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fication stabilit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2초

Characterization of a Blend-Biosurfactant of Glycolipid and Lipopeptid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TU2 Isolated from Underground Oil-Extraction Wastewater

  • Cheng, Fangyu;Tang, Cheng;Yang, Huan;Yu, Huimin;Chen, Yu;Shen, Zhongya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390-396
    • /
    • 2013
  • Biosurfactants have versatile properties and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s. A new producer, B. subtilis TU2, was isolated from the underground oil-extraction wastewater of Shengli Oilfield, China. Preliminary flask culture showed that the titer of biosurfactant obtained from the broth of TU2 was ~1.5 g/l at 48 h (718 mg/l after purification), with a reduced surface tension of 32.5 mN/m.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was measured as 50 mg/l and the surface tension maintained stability in solution with 50 g/l NaCl and 16 g/l $CaCl_2$ after 5 days of incubation at $70^{\circ}C$. FT-IR spectra exhibited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both glycolipid and lipopeptide. MALDI-TOF-MS analyses confirmed that the biosurfactant produced by B. subtilis TU2 was a blend of glycolipid and lipopeptide, including rhamnolipid, surfactin, and fengycin. The blended biosurfactant showed 86% of oil-washing efficiency and fine emulsification activity on crude oil, suggesting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enhanced oil recovery.

Emulsification of Asphalt Modified with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and Styrene Butadiene Styrene (SBS); 1) Phase Stability Behavior and 2) Physical Properties

  • Lee, Eun-K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4권4호
    • /
    • pp.335-344
    • /
    • 2019
  • In this work,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and styrene butadiene styrene (SBS) were used to modify asphalt, resulting in SBR- and SBS-modified asphalt, respectively. The two modified asphalts were emulsified with a nonionic emulsifier (Span 60) and cationic emulsifiers (ID, DDA) and their phase stabilization was investigated via particle size, Zeta potential, and flow behavior analysis. With increasing amount of the mixed emulsifier, the particle size decreased, leading to an increase in viscosity. The shear thinning behaviors and Zeta potential values ranging from 35-65 mV were determined and remained considerably stable. In addition, the adhesion strength and compression strength of the SBR-and SBS-modified asphalt emulsion were evaluated via surface free energy examination. The remarkable adhesion and compression strengths were estimated when 5 phr ID and 6 phr DDA were added to the emulsified asphalt modified with SBR and SBS. Therefore ID and DDA, the two cationic surfactants, played significant roles in improving the dispersion and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resulting in the improved adhesion and compression strength of the emulsified asphalts modified with SBR and SBS.

파클리탁셀을 함유한 인지질 나노 에멀젼 제조 (Preparation of Phospholipid Nanoemulsions Loaded with Paclitaxel)

  • 서동환;한희동;지상철;신병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2호
    • /
    • pp.125-130
    • /
    • 2004
  • Paclitaxel is an effective antineoplastic drug for various cancers especially ovarian and breast cancer. This study is to find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preparation of nanoemulsions and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loading amount of paclitaxel in nanoemulsions. Nanoemulsions were prepared by modified spontaneous emulsification solvent diffusion method. It was composed of phosphatidylcholine:cholesterol: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N-[Metoxy (Polyethylene glycol)-2000]:paclitaxel at a weight ratio of 5:3:1:1 and the Tween 80 as a surfactant. The particle size and the shape of nanoemulsions were measured by particle analyzer and SEM, respectively. The loading amount of paclitaxel in nanoemulsion was measured by UV-visible spectroscopy at 227 nm. The particle sizes were $80{\sim}120\;nm$ and the loading efficiency of paclitaxel was $8{\sim}39%$.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nanoemulsions were 8% w/w phospholipid, 16% w/v Tween 80 and 2% w/w paclitaxel, respectively.

Effects of Fat Reduction on the Stability, Microstructure, Rheological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White-Brined Cheese Emulsion with Different Emulsifying Salt Amounts

  • Urgu, Muge;Unluturk, Sevcan;Koca, Nurc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866-877
    • /
    • 2018
  • Cheese emulsion is an intermediate product for the production of cheese powder and needs to be stable, homogeneous and pumpable characteristics to convey to the spray dri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at reduction and emulsifying salt (ES) amount in cheese emulsion system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Reduced-fat (RF) and full-fat (FF) white-brined cheese emulsions were produced with different dry matters (DM; 15%-25% excluding ES) and ES concentrations (0%-3% based on cheese weight). Stable cheese emulsion was obtained at lower DM in RF cheese emulsion than that of FF cheese emulsion. Reduction in the amount of ES resulted in instability of both emulsions. Apparent viscosity with pseudoplastic flow behavior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fat content in stable cheese emulsions. Microstructure of emulsions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fat content, stability and degree of emulsification. Reduction of fat content caused to get less lightness and more greenness in color, whereas yellow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increase in the amount of ES. In conclusion, fat reduction resulted in higher viscosities of cheese emulsion due to inducing the increment of protein, and the addition amount of ES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factor to produce stable cheese emulsion without protein precipitation or cream separation. Therefore, for preparation of RF cheese emulsion using a variety of white-brined cheese, lower amounts of DM would be suggested in this study to obtain homogenous droplets in the atomizing process of spray drying.

화장품용 오일 타입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융복합 화장품 적용 (Application of Nanoemulsions upon Type of Cosmetic Oils for Convergence Type of Cosmetics)

  • 조완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69-37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Tween 80/Span 80의 유화계에서, PIC(Phase Inversion Composition) 방법으로, 80 oC에서 화장품용 오일의 나노에멀젼 형성 가능성과 오일의 구조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탄화수소 계열의 LP 70, Isopar H 및 Pripure 3759는 모두 입도 분포가 40 nm 내외의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직쇄 구조의 실리콘 오일은 불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였으나 환상 또는 짧은 사슬의 실리콘 오일은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에스테르 오일류에서는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도가 증가하였고 분자량이 약 450 이상에서는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얻을 수 없었다. 오일의 친수성과 친유성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요구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에 대한 나노에멀젼의 입도는 HLB 값이 8-10 정도 범위에서 가장 입도가 작았다.

아세틸화와 숙시닐화한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Acetylated and Succinylated Silkworm Larvae Protein Concentrates)

  • 박정륭;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8
    • /
    • 1987
  • 번데기 농축단백질을 무수초산 및 호박산으로 숙시닐화 및 아세틸화시켜, 식품단백질원으로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몇가지 중요한 기능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번데기농축단백질이 아세틸화율은 82.0%, 숙시닐화율은 88.0%였으며, 아실화되는 과정에서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밝은 상아빛으로 부드러웠으며, 특유한 냄새도 제거되었다. 2.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pH 5.0에서 최소의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나 에세틸화 및 숙시닐화한 단백질은 pH 4.5에서 최소를 나타내었으며, 아실화에 의하여 용해도가 증가되었고 특히 숙시닐화는 약5배의 증가를 보였다. 3.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겉보기 밀도와 수분흡수력은 아세틸화와 숙시닐화에 의해서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4.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유화활성, 유화안정성, 유화용량은 아세틸화한 단백질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숙시닐화한 단백질은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5.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포말성은 숙시닐화한 단백질에서 30%의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포말안정성은 아세틸화 및 숙시닐화에 의해서 3시간, 8시간으로 향상되었다. 6. 각 농도별 점도는 아세틸화한 단백질에서는 별 영향이 없었으나 숙시닐화는 점도가 많이 증가되었으며 4∼5%에서 증가 현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숙시닐화 및 부분가수분해가 대두단백질 분리물의 기능적 특성과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ccinylation and Partial Proteolysis of Soybean Protein Isolates on Functional Properties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

  • 이지원;하정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0-422
    • /
    • 1989
  • 숙시닐화 또는 트립신처리에 의한 대두단백질분리물의 화학적 변형은 단백질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미노산 조성에서 tyrosine의 증가가 현저하였으나 lysine은 트립신처리시에만 크게 증가하였다. 화학적 변형은 단백질의 용해성을 증가시키고 pH의존성이 뚜렷하여 등전점 변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단백질의 용해성은 염류의 농도증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학적 변형은 유흡수성과 수분흡수성, 유화특성 및 기포성 등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기포안정성을 다소 저하시키고 자외선흡광도와 용적밀도를 감소시켰다. 한편 대두단백질 분리물과 우육단백질의 혼합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해서는 유화활성, 유화활성지수 및 기포성의 증가를 가져봤으나 유화안정성에 대해서는 현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옥테닐 석시닐 무수물 변성찹쌀녹말의 이화학, 호화 및 유화특성 (Physicochemical, pasting, and emulsification properties of octenyl succinic anhydride modified waxy rice starch)

  • 노준희;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63-468
    • /
    • 2017
  • 화선찰 백미로부터 분리한 찹쌀 녹말을 옥테닐 석시닐 무수물(OSA)로 변성처리 하여 유화제로 사용하기 위해 OSA 1, 2, 3%를 가하여(pH 8.5, 6시간) 변성녹말을 제조하고 이화학 및 호화특성과 유화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OSA 1, 2와 3%로 제조한 변성 찹쌀녹말의 치환도는 각각 0.0062, 0.0182 및 0.0214이었다. FT-IR로 분석한 모든 OSA 변성 녹말은 모두 1724와 $1572cm^{-1}$에서 약한 피크를 보였으며 치환도가 클수록 $3300cm^{-1}$의 피크는 감소하였다. X-선 회절도에 의한 결정형은 생 녹말과 같은 A 형이었고 입자 크기는 유사하였다. OSA 변성녹말은 피크 점성이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초기호화온도와 피크온도 및 엔탈피는 감소하였다. OSA 변성녹말의 크리밍 지수는 OSA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위 결과로부터 OSA변성 찹쌀녹말의 유화 안정성은 OSA 농도에 따라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Biosurfactant 생산균주 Bacillus sp. TBM 911-5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Bacterium, Bacillus sp. TBM 911-5)

  • 김선희;정연주;이상철;유주순;주우홍;정수열;최시림;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20-324
    • /
    • 2004
  • 본 연구는 biosurfactant를 생산하는 우수한 균주를 얻고자 산지 토양에서 생산능이 우수한 균주 수십 종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 중 원유분해능 및 biosurfactant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특성 및 생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고, 16S rDNA의 부분적 염기서열 결정을 통하여 Bacillus sp. TBM911-5로 동정하였다. 동정된 균주 배양액에 생산된 biosurfactant에 의해 48시산 정도에서 표면장력이 최저 29mN/m까지 감소되었다. Bacillus sp. TBM 911-5가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유화활성은 대두유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최대였으며, 원유에서도 높은 편이였다. 유화안정성은 합성 계면활성제의 Tween 류나 Triton X-100등과 비슷하거나 우수하였으며, 이는 분리된 균이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계면활성제로서의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ilkworm Larvae Protein Concentrate)

  • 박금순;박정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4-209
    • /
    • 1986
  • 번데기 단백질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농축 단백질을 조제하여 중요한 성질인 기능성을 대두 단백질과 비교하였다.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대두 농축단백질보다 지방 흡수력이 더 높았으며, 용해도와 수분 흡수력은 낮았다. 유화성은 62.8%로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더 높았으며, 유화력도 307ml/g으로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80^{\circ}C$로 가열한 후의 유화안정성도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65.8%로 대두 농축단백질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포말성은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더 낮았으며 포말안정성은 달걀알부민보다, 번데기, 대두 농축단백질이 더 낮았고, $5{\sim}7%$사이에 점도 증가 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높은 지방 흡수력과 유화성은 유화력을 이용한 식품제조에 좋은 단백질원으로서 이용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