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fying stability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2초

Bacillus lentimorbus B-6 균주로부터 생산된 $\alpha$-Glucosidase 억제제의 생물 유화제로서의 특성 (Emulsifying Character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 Produced from Bacillus lentimorbus B-6)

  • 양용준;김경자
    • 약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14-118
    • /
    • 2009
  • Bioemulsifiers are those chemicals which are produced from microorganisms but which have both hydrophilic and hydrophobic groups. $\alpha$-Glucosidase inhibitor ($\alpha$-GI) produced from Bacillus lentimorbus B-6 (B-6) showed bioemulsifying activity. But $\beta$-glucosidase inhibitor produced from B-6 didn't show emulsifying activity. $\alpha$-GI was purified from supernatant of B-6 grown in minimal culture medium containing glucose and sodium glutamate by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 and isolated from $\beta$-GI by dialysis against water. Toluene was determined as the best substrate for emulsifying activity of $\alpha$-GI. $\alpha$-GI showed thermostability at $100^{\circ}C$ for 15 min, high salt tolerance up to 32% NaCl and wide range of pH-stability at pH $4\sim10$. Emulsifying character of $\alpha$-GI can be useful for the liposome forma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메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가 탈지 우유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Modifications of skim milk protein by Meju protease and its effects on solubility, emulsion and foamming properties)

  • 이진실;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8-283
    • /
    • 1993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zymatic modification of milk protein with protease on functional properties. The selected functional properties were solubility, emulsifying activity (EA), emulsion stability(ES), foam expansion(FE), and foam stability(FS). These properties were measu-red from pH 3.0 to pH 8.0. The proteases used in this study were iaolated from Meju(fermemted soybean) and had specific activity of 250 units/㎎ protein at pH 7.0, 1600 units of pretense was used for 1gr. of skim milk protein. Skim milk showed 30.5% degree of hydrolysis for 1 hr. and 36.4% degree of hydrolysis for 3.5 hrs. of protease treatment at pH 7.0. Solubility of native skim milk, control, 1 hr. and 3.5 hrs. groups were 3.37, 3.64, 10.21, 14.34%o at pH 4.0 respcetively. The emulsifying activity of native skim milk, control, 1 hr. and 3.5 hrs. groups were 38.8,42.0,43.0,46.7ft at pH 4.0, respectively. Enzymatic modification resulted in the increase of solubility and emulsifying activity at pH 4.0. However at pH 5.0 emulsifying activity of 1 hr. and 3.5 hr. group were lower than native skim milk and control groups. 1 hr. protease treatment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way of increasing foam expansion at pH 4.0 to 6.0. It was supported that, protease treated skim milk can be used to improve solubility, emulsifying activity, foam expansion at acid pH. meju protease. skim milk, solubility, emulsion, foam.

  • PDF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유화특성 (Emulsifying Properties of Whey Protein Hydrolysates)

  • 양희진;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3-69
    • /
    • 2003
  • 본 연구는 단백질분해효소로 whey protein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가수분해물의 용해도와 유화특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Whey protein concentrates를 porcine trypsin(E : S=1 ; 3,000)으로 pH 8.0, 37$^{\circ}C$에서 6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whey protein 가수분해물의 유화활성은 분해 4시간째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 때 가수분해도는 5.50%이었다. whey protein의 효소가수분해로 whey protein 중의 $\alpha$-lactalbumin은 분해가 잘 일어나지 않으나 $\beta$-lactoglobulin은 분해 초기부터 급속히 분해되며 유화력 상승에 관여하는 여 러개의 저분자량 peptide를 생성하였다. 가수분해물의 용해도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세를 보이다가 5시간부터 조금씩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pH에 따라서는 등전점 부근인 pH4~5에서 용해도가 가장 낮았으나 가수분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 부근의 용해도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pH 6이상에서는 pH가 증가함에 따라 용해도도 증가하였다. 유화활성은 용해도의 결과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화 안정성은 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함을 보여주었으나, 가수분해 4시간부터 pH 8 이상의 PH에서 급격한 증자를 나타내었다.

Succinylation에 의한 붕장어껍질 젤라틴의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in functional properties of conger eel skin gelatin by succinylation)

  • 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282-286
    • /
    • 1996
  • 어류껍질 젤라틴의 수식에 의한 유화성 및 유화안정성과 같은 기능성을 개선하여 적색육어류 연제품의 품질개선제로 이용할 목적으로 붕장어껍질 젤라틴의 succinylation을 시도하였다. Succinylation의 정도는 젤라틴에 대하여 첨가하는 succinic anhydride의 비율 0.3까지는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유지흡수성, 유화성 및 유화안정성은 무수식 젤라틴이 각각 1.8ml/g, 55% 및 49%이었고, 수식에 의해 개선되어 succinylation 정도가 89.9%일 때 이들의 값이 각각 5.8ml/g, 84% 및 78%이었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거나 서서히 감소하였다. 또한 용해도의 경우 40%, 보수력의 경우 50%, 거품성 및 거품안정성의 경우 0.4 및 0.3정도 개선되었다. 수식 젤라틴은 무수식 젤라틴에 비하여 아미노산조성의 경우 거의 차이가 없었고, 중금속함량은 오히려 낮았다.

  • PDF

유화제의 구조에 따른 W/O 에멀젼의 특성 및 안정도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y and Stability of W/O Emulsion by Various Structures of Emulsifier)

  • 김운하;이광식;이건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9-131
    • /
    • 2012
  • w/o 에멀젼은 내수성이 뛰어나고 보습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에 많이 사용하지만 안정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안정한 w/o 에멀젼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해질의 농도, 오일의 극성 정도, 수상의 비율, 유화제의 농도 등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안정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유화제의 구조에 따라 유화가능여부와 안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유화제를 구조적으로 polyglyceryl ester 계열, silicone 계열, sugar 계열 유화제 등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상에 사용되는 오일의 실리콘 함량을 다르게 하여 유화제의 유화 능력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를 참고하여 유화제에 따른 에멀젼의 입자, 점도의 경시 변화 등의 w/o 에멀젼의 특성을 찾아내고, 여러 조건에서 에멀젼의 안정도를 관찰하였다.

Chitosan이 난황의 유화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on Emulsifying Capacity of Egg Yolk)

  • 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8-122
    • /
    • 1996
  • 난황을 이용한 유화식품인 마요네즈 제조시 천연고분자 물질인 chitosan의 사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난황의 유화력과 유화 안전성에 미치는 chitosan의 효과와 마요네즈 제조시 chitosan 첨가특성을 조사하였다. Chitosan을 난황 무게에 대해 0.1% 첨가한 결과난항의 유화력은 약 10%증진되었으며 유화 안정성은 뚜렷이 증진되었다. 마요네즈 제시 0.1% chitosan 첨가에 의해 마요네즈의 유화 안정성을 증가되었으며 대조구의 첨가 대두유에 비해 40% 증량 처리구에 있어 유화 안정성 및 점도는 대조구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색택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마요네즈의 퍼짐서, 점성, 맛, 종합적 기호도에 관한 기호성은 0.1% chitosan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양호하였으며, 40% 증량한 경우 더욱 우수하였으며 60% 증량한 겨웅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 PDF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Emulsifying Properties of Myofibrilla Protein in the Soybean Oil and Fish Oil Emulsion

  • Jo, Yeon-Ji;Kwon, Yun-Joong;Min, Sang-Gi;Choi, Mi-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15-321
    • /
    • 2015
  • The aim of the present work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emulsifying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porcine myofibrillar protein (MF)-stabilized soybean oil and fish oil emulsion (SO-EMs and FO-EMs). Emulsions (EMs) were prepared from 1% MF with 10% SO or FO at various NaCl concentration (0-0.5 M). The emulsifying ability index (EAI) of the EMs increased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for both oil types. Conversely, increasing NaCl manifested decrease in the emulsion stability index (ESI). In addition, creaming index (CI) also increased with NaCl concentration. From the microscopic observation, droplets of the EMs were more aggregated at relatively higher NaCl concentrations, especially for FO-EMs. All EMs had a gel-like structure owing to G' > G" from the rheological analysis. Comparing the oil types, the emulsifying capacity of SO-EMs was more stable than that of FO-EMs at all NaCl concentrations as determined from the CI value and microscopic observati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O-EMs and FO-EMs are more stable at relatively lower concentrations of NaCl. In addition, the dispersed stability of SO-EMs was better than that of FO-EMs at the same concentration of NaCl.

Bacillus sp. LSC11가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s produced by Bacillus sp. LSC11)

  • 이상철;정연주;유주순;조영수;차인호;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45-751
    • /
    • 2002
  • 원유 분해능이 강력한 해양균주를 얻고자 유류오염 지역으로부터 crude oil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수십 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중 원유분해능 및 biosurfactant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후 Bacizzus sp. LSC11로 동정하였다. Bacillus sp. LSC11 균주 배양액의 표면장력은 최저 32mN/m까지 감소되었다. Biosurfactant의 CMC값은 0.0035% (w/v) 인 것으로 나타났다. Bacillus sp. LSC11가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유화활성은 대두유에서 최대였으며, 원유에서도 높은 편이였다. 유화안정성은 합성계면활성제와 비슷하거나 우수하였다.

N-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제15보) Sodium N-(2-Dodecyl Succinoyl) l-Glutamate의 합성 및 계면성 (N-Acyl Amino Acid Surfactant(15) Synthesis and Properties of Sodium N-(2-Dodecyl Succinoyl) l-Glutamate)

  • 곽광수;윤영균;정노희;김덕권;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59
    • /
    • 2001
  • These N-acyl amino acid surfactants is normally produced by reaction of acid anhydride with sodium ${\ell}-glutamate$ hydrolysates under Schotten-Baumann condition i.e., in alkaline aqueous medium. To avoid using fatty acid chlorides, acylations were also carried out with the fatty acids themselves or with their methyl esters, but unfortunately these methods cannot be used in practice, dodecenyl succinic anhydride, was to be studied for their suitability as acylating agents the production if acylated glutamine hydrolysates. The surface activities including surface tension forming power, forming stability and emulsifying power were measured.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ducts have a good emulsifying power. Thus, there derivatives will be expected to be used an emulsifying agent for O/W type cosmetic emulsion.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이용한 N-아실 글리신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Acyl Glycine Used Triglyceride)

  • 신혜린;박예원;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58-1065
    • /
    • 2017
  • 단백질 계면활성제로서의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친환경적인 화합물이다. 따라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차세대 계면활성제로 기대된다.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높은 생분해성, 낮은 독성 및 표면 활성 특성을 갖는다. 이 실험에서 아미노산 기반의 계면활성제인 cocoyl glycine은 코코넛 오일과 팜 오일과 같은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글리신에 의해 합성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표면 장력, 유화 특성, 거품 안정성 및 HLB 값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FT-IR에 의해 확인되었다. 희석된 계면활성제 수용액에서 코코넛 오일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표면 장력은 $1.0{\times}10^{-4}mol/L$에서 31.2 dyne/cm 이었다. 희석된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서 팜 오일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표면 장력은 $3.2{\times}10^{-5}mol/L$에서 42.1 dyne/cm 이었다. 기포 안정성은 시간 경과에 따라 기포 높이를 측정했다. 코코넛 오일로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초기 기포 높이는 14.5cm이고 5분 후 10.7cm였다. 팜 오일에 의해 합성 된 계면활성제의 초기 기포 높이는 3.0 cm이고, 5 분 후에 2.8 cm이다. 코코넛 오일로 합성한 계면 활성제의 기포 높이는 팜 오일로 합성한 계면 활성제보다 높았다. 그러나 팜 오일로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기포 안정성은 코코넛 오일로 합성한 계면활성제보다 우수하였다.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유화 특성은 벤젠과 콩기름에서 관찰되며 유기 용매에서의 유화 성질이 콩기름에서보다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