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fied sausage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Antioxidant Activity of Tomato Powders as Affected by Water Solubility and Application to the Pork Sausages

  • Kim, Hyeong Sang;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0-180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ven-dried ($60^{\circ}C$) tomato powder (TP) as affected by water solubility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P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mulsified pork sausages with two levels of TP (1% and 2 %). After fresh tomatoes were homogenized and dried at $60^{\circ}C$ oven, they were extracted by stirring with water. Then, the aqueous solution was filtered, and water soluble and insoluble tomato powders were obtained with freeze drying. In experiment I, total phenolic contents in oven-dried tomato powder, water soluble and insoluble powder were more than 2 g/100 g.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ron-chelation ability of the water-insoluble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dried TP and water-soluble extracts. In experiment II, pH values and Hunter L values of pork sausages formulated with TP were reduced. However, hunter a and b valu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those effec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levels of TP.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values of pork sausages containing TP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during refrigerated storage, regardless of the TP leve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P could be used as a natural color agent and antioxidant in meat products without defects.

Effect on the Emulsification Stability and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s Added with Wanggasi-Chunnyuncho (Opuntia humifusa f. jeollaensis) Fruit Powders

  • Jeong, Yiji;Han, Youngs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53-965
    • /
    • 2019
  • In this study, the Opuntia humifusa f. jeollaensis (Wanggasi-Chunnyuncho) fruit (WCF) was used as a source of viscous dietary fiber and color pigmentation in sausage production to improve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cooking loss and emulsion stability. Control and treatment sausages were formulated with 0%, 1%, 5%, and 10% WCF powder, respectively, and the following quality measures were investigated: general composition, fiber content, cooking loss, emulsion stability, chromaticity, pH,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The moisture, dietary fiber, and ash contents showed increasing trends (all p<0.05)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fruit powder. Conversely,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exhibited decreasing trends with increasing fruit powder concentrations (p<0.05). Moreover, both the moisture and dietary fiber contents affected cooking loss, water retention capacity, and the sausage texture, causing the cooking loss to decrease, while the water and oil retention capacity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WCF powder. Furthermore, hardness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ing trend as the concentration of WCF powder increased (p<0.05). This finding suggested that both dietary fiber and viscous materials, along with th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affected the product hardness. In addition, sensory evaluation of the WCF powder groups showed better results than did the control group, and the strongest results obtained for the group containing 5% fruit powder (p<0.05).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CF powder improves the quality of emulsified sausages and can potentially be applied as a naturally-derived additive.

Effects of Emulsified Sausage Supplemented with Ginseng Saponin on Lipid Metabolism in Rat

  • Shim, Kwan-Seob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82-589
    • /
    • 2010
  •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s of emulsified sausage supplemented with ginseng saponin on lipid metabolism by applying a rat model. Four groups of 8 rats (5 wk old) were each allocated one of 4 treatments: basal feed (C), and basal feed with 20% sausage powder containing 0% (S0), 2% (S2) and 4% (S4) ginseng saponi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4 wk. The results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with different amounts of sausage (ST), but daily feed intake (p<0.01) and feed conversion (p<0.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s compared to C. Both total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01) reduced, by 45 and 46%, and 48 and 46%, in S2 and S4, respectively, compared to S0. In the liver, the total cholesterol level was dramatically (p<0.05)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sausage powder levels. In particular, S4 showed approximately 14% reduction compared to S0 (p<0.05). Liver triglyceride content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 where S2 and S4 resulted in 7% and 31% reduction. With regard to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liver tissues, palmitic acid (16:0), oleic acid (18:1), eicosanoic acid (20:1), and eicosatrienoic acid (20:3) did not differ among the STs, whereas both linoleic acid (18:2) (p<0.01) and linolenic acid (18:3) (p<0.001)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S2 compared to S0. The current data demonstrated that emulsified sausages supplemented with ginseng saponin effectively reduc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liver, and increase unsaturated and essential fatty acid in the liver. These data collectively imply that the sausage improved the overall lipid profile in a rat model, and can be further generalized to the result that emulsified sausage can improve lipid metabolism depending on the products' formula.

마늘즙 또는 양파즙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저장 중 지방 산화, 총 미생물수 및 아질산염잔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Onion Juice Addition on the Lipid Oxidation, Total Plate Counts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 박웅렬;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12-618
    • /
    • 2009
  • 유화형 소시지에 마늘즙과 양파즙을 각각 1%와 3%를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면서 pH, peroxide value, TBARS, 총 미생물수 및 아질산염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마늘즙과 양파즙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마늘즙 1% 첨가구는 T1, 마늘즙 3% 첨가구는 T2, 양파즙 1% 첨가구는 T3 및 양파즙 3%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0, 7, 14 및 21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였고, 마늘즙 첨가구는 양파즙 첨가구보다 낮았으며, 대조구의 pH가 가장 높았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고, 마늘즙과 양파즙의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마늘과 양파를 첨가한 유화형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마늘과 양파즙이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마늘이 양파보다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마늘즙과 양파즙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TBARS값은 낮은 경향이었다(p<005).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마늘즙 3% 첨가구인 T2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2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많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마늘즙 3% 첨가구는 산화 및 미생물 성장 억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쑥과 솔잎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on Shelf-life in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황보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61-467
    • /
    • 2011
  • 쑥과 솔잎 분말을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첨가한 후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아질산염잔존량, 총 미생물수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쑥과 솔잎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쑥 물 추출물첨가구는 T1,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2, 솔잎 물 추출물 첨가구를 T3,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보다 쑥과 솔잎 추출물 첨가구에서 다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쑥과 솔잎의 첨가는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특히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4에서 TBARS 값은 다소 낮았다(p<005).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고, 쑥 보다는 솔잎 첨가구가,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일과 10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대조구보다 쑥과 솔잎 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 값과 $b^*$ 값은 감소하였고, CIE $a^*$ 값은 증가하였다. 처리구간 CIE $L^*$값은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 첨가구에서 낮아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솔잎 분말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잔존량 감소에 효과적인 첨가방법이라 생각된다.

레드비트 분말을 첨가한 돈육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Sausages with Red Beet Powder)

  • 하소라;최정석;진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896-902
    • /
    • 2015
  • 본 연구는 유화형 돈육소시지 제조에 첨가되는 아질산염을 대체할 목적으로 천연색소로 알려진 레드비트 분말을 첨가하여 돈육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총 5개의 처리구로 제조를 하였으며, C (아질산염 0.01%), T1 (아질산염 0.005% + 레드비트 분말 0.5%), T2 (아질산염 0.005% + 레드비트 분말 0.25%), T3 (레드비트 분말 0.5%), T4 (레드비트 분말 0.25%)로 처리하여 10±1℃에서 6주간 저장하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명도는 Control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적색도는 T1이 높았으며, 황색도는 T3와 T4가 높았다. pH는 T3와 T4가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VBN은 처리구간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DPPH 결과는 0주차에서 T1과 T3가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2주차에서 T1이 높았고, 4주와 6주차에서는 T3가 높았다. 또한, 잔존아질산이온 결과는 Control이 저장 6주 동안 유의적으로 높았고, T3와 T4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레드비트 분말의 첨가는 유화형 돈육소시지의 품질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아질산염의 첨가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항산화활성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분자량이 다른 키토산과 아질산염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아질산염잔존량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 and Nitrite Addition on the Residual Nitrite Contents and Self-life of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 박웅렬;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9-276
    • /
    • 2010
  • 유화형 소시지에 분자량이 다른 키토산과 아질산염을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육색, TBARS, 총 미생물수 및 아질산염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키토산과 아질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50kDa 키토산 0.5% 첨가구는 T1, 200 kDa 키토산 0.5% 첨가구는 T2, 아질산염 150 ppm 첨가구는 T3, 50 kDa 키토산 0.5%와 아질산염 150 ppm 첨가구는 T4, 200 kDa 키토산 0.5%와 아질산염 150 ppm 첨가구를 T5 등 6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0, 20 및 30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나 대조구와 T2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 키토산과 아질산염 혼합 첨가구에서 낮았으며 T5에서 가장 낮았다(p<0.05).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값과 $a^*$값은 감소하였고, CIE $b^*$값은 변화가 없으며 처리구간에 있어서 저장 30일에 $a^*$값만 T5에서 높았다.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키토산과 아질산염을 첨가한 유화형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키토산과 아질산염이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200 kDa 키토산과 아질산염 첨가구의 TBARS값은 낮은 경향이었다(p<005).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 T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5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많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키토산과 아질산염 혼합 첨가구는 산화 및 미생물 성장 억제 효과와 아질산염잔존량을 감소 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산란 노계육이 첨가된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 비교 (The Study on the Quality of Sausage Manufactured with Different Mixture Ratios of Spent Laying Hen and Pork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1-277
    • /
    • 2014
  •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에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0, 10, 20, 30%)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소시지를 냉장온도($4{\pm}1^{\circ}C$)에서 7일간 저장한 후, 소시지의 일반성분, pH, TBARS, WHC, 전단력, 가열 감량, 총 미생물수, 육색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산란 노계육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산란 노계육을 10% 첨가한 T1, 산란 노계육을 20% 첨가한 T2, 산란 노계육을 30% 첨가한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7일간 저장한 후 실험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산란 노계육이 첨가된 소시지에서 유의성이 없으며, 조지방 함량은 산란 노계육의 첨가구에서 특히 T3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pH, TBARS 및 총 미생물수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며, 보수성은 산란 노계육의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열 감량은 대조구와 T1, T2 보다 T3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산란 노계육이 첨가된 유화형 소시지의 육색은 명도와 황색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적색도는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훈련된 관능검사요원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다즙성과 기호성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경도는 산란 노계육의 첨가량이 많은 T3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산란 노계육의 첨가는 소시지의 품질 변화 없이 첨가 가능성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새송이버섯과 원료육의 입자 차이가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eurotus eryngii and Meat Particle Size on Sausage Quality)

  • 진상근;김일석;김동훈;정기종;문성실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3-348
    • /
    • 2006
  • 새송이 버섯과 원료육의 입자 크기를 달리하여 제조한 3종(T1: 미세하게 커팅된 새송이 버섯 및 원료육, T2: 입자를 살린 새송이 버섯과 미세하게 커팅된 원료육, T3: 입자를 살린 새송이 버섯 및 원료육)의 소시지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는 새송이 버섯과 원료육의 입자가 모두 미세한 T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처리구 간에 전단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조직감 중 소시지의 경도는 새송이 버섯의 입자를 살린 T2와 T3이 미세한 T1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원료육의 입자 크기에 따른 경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육색의 경우, 명도와 백색도는 원료육의 입자가 미세한 T1과 T2가 입자를 살린 T3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새송이 버섯의 입자 크기가 다른 T1과 T2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원료육의 입자를 살린 T3이 미세한 T2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관능검사 결과 소시지의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새송이 버섯의 입자를 살린 T2와 T3가 미세한 T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원부재료의 투입 순서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Order of Material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fication Sausage)

  • 진상근;김일석;남영욱;조주현;허선진;강석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7-162
    • /
    • 2007
  • Silent cutter작업 시 T1(지방을 얼음 다음 투입), T2(지방을 얼음보다 앞에 투입), T3(모든 원부재료 일시 투입) 처리구로 하여 모든 처리구들은 4.5분간 커팅하여 최종 유화물의 온도를 15 이내로 제조하여 원부재료의 투입 순서에 따른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T1이 가장 높고 T3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전단가는 T1이 다른 두 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경도와 검성은 T1이 다른 두 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맛은 유의적으로 T2>T1>T3 순이었으며, 육색은 T1과 T2가 T3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리수분 및 보수력, 기계 측정 육색 전 항목, 조직감의 표면경도, 응집성, 탄력성 및 씹힘성, 관능평가의 향, 다즙성, 연도 및 전체적 기호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종합적으로 보면 유화물 제조 시 얼음 다음에 지방을 투입한 T1이 다른 두 구에 비하여 육의 품질 특성상 가장 양호한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