제시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제언과 향후과제를 제시했다.

조선시대 한글 편지의 전달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Delivery Pattern of Korean lett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 전병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419-450
    • /
    • 2017
  • 본 연구는 조선시대 한글 편지의 전달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근대적인 우편 제도 발달의 단초를 찾아보는 것이다. 조선시대 편지 전달의 문제점은 전달의 지체성(遲滯性), 인편의 부정기성(不定期性), 전달의 부정확성, 전달자에 대한 불신성(不信性), 전달의 고비용성(高費用性) 등이라 할 수 있는데 대부분 전달의 체계성 결여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구체적인 논의 진행을 위하여 편지의 전달 방식과 전달자의 성격을 기준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전달 방식은 전달 수단의 공사(公私) 여부에 따라 공인편(公人便)과 사인편(私人便)으로 나누었고, 전달 단계의 다단(多段) 여부에 따라 일단계전달(一段階傳達)과 다단계 전달(多段階傳達)로 나누었으며, 전달의 왕복(往復) 여부에 따라 편도전달(片道傳達)과 왕복전달(往復傳達)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전달 방식의 양상 분석 결과, 공인편, 다단계 전달, 편도 전달 방식이 근대 우편제도의 배달 방식으로 이어졌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개화기에 우체사라는 공적 기관에 의해 다단계 편도 전달의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는 의미이다. 전달자의 특성은 구두(口頭) 전달 여부에 따라 구두 전달, 편지와 구두 전달, 편지 전달로 나누었고, 송신자와의 관계(關係) 여부에 따라 관계인(關係人) 전달과 비관계인(非關係人) 전달로 나누었으며, 전담(專擔) 여부에 따라 인편(人便) 전달과 전인(專人) 전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전달자 양상의 분석 결과, '편지 전달', '비관계인 전달', '전인 전달'의 특성이 우체사의 체전부의 역할로 일정 부분 계승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실무 발전방향 연구 -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 시행계획 수립 및 이행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Initiative for Public Practices of Local Governmentsin Korea - Focused on the Local Adaptation Planning in Ecosystem Sector -)

  • 여인애;홍승범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2호
    • /
    • pp.79-9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 단계에서 정책 실무자에게 주어지는 정보 현황과 수요를 파악하고 향후 생태계 분야 기후변화 지식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 및 이하 기초지자체 생태계 분야 소관부서에서 적응 실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분야 기후적응 지식기반 진단 및 정보수요"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무에 활용되는 생태정보활용현황을 분석하고 활용도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응답자 전체(231명)의 75%(광역 85%, 기초 72%)는 생태정보의 존재 및 활용이 적응사업 수행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적응업무를 포함한 생태계 소관부서 내 업무 전반을 위해 생태정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광역 82%, 기초 72%). 그러나 실제로 국가 및 지자체에서 생산하는 생태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는 비율은 크게 낮았다(광역 28%-64명, 기초 18%-42명). 지자체 행정 실무자들이 현업에서 생태정보를 활용할 때 느끼는 주요 한계점은 생태정보의 존재에 대한 인식과 업무 연계방안 등 정보 자체에 대한 사전 지식의 부족이었다. 이에 현존하는 기후변화 지식과 생태정보를 지자체 행정 실무자에게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 급선무로 나타났다. 향후 지자체 실무자들에게는 지자체 정책 목적에 따라 생태계 보전 또는 주민생활 지원 사업 등 생태계서비스 증진 측면의 활용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생태계 현황에 대한 기초 정보와 지역개발 및 보전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생태정보가 마련되어야 한다. 정보 활용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생태정보 활용방안에 대해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동시에 이용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운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국가적으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정보에 대한 홍보, 업무 활용방안에 대해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지자체의 적응지식 및 생태정보 활용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