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fying stability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42초

Effects of Fat Reduction on the Stability, Microstructure, Rheological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White-Brined Cheese Emulsion with Different Emulsifying Salt Amounts

  • Urgu, Muge;Unluturk, Sevcan;Koca, Nurc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866-877
    • /
    • 2018
  • Cheese emulsion is an intermediate product for the production of cheese powder and needs to be stable, homogeneous and pumpable characteristics to convey to the spray dri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at reduction and emulsifying salt (ES) amount in cheese emulsion system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Reduced-fat (RF) and full-fat (FF) white-brined cheese emulsions were produced with different dry matters (DM; 15%-25% excluding ES) and ES concentrations (0%-3% based on cheese weight). Stable cheese emulsion was obtained at lower DM in RF cheese emulsion than that of FF cheese emulsion. Reduction in the amount of ES resulted in instability of both emulsions. Apparent viscosity with pseudoplastic flow behavior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fat content in stable cheese emulsions. Microstructure of emulsions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fat content, stability and degree of emulsification. Reduction of fat content caused to get less lightness and more greenness in color, whereas yellow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increase in the amount of ES. In conclusion, fat reduction resulted in higher viscosities of cheese emulsion due to inducing the increment of protein, and the addition amount of ES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factor to produce stable cheese emulsion without protein precipitation or cream separation. Therefore, for preparation of RF cheese emulsion using a variety of white-brined cheese, lower amounts of DM would be suggested in this study to obtain homogenous droplets in the atomizing process of spray drying.

제미니형 양친매성 계면활성제에 관한 연구 (제4보 );두개의 술폰산염과 소수성알킬기를 갖는 양친매성 화합물의 계면성 (Studies on the Gemini Type Amphipathic Surfactants(4);Surface Active Properties of Amphipathic Compound with Two Sulfate Groups and Two Lipophilic Alkyl Chains)

  • 윤영균;김용철;정환경;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7-81
    • /
    • 1998
  •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these aqueous Gemini surfactant solutions including surface tension,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foaming power, foam stability, emulsifying power and Krafft point were measured at given conditions. They showed excellent properties, being compared with conventional single-chain surfactants such as sodium dodecyl sulfonate(SDS). Their surface tensions in the aqueous solutions were decreased to $30{\sim}38$ mN/m, which is lower than 39 mN/m of SDS, and their cmc values evaluated by surface tension method were $2.8{\times}10^{-5}{\sim}3.3{\times}10^{-4}$ mol/L. These values were also much lower than that of SDS, $9.8{\times}10^{-3}$ mol/L. The foaming power and foam stability, especially decyl and dodecyl compounds, were good and the emulsifying power in benzene or soybean oil was also excellent. All of the synthesized Gemini surfactants possessed good water solubility and their Krafft points were all below $0^{\circ}C$. As results, DDED and DDOD, Gemini surfactants which were synthesized are expected to be applied as foamers, emulsifiers and so on.

알파술폰 고급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류의 계면물성 (Surfaces Properties of ${\alpha}-Sulfonated$ Fatty Acid Polyethylene Glycol Esters)

  • 김진현;연영흠;윤영균;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24
    • /
    • 1998
  • All the surface activities including surface tension, foaming power, foam stability, emulsifying power, dispersion effect, and detergency were measured an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was evaluated in dilute aqueous solution. The cmc evaluated by the Ring method was $10^{-3}{\sim}10^{-4}mol/L$ in case of monoesters, and $10^{-3}{\sim}5.0{\times}10^{-5}mol/L$ in case of diesters, respectively. Surface tension of the aqueous solution was decreased to $45{\sim}50dyne/cm$, showing the tendency that the ability of lowering the surface tension was dependent on increasing of carbon atom number in alkyl chain. Foaming power of all the monoesters was better than that of diesters. while foam stability of diesters was to the contrary. Emulsifying power of soybean oil or benzene was specially expected to be good for emulsifiers in industrial application fields. HLB values of monoesters and diesters evaluated by Griffin's method were in the range of 8 to 12. Dispersion property of ferric oxide was stable in the range of $4.5{\times}10^{-5}{\sim}5.0{\times}^{-4}mol/L$ in case of monoesters, and $10^{-5}{\sim}10^{-4}mol/L$ in case of diesters.

양쪽성 이온 계면활성제의 유도체합성 및 계면성에 관한 연구(제2보);N-알킬 혹은 아실히드록시 술포베타인류의 계면성 (Synthesis and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Amphoteric Surfactant Derivatives(II);Surface Active Properties of N-Alkyl or Acyl Hydroxy sulfobetaines)

  • 이진희;하정욱;박홍조;노윤찬;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9-85
    • /
    • 1994
  • All the activities and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surface tension' foaming power, foam stability, emulsifying power, dispersion effect of 3-(N, N-dimethyl N-alkylammonio)-2-hydroxyY-1-propane sulfonate (HSB)류와 3-CN-alkylamidopropyl-N,N-dimethylamm-onjo)-2-hydroxy-1-propane sulfonate (APSB) aquous solution were measured an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was evaluated. Their cmc of hydroxy sulfobetaine derivatives evaluated by the surface tension method was $1.0{\times}10^{-3}{\sim}1.0{\times}10^{-4}$ mol/l, and surface tension of the aquous solution was decreased to $27{\sim}38dyne/cm$.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foaming power, foam stability, emulsifying power in liquid paraffin showed a good surface active properties, especially, dispersion effect in ferric oxide exhibited some efficient surface active properties, and then it would be expected to application as detergent and dispersion agent.

아세틸화와 숙시닐화한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Acetylated and Succinylated Silkworm Larvae Protein Concentrates)

  • 박정륭;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8
    • /
    • 1987
  • 번데기 농축단백질을 무수초산 및 호박산으로 숙시닐화 및 아세틸화시켜, 식품단백질원으로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몇가지 중요한 기능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번데기농축단백질이 아세틸화율은 82.0%, 숙시닐화율은 88.0%였으며, 아실화되는 과정에서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밝은 상아빛으로 부드러웠으며, 특유한 냄새도 제거되었다. 2.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pH 5.0에서 최소의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나 에세틸화 및 숙시닐화한 단백질은 pH 4.5에서 최소를 나타내었으며, 아실화에 의하여 용해도가 증가되었고 특히 숙시닐화는 약5배의 증가를 보였다. 3.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겉보기 밀도와 수분흡수력은 아세틸화와 숙시닐화에 의해서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4.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유화활성, 유화안정성, 유화용량은 아세틸화한 단백질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숙시닐화한 단백질은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5.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포말성은 숙시닐화한 단백질에서 30%의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포말안정성은 아세틸화 및 숙시닐화에 의해서 3시간, 8시간으로 향상되었다. 6. 각 농도별 점도는 아세틸화한 단백질에서는 별 영향이 없었으나 숙시닐화는 점도가 많이 증가되었으며 4∼5%에서 증가 현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숙시닐화 및 부분가수분해가 대두단백질 분리물의 기능적 특성과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ccinylation and Partial Proteolysis of Soybean Protein Isolates on Functional Properties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

  • 이지원;하정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0-422
    • /
    • 1989
  • 숙시닐화 또는 트립신처리에 의한 대두단백질분리물의 화학적 변형은 단백질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미노산 조성에서 tyrosine의 증가가 현저하였으나 lysine은 트립신처리시에만 크게 증가하였다. 화학적 변형은 단백질의 용해성을 증가시키고 pH의존성이 뚜렷하여 등전점 변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단백질의 용해성은 염류의 농도증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학적 변형은 유흡수성과 수분흡수성, 유화특성 및 기포성 등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기포안정성을 다소 저하시키고 자외선흡광도와 용적밀도를 감소시켰다. 한편 대두단백질 분리물과 우육단백질의 혼합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해서는 유화활성, 유화활성지수 및 기포성의 증가를 가져봤으나 유화안정성에 대해서는 현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Biosurfactant를 생산하는 Bacillus subtilis TBM 3101의 생리학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Producting Bacillus subtilis TBM 3101)

  • 김선아;이영근;최용락;황철원;정영기;주우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12-17
    • /
    • 2007
  • 태백산 토양에서 유화활성과 안정도가 높은 biosurfactant 생산균주 TBM 3101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 subtilis로 판명되었다. B. subtilis TBM 3101의 배양액에서 표면장력은 최저 29mN/m까지 감소되었고, 이후 장시간 계속 유지되었다. 또한, tributyrin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2.68로 가장 큰 유화력을 보였고, 그 외에 soybean oil, crude oil, tetradecane 에서도 비슷한 활성을 보였다. 각종 다른 합성계면활성제의 유화활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B. subtilis TBM 3101 생산하는 biosurfactant는 tween류와 span 85와 유사한 유화활성을 나타내었고, tween 80과 triton X-100과 비슷한 유화 안정도를 보여주었다.

폴리옥시에틸렌계 반응성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oxyethylene Reactive Surfactant)

  • 조정은;이상철;박종권;김경실;신혜린;김유리;신승훈;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2호
    • /
    • pp.241-246
    • /
    • 2019
  • 본 실험에서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23) lauryl ether(Brij 35)와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Brij S20)를 acrylic acid 또는 3-butenoic acid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계면활성제는 FT-IR과 $^1H$-NMR로 확인하였으며, 물성은 임계미셀농도, 유화력, 기포력을 측정하였다. 합성한 반응성 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과 임계미셀 농도는 35 dyne/cm~41 dyne/cm에서 $1.0{\times}10^{-4}mol/L{\sim}9.7{\times}10^{-5}mol/L$의 값을 가진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유화력은 대두유, 벤젠, 모노머에서 측정하였으며, 기포의 초기 높이 및 5 min 후의 높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홍삼농축액 함유 유화액의 유화특성에 관한연구 (Emulsifying Properties of Concentrated Red Ginseng Extract: Influence of Concentration, pH, NaCl)

  • 류관모;장현호;이의석;이기택;홍순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04-5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홍삼농축액의 유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홍삼농축액의 표면활성능을 조사하였으며, 이어서 홍삼농축액 유화액을 제조하고 이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홍삼농축액의 물/기름 계면에서 계면장력은 홍삼농축액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홍삼농축액을 이용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결과, 첨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유화 지방구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홍삼농축액 농도가 3.5 wt% 이상일 경우 일정한 지방구 크기($d_{43}$$0.39{\mu}m$)의 안정한 유화액을 형성하였고, separation analyzer($LUMiFuge^{(R)}$)를 이용한 유화안정도 평가 결과에서도 이와 유사한 안정도 변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홍삼농축액 유화액 중 지방구 크기는 pH 및 NaCl 농도변화에 의존하였는데, pH가 감소함에 따라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고 음의 제타전위 값[-67.0 mV (pH 9.0) ${\rightarrow$ + 2.1 mV (pH 2.0)]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NaCl 농도(0.1 M ${\rightarrow$ 0.5 M)가 높을수록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홍삼농축액의 유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Plastein반응을 이용한 정어리 단백질의 기능성 개선에 관한 연구 3. Plastein의 기능성 및 소화율 (Studies on the Improvement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Sardine Protein by Plastein Reaction)

  • 김세권;곽동채;조덕제;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2-319
    • /
    • 1988
  • 정어리 단백질의 가수분해물로 합성한 plastein을 새로운 식품소재로서 고도이용 가능성을 구명하기위해 그의 기능성을 FPC 및 egg albumin과 비교검토하였으며, 아울러 소화율과 소화액의 관능검사도 실시하였다. 용해도는 plastein 제품이 FPC 보다 높았으며 glu-papain plastein은 pH변화에 관계없이 용해도가 84%로 높았으나 leu-papain plastein은 용해도가 매우 낮았다. 분산성은 plastein 제품이 egg albumin의 분산성에 비해 낮았으나 FPC보다는 월등히 높았다. Glu-papain plastein이 70.8%로 분산성이 가장 높았으나 pepsin plastin은 58.0%로 가장 낮았다. 보수력은 plastein제품이 FPC보다 약간 낮았으나 egg albumin보다 높았다. 지방흡수력은 leu-papain plastein이 2.2m1/ g 로서 가장 높았으나 glu-papain plastein이 1.6m1/ g 로 가장 낮았다. 유화성은 leu-papain plastein이 66.4%로 가장 높았으나 glu-papain plastein 51.2%로 가장 낮았다. 유화안정성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포말성은 leu-papain plastein이 460%로서 egg albumin보다 4.6배 이상이었으며, 다른 plastein도 FPC보다 월등히 높았다. 포말안정성도 plastein이 egg albumin보다 좋았다. 점도는 glu-papain plastein을 제외한 plastein이 egg albumin에 비해 낮았다. In Vitro소화율은 $68.4{\sim}78.0%$였으며 glu-papain plasteul의 경우, molsin과 pretense같은 미생물 효소에 의한 plastein 소화액은 감칠맛이 매우 강하여 맛 강화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