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3초

내피세포가 배양된 나노셀룰로오스 하이드로겔의 비선형 유변물성 분석 (Nonlinear Rheological Properties of Endothelial Cell Laden-cellulose Nanofibrils Hydrogels)

  • 송예은;김민균;이희경;이두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153-160
    • /
    • 2022
  • 목재 섬유 기반의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cellulose nanofibrils, CNF)은 생체적합특성이 우수하여 조직 공학용 스캐폴드, 약물 운반체, 상처 치유용 겔 등의 생체 의료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 상대적으로 약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높은 기계적 특성을 요구하는 응용 분야에 사용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TEMPO (2,2,6,6-tetramethylpiperidin-oxyl)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에 금속 양이온을 도입하여 금속-카르복실레이트 배위 결합을 가지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또한, 큰 진폭 진동 전단(large amplitude oscillatory shear) 측정과 Live/Dead 세포 시험을 통해 하이드로겔의 비선형 점탄성 거동과 세포 생존 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첨가된 금속염의 종류에 따라 세포의 증식 및 생존 능력이 변화하였고, 이는 하이드로겔들의 유변 물성 특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Corosolic acid의 유방암세포 증식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osolic acid on apoptosis and angiogenesis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손건호;황진현;김동하;조영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2호
    • /
    • pp.111-120
    • /
    • 2020
  • 본 연구는 인간 유래 유방 암세포 MDA-MB-231를 대상으로 CA에 의한 세포사멸, 세포 이동 및 침윤 효과를 조사하였다. 암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는 CA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A에 의한 apoptosis 양성 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DAPI stain를 진행한 결과, CA 농도 의존적으로 죽은 세포를 확인하였다. MDA-MB-231 세포에서 CA에 의한apoptosis marker 단백질 발현 증가와 ROS production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A에 의한 MDA-MB-231의 세포 이동률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의 이동과 전이 능력 또한 CA를 처리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CA의 암세포 증식률 억제, 세포사멸 증가, 그리고 세포 이동 및 전이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 결과를 통해서 향후 유방암에 대한 항암제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 가교된 유착방지용 Carboxymethyl Cellulose/Porcine Cartilage Acellular Matrix 수화젤 필름의 물리적 특성 및 부착 방지 평가 (Radiation-Crosslinked Carboxymethyl Cellulose/Porcine Cartilage Acellular Matrix Hydrogel Films to Prevent Peritoneal Adhesions with physical properties and anti-adhesivity)

  • 정성린;박종석;권희정;안성준;송보람;김영직;민병현;김문석;임윤묵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1호
    • /
    • pp.34-39
    • /
    • 2017
  • 본 실험은 방사선을 이용하여 유착방지용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salt (CMC)/Porcine Cartilage Acellular Matrix (PCAM) 수화젤 필름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사선 조사시 CMC/PCAM의 농도 및 혼합비율에 따른 필름의 형태학적 구조, 젤화율, 젤강도, 팽윤도 등을 분석하였다. 방사선에 의해 가교된 CMC/PCAM 필름은 CMC 필름보다 물리적인 특성인 젤화율이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가교된 CMC 필름보다는 CMC/PCAM 필름에서 인간 혈관내피세포의 부착 및 증식율이 감소하였다. 우리는 PCAM에 함유한 세포의 항부착 성분이 도입된 CMC/PCAM 필름과 CMC 필름은 세포의 접착 및 증식율을 낮추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가교된 CMC/PCAM 수화젤 필름은 유착방지 향상을 위한 유착방지제로서 응용이 기대된다.

전폐조사로 유발된 마우스의 급성폐손상에 대한 스테로이드의 효과 (The Effects of Steroid on Acute Lung Injury in the Mouse Induced by Whole Lung Irradiation)

  • 성낙관;신세원;권건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37-47
    • /
    • 1997
  • 목적 : 방사선량에 EK른 급성폐손상을 병리조직학적으로 분석하고 예방목적으로 투요한 스테로이드의 효과를 확인하여 방사선에 의한 폐손상의 감소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생후 30일 정도인 체중 25+2g의 ICR 마우스 120마리를 암수 구별없이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전폐선량이 각각 8Gy와 12Gy인 방사선조사만 시행한 군과 방사선조사와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또다른 군으로 하엿으며, 실험군은 방사선조사와 스테로이드를 복강내로 투여한 군으로 하여 방사선량과 스테로이드투여에 따른 급성폐손상의 양상을 광학 현미경 및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8Gy 대조군에서는 경미한 염증세포의 침윤, I형 폐포상피세포는 세포질이 파괴되거나 폐포강내로 돌출하였으며, 폐포 모세혈관은 경미하게 확장되었고 내피세포의 세포질과 간질은 경한 부종을 보였다. 8Gy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보였던 폐포상피세포 및 내피 세포의 변화가 정도가 매우 약하였으나 섬유모세포의 증식과 기저판의 파괴정도는 대조군과 비슷하였다. 12Gy 대조군에서는 8Gy 대조군과 비교하여 염증세포의 침윤이 증가되었고 폐포강내에는 파기된 조직 파편이 산재해 있었으며 폐실질의 출혈과 무기폐가 관찰되었다. 12Gy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서 보이던 현저한 염증변화가 많이 감소하였으며 폐포벽의 부종과 무기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많이 감소되었으나 섬유모세포의 증식과 기저판의 왜곡 및 파괴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방사선조사에 의한 급성폐손상은 전폐조사량이 8Gy에서 12Gy로 증가함에 따라 염증 세포의 침윤, 페포상피세포의 손상, 모세혈관 내피세포의 손상, 간질의 부종정도가 증가하였으며, 방사선조사후 스테로이드를 2주일에서 4주일간 투여한 결과 이들 소견이 많이 감소하였으나 섬유모세포의 증식정도와 기저판의 변화는 조사된 방사선량이나 스테로이드 투여여부와 무관하였다.

  • PDF

Alteration of the Metabolome Profile in Endothelial Cells by Overexpression of miR-143/145

  • Wang, Wenshuo;Yang, Ye;Wang, Yiqing;Pang, Liewen;Huang, Jiechun;Tao, Hongyue;Sun, Xiaotian;Liu, Che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572-578
    • /
    • 2016
  • Communication between endothelial cells (ECs) and smooth muscle cells (SMCs) via miR-143/145 clusters is vital to vascular stability. Previous research demonstrates that miR-143/145 released from ECs can regulate SMC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addition, a recent study has found that SMCs also have the capability of manipulating EC function via miR-143/145. In the present study, we artificial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iR-143/145 in ECs, to mimic a similar change caused by miR-143/145 released by SMCs, and applied untargeted metabolomics analys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nsequential effect of miR-143/145 overexpression. Our results showed that miR-143/145 overexpression alters the levels of metabolites involved in energy production, DNA methylation, and oxidative stress. These changed metabolites indicate that metabolic pathways, such as the SAM cycle and TCA cycle,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norm with miR-143/145 overexpression.

천연 항균물질 루틴을 함유하는 PHBV 나노섬유의 제조 및 생체적합성 (Fabrication and Biocompatibility of Rutin-containing PHBV Nanofibrous Scaffolds)

  • 채원표;싱즐챠이;김영진;상희선;허만우;강인규
    • 폴리머
    • /
    • 제35권3호
    • /
    • pp.210-215
    • /
    • 2011
  • 루틴은 항발암, 소염제, 항바이러스성 기능을 갖는 물질이다. 미생물이 만들어낸 폴리에스테르인 PHBV와 루틴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부직포를 얻었다. 나노섬유 부직포의 항균성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KB 셀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루틴을 3 wt% 함유할 때 지지체는 우수한 항균성을 보였으며, KB 셀을 이용한 실험결과로부터 루틴을 함유하는 PHBV 지지체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ctivities of the Cryptic Fragments with Kringle Architecture

  • Joe, Young-Ae;Kim, Myung-Rae;Shim, Byoung-Shik;Oh, Dae-Shik;Hong, Sung-Hee;Hong, Yong-Ki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4호
    • /
    • pp.205-213
    • /
    • 2003
  • Various angiogenesis inhibitors target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block tumor angiogenesis. Angiostatin is a specific endogenous angiogenesis inhibitor in clinical trials, which contains only the first four triple loop structures, known as kringle domains. Its generated by proteolytic cleavage of its parent molecule plasminogen, which itself does not exhibit antiangiogenic activity. Kringle domains from prothrombin, apolipoprotein, hepatocyte growth factor, urokinase and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also elicit anti-angiogenic or antitumor activities in several model systems, albeit low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between angiostatin and each individual kringle. However,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ach kringle domain on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bserved in these kringle domains, suggest that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primary structure is still important although kringle architecture is essential for anti-mlgiogenic activity. If it is further studied as to how amino acid sequence and kringle architecture contributes in anti-angiogenic activity, with studies on underlying mechanisms of anti-angiogenesis by kringle-based angiogenesis inhibitors, it will provid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ew potent anti-angiogenesis inhibitors and improvement of the efficacy of angiogenesis inhibitors.

6-sialyllactose ameliorates dihydrotestosterone-induce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hrough suppressing VEGF-mediated angiogenesis

  • Kim, Eun-Yeong;Jin, Bo-Ram;Chung, Tae-Wook;Bae, Sung-Jin;Park, Hyerin;Ryu, Dongryeol;Jin, Ling;An, Hyo-Jin;Ha, Ki-Tae
    • BMB Reports
    • /
    • 제52권9호
    • /
    • pp.560-565
    • /
    • 2019
  •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a common disease in elderly males, is accompanied by non-malignant growth of prostate tissues, subsequently causing hypoxia and angiogenesis. Although VEGF-related angiogenesis is one of the therapeutic targets of prostate cancer, there is no previous study targeting angiogenesis for treatment of BPH. Dihydrotestosterone (DHT)-induced expression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prostate epithelial RWPE-1 cells and human umbilical vascular endothelial cells (HUVECs). Conditioned media (CM) from DHT-treated RWPE-1 cells were transferred to HUVECs. Then, 6SL inhibited proliferation, VEGFR-2 activation, and tube formation of HUVECs transferred with CM from DHT-treated RWPE-1 cells. In the rat BPH model, 6SL reduced prostate weight, size, and thickness of the prostate tissue. Formation of vessels in prostatic tissues were also reduced with 6SL treatment. We found that 6SL has an ameliorative effect on in vitro and in vivo the BPH model via inhibition of VEGFR-2 activation and subsequent angiogen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6SL might be a candidate for development of novel BPH drugs.

Pilocarpine에 의한 경련중첩증 후 해마에서 Tbr2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Tbr2 in the Hippocampus Following Pilocarpine-induced Status Epilepticus)

  • 최윤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32-1540
    • /
    • 2013
  • Tbr2는 T-box family 전사인자의 하나로써 뇌의 발달, 전구세포의 증식, 그리고 CD8+ T 세포와 자연살상세포의 분화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마우스에서 pilocarpine을 이용하여 경련중첩증을 유도한 후 나타나는 병리기전에 Tbr2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경련중첩증은 해마의 CA3, hilus 그리고 조롱박피질 등에서 뚜렷한 신경세포의 손상을 유발하였다. 흥미롭게도 Tbr2를 이용한 조직 염색에서 경련중첩증 2일 후에 CA3와 조롱박피질에서 면역반응성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CA3와 조롱박피질에서 Tbr2를 발현하는 세포는 미세아교세포와 단핵구, CD8+ T세포 또는 자연살상세포 등 백혈구의 표지물질인 CD11b 와 이중염색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Tbr2와 CD11b에 동시에 염색된 세포는 아메바 모양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게다가 혈관 내피세포에서 발혈되는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PECAM-1)과 이중 염색한 결과 Tbr2를 발현하는 세포가 CA3 지역의 혈관내에 다량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Tbr2를 발현하는 세포는 뇌 조직으로 이주하는 백혈구일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경련중첩증에 따른 신경병리기전에 Tbr2가 관여할 가능성이 높음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Ginsenoside Rg3의 항암효능 연구의 진보 (Recent Progress in Research on Anticancer Activities of Ginsenoside-Rg3)

  • 남기열;최재을;홍세철;표미경;박종대
    • 생약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0
    • /
    • 2014
  • Ginsenoside Rg3 (G-Rg3) is one of protopanaxadiol ginsenosides characteristic of red ginseng, steamed and dried ginseng (Panax ginseng),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for its antitumor properties in vitro and in vivo animal models. Experiment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it could promote cancer cell apoptosis, inhibit cancer cell growth, the apoptosis of cancer cells, adhesion, invasion and metastasis, and also prevent an angiogenetic formation in prostate, breast, ovarian, colorectal, gastric, liver and lung cancer etc. It has shown the antitumor activities by modulation of diverse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reg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mediators (CDKs and cyclins), growth factor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umor suppressors (p53 and p21), cell death mediators (caspases, Bcl-2, Bax), inflammatory response molecules ($NF-{\kappa}B$ and COX-2), protein kinases (JNK, Akt,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Wnt/${\beta}$-catenin signaling.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Rg3 and chemotherapeutic agents have synergistically enhanced therapeutic efficacy and reduced antagonistically side effects. Furthermore, it can reverse the multidrug resistance of cancer cells, prolong the survival duration and improve life quality of cancer patients. Taken together, accumulating evidences could provide the potential of G-Rg3 in the treatment of cancers and the feasibility of further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clinical t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