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4초

방촌마을의 생태주거단지 계획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eco-housing in Bang chon village)

  • 최율
    • KIEAE Journal
    • /
    • 제2권1호
    • /
    • pp.33-40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 typical Korean traditional settlement for searching for planning criteria of ecological friendly housing estates. The interpreting framework is five environmental ecological ideas as the adaptation to the exterior of village, the eco-space in village, the interior of house, the cycling of material and the reasonable energy system, prevention of environment pollution and reduction of wastes. Through the interpretation, it has been found out that Bang chon village has been developed to an environmental ecological rational setting and has the meaningful elements for environmental friendly housing estates. Particularly, the spatial components of Bang-chon are characterized by the concept of multi-function, and diversity, which are worth of being considered as important planning of ecological friendly housing estates.

유기농 가지재배에서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천연물질 효과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election for Control the Bemisia tabaci (Gennadius) on Organic Eggplant Cultivation)

  • 김주;권영립;김주희;정성수;임주락;이장호;심창기;김민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3-372
    • /
    • 2013
  • 가지 담배가루이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고자, 난황유 등 8종의 천연물질을 가지 정식 후 7일 간격으로 살포하면서 생육을 조사한 결과 님제처리에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담배가루이 성충과 약충의 발생은 디노테퓨란약제처리에서 가장 적었고, 친환경자재 중에서는 님제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수량은 디노테퓨란 약제처리에서 가장 많았고, 친환경 자재에서는 님제, 고추씨유 등이 많았으며, 고삼제 은행과육 등에서 적었다. 님제 처리의 경우 무처리에 비하여 69% 많았고, 디노테퓨란약제에 비해 52% 낮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Investigation on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Wood Culture to Promote the Values of Wood: III. Living Environment and Trend of Wood Utilization

  • Yeonjung, HAN;Myung Sun, YANG;Sang-Min, LE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375-391
    • /
    • 2022
  • Improving public awareness of wood is crucial for expanding the use of wood and establishing a wood culture.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 and trends of the public's wood utilization were analyz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and online text mining at a time when eco-friendly practices are gaining popularity. As a result of reducing climatic and environmental concerns and its positi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the use of wood is predicted to rise in areas intimately connected to everyday living, such as wood furniture, wooden structures, and interior materials. Nonetheless, there was a negative awareness that wood was expensive, difficult to maintain, and associated with deforesta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wood-related search terms on major Korean portal site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Wooden architecture, cultural education, woodworking, wood industry, and wood policy. As a building material, wood was seen as more traditional and friendly than reinforced concrete and stone. Eighty-six percent of respondents expected to utilize wood as a building material in the future, regardless of whether the wood is domestically produced or imported. Sixty-five percent responded favorably about the effects of wood on the health of wooden home inhabitants. It is believed that both active publicity and quantifiable value analysis of human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are required to increase pro-environment awareness of wood utilization.

건강친화형 건축자재의 DB화 연구 - 실내마감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Health-friendly Building Materials)

  • 권기덕;이동훈;김선국
    • KIEAE Journal
    • /
    • 제9권6호
    • /
    • pp.3-11
    • /
    • 2009
  • Building materials have a great impact on the health of a building's occupants. Thus, it is imperative that their health-related properties be taken into during the course of construction project. Unfortunately, no current database system exists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health performance of building materials at each stage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from planning and design to building and maintenance. therefore, an inordinate amount of time and effort is required to choose the right health-friendly materials(DBHM).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at building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health-friendly building materials. It analyzes the health-relat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various materials, and proposes a database structure and operation algorithm.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bjective evaluation of health-friendly building material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relevant data.

실내조건에서 친환경농자재가 기생성 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Insect Parasitoids in the Laboratory)

  • 유용만;강은진;서미자;강명기;이희진;김다아;길미라;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27-234
    • /
    • 2006
  • 시설하우스의 주요 난방제 해충인 온실가루이, 진딧물 및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온실가루이좀벌, 콜레마니진디벌 및 굴파리좀벌 굴파리고치벌에 대한 친환경농자재 사용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친환경농자재가 천적과 직접 접촉하였을 경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실가루이좀벌의 머미에 분무하였을 경우, 61개 품목 중에서 살균성친환경농자재인 FEFAME (0.4%), 몰리브덴함유친환경농자재 G (2.7%)를 뿌린 경우에는 거의 우화하지 않았다. 또한, 성충에 미치는 잔효독성을 조사한 결과,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 J 와 몰리브덴함유친환경농자재인 EFAMMo C는 처리 후 48시간 후의 생존율이 0%였고, 미량요소함유친환경농자재인 EFAMME B (6.7%).,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인 EFAMPE H, 토양미생물친환경농자재인 EFAMSM H (13.3%), 살균성친찬경농자재인 FEFAM A와 D (20.0%) 등이 처리 48시간 후 생존율이 낮게 나타났다. 콜레마니진디벌의 경우 직접접촉에 대한 평가에서 머미에 분무하는 경우에는 대조구(물)조차도 22%의 낮은 우화율을 보이고 있으며, 성충에 대한 잔효효과의 경우에, 몰리브덴함유친환경농자재인 EFAMMo C는 처리 48시간 후 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인 EFAMPE J (6.7%), EFAMPE F 와 EFAMPE H, 토양미생물친환경농자재인 EFAMSM H (13.3%)등이 20% 이하의 낮은 처리 후 48시간 후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굴파리좀벌 굴파리고치벌의 경우에는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인 EFAMPE J가 처리 후 48시간 후 0%의 생존율를 나타내었고, 몰리브덴함유친환경농자재인 EFAMMo C가 53.3%로 낮은 처리 후 48시간 후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이외 친환경농자재에 대하여는 영향이 거의 없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for Aged Apartment Remodeling)

  • 김기현;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8-126
    • /
    • 2007
  • 최근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를 비롯하여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기준, 친환경상품인증기준 등 환경관련 제도 및 규정이 마련되면서 공동주택의 신축 및 리모델링 공사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는 거주자가 사전에 정해진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의견수렴과 사용되는 소재에 대한 요구분석이 신축에 비해 중요하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에 있거나 최근 완료된 리모델링 공사의 시공자는 친환경 소재 적용에 대한 거주자의 적극적인 의견수렴 과정이 미비하였고, 친환경상품인증원의 최우수 등급을 받은 친환경 제품을 거주자의 요구에 의해 적용한다기 보다는 공동주택의 홍보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는 친환경 제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친환경 제품의 등급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경우가 있었고 적용되는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가 매우 정성적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의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리모델링 공사에 적용하여야 한다.

미국 내 LEED 그린빌딩의 지속가능한 업무공간 사례 연구 - 실내 평가요소 중 재료 및 자원을 중심으로 - (Case Study on Sustainable office space of the LEED Green Building in the United States - Focused on the Materials and Resources of Indoor Evaluation Factors -)

  • 하숙녕;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76-185
    • /
    • 2013
  • (Background)In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design industry failed to observe the law of nature, destructing it. Regardless its intention, the design industry destructed the environment so that it can't maintain the future life because of waste and disaster. For the purpose, it is important to adopt the technology to reuse the waste resource generated by building or minimize the damage to environment for the resource that can't be recycled. (Methods)On the assumption that the material and resource can be an alternative plan for the design that can make environment be sustained, the study analyzed materials and resources out of superior office space of USA, which were selected by LEE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Results)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all cases reused main structural part of existing building and indoor and various materials were reused or recycled. Especially, the materials without or with low amount of VOCs and formaldehyde were used. In order to reduce construction waste, the finish of existing building was exposed as it was, 50% of reused materials were used or disassemblable materials were used. When regional materials are used,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transportation cost and recycle the materials rapidly. Lastly,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ed by FSC was used in all cases. (Conclusion)After all, the material is one of the space design strategies sensitive to environment so it is important to select good material. Harmless,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pplied to sustainable office space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healthy environment. In addition, the use of recycled materials and reused materials to minimize waste is also essential factor for creating sustainable space.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최적 TACT공정 개발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Optimal TACT Process for Eco-Friendly Demolition Works in Aged Housing Remodeling - Focus on Case Study -)

  • 우중평;김기현;황영규;김경래;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3-12
    • /
    • 2011
  • 기술문명의 지속적인 발전은 이루어 경제성장과 물질적 풍요로움을 주었으나, 환경에 대한 고려를 통한 발전이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기가 되었다. 건설 분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따라서 최근 건설 산업에서는 친환경 공법을 적용하며, 폐기물을 줄이는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국내의 노후 공동주택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성능개선방안으로 재건축 및 리모델링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재건축이 가지는 비용적, 환경적 측면에서의 문제로 인해 리모델링의 수행이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리모델링 공사는 특성상 철거공사가 선행 된다. 철거공사는 필연적으로 건설폐기물 발생이 수반된다. 따라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폐기물 처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선별 분리를 위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는 주로 기계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기존 방식에 반하여 인력이 중심이 되므로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성이 낮다. 리모델링 공사는 특성상 철거공사 후 후행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철거공사의 작업효율성 확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세부공정을 작업효율성이 포함된 공정으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노후 공동주택을 선정하여 실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친환경 철거공사 사례적용을 분석하여 본 사례에 적합한 TACT공정을 개발하였고 이를 고층형 아파트에 적용시키기 위해 공정 Simulation을 실시하여 친환경 리모델링 최적 TACT공정을 제안하였다.

재생 PET 섬유로 보강된 친환경 황토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휨 거동 (Mechanical Properties and Flexural Behavior of Recycled PET Fiber Reinforced Eco-Friendly Hwang-toh Concrete)

  • 김성배;이나현;김현영;김장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52-159
    • /
    • 2010
  • 최근 친환경 재료와 구조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친환경 재료인 황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황토는 건설 및 마감 재료로 사용된 전통적인 친환경 건설 재료 중의 하나이다. 황토는 높은 축열성, 습도 조절 능력, 자정력, 탈취 및 항균성능, 인체에 유익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점 등 건설 재료로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황토는 낮은 강도특성과 건조수축 균열 특성 때문에 현대 건설에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연구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황토는 플라이 애쉬나 포졸란 같은 천연 포졸란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황토와 슬래그, 재생 PET 섬유가 혼입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과 구조적인 휨 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황토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는 기준 시멘트 콘크리트 시편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으며,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Soybean-based Green Adhesive for Environment-friendly Furniture Material

  • Jeon, Ji-Soo;Lee, Jeong-Hun;Kim, Su-Min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4-182
    • /
    • 2011
  • Over the last decade, Sick Building Syndrome has become a significant social issue in Korea and many methods have been considered to maintain comfortable indoor air quality. To reduce toxic substances emitted from wood composite products, the source control is an efficient method through the reduction of formaldehyde content by using natural material-based adhesives for composite wood products production. Among alternative materials, soybean protein is considered an appropriate natural material to replace formaldehyde-based resin and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duce new products, such as soap, shampoo, ink, resin, adhesive and textile through changing the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soybean. To process soybeans into these useful products, the beans are dehulled and the oil is removed by crushing at very high pressure or by solvent extraction. For use soybean as an adhesive, it is processed at temperatures below $70^{\circ}C$ to preserve the alkaline solubility of the proteins. In addition, soybean-based adhesive is undergone treatment process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using urea, urease inhibitor N-(n-butyl) thiophosphoric triamide and sodium dodecyl sulfate. The modified soybean-based adhesive exhibited su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to use as an adhesive for composite wood products. This paper is a review article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soybean-based adhesive for environment-friendly furniture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