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ty seed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잣나무결실(結實)에 있어서 구과중(毬果中)의 쭉정이량(量)의 변이(變異) (Variation of the Number of Empty Seeds per Cone i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 전상근;정현배;홍종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24-30
    • /
    • 1984
  • 잣나무 성숙목(成熟木)(45~50년생(年生))의 구과당(毬果當) 평균(平均) 쭉정이 수(數)는 $10.03{\pm}0.61$개(個)였고 전체종자(全體種子)(정상종자(正常種子)와 쭉정이를 합친것)에 대(對)한 쭉정이의 비율(比率)은 평균(平均) $7.38{\pm}0.35%$였으며, 정상종자(正常種子)에 대(對)한 쭉정이의 비율(比率)은 평균(平均) $8.42{\pm}0.49%$였다. 그리고 이들은 모수(母樹)의 생립위치(生立位置)나 결실년도(結實年度) 및 개체목(個體木)에 따라 차이(差異)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 요인(要因)들이 구과당(毬果當) 평균(平均) 쭉정이 수(數)에 미치는 기여율(寄與率)은 각각(各各) 350%, 8.06% 및 55.41%로 개체(個體)에 따른 영향(影響)이 가장 컸었다. 구과당(毬果當) 쭉정이 수(數)나 종자수(種子數)에 대(對)한 비율(比率)과 결실량(結實量)(성숙구과(成熟毬果)의 결과량(結果量) 및 무게, 착과량(着果量) 및 무게, 구과당(毬果當) 종자수(種子數) 및 무게)간(間), 그리고 모수(母樹)의 흉고직경(胸高直徑) 간(間)에는 상관(相關)이 없었으나 모수(母樹)의 유구과(幼毬果)(1년생(年生)) 착과량(着果量) 간(間)에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갖고 있었다.

  • PDF

Effects of local conspecific abundance on seed set and seed predation, and control of Carpinus laxiflora (Betulaceae) population density

  • Katori, Takuro;Nakashizuka, Tohr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1호
    • /
    • pp.39-45
    • /
    • 2015
  • In this study, the dependence of local conspecific abundance on seed set and predation was examined, and determinates of population density of the temperate tree species Carpinus laxiflora (Betulaceae) in Inagi city, Tokyo, Japan were identified. During a good seed year (2013), seeds were sampled from 27 individuals and categorized as Sound, Empty, Predated, Immature, Decayed, or Broken. Empty seeds were identified as those that failed to fertilize and predation rates were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seeds that were affected by predators. The proportion of the seed set that was fertilized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cal abundance of conspecific trees, while the proportion of seeds that escaped predat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local abundance of conspecific trees. Thereby, the production of Sound seeds was highest at sites with moderate local conspecific abundance. Although this phenomenon was only observed in a few cases, it clearly showed optimal reproductive success under conditions of moderate density of conspecific reproductive adults, suggesting a mechanism that controls the population density of this species.

Analysis of Cone and Seed Characteristics from Different Mating Design Strategies of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 Lee, Kyungmi;Lee, Hyunseok;Kang, Jun-W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309-314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nhance seed productivity and secure genetic resources for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ne and seed generated by control pollination between Pinus densiflora (PD) and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PDM). The highest number of cone scales (63.0) was obtained from the self-pollinated (sp) PDM clone B (PDM-sp-B), whereas the lowest number of cone scales (44.7) was obtained from two combinations designated as PDM-A×PD-075 and PDM-A×PD-0111. Both female parents of the hybrids were PDM-A. The highest seed production capacity (80.8) was obtained from the open-pollinated (op) PDM clone B (PDM-op-B). The seed potentials of PDM-B×PD-0111, PDM-op-A, and PDM-sp-B were 67.4, 66.5, and 63.1, respectively. The highest number of fertile scales (41.5) was obtained from PDM-op-B, and the lowest number of fertile scales (28.8) was obtained from PDM-A×PD-075. The total number of aborted ovules and 1st aborted ovu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ating design. The cross combination of PDM-B×PD-0111 had the highest number (34.8) of filled seeds and the lowest number of 2nd aborted ovules (5.2) and empty seeds (9). PDM-op-B had the highest number of developed seeds (47.6), although the number of empty seeds was the highest (41.2).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mating design of PDM-B×PD-0111 is useful for future breeding programs to improve seed yield of PDM.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following two parameter pairs: number of scales and number of fertile scales, and the number of fertility scales and seeds potential (r=0.89 and r=0.84, respectively; both p<0.01).

중왕산 천연활엽수림에서 고로쇠나무 낙하종자량 및 종자활력의 연년변이 연구 (A Study on the Interannual Variation of Seedfall and Seed Viability of Acer pictum subsp. mono in Natural Broadleaved Forests at Mt. Jungwang)

  • 김회진;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3-507
    • /
    • 2015
  • 고로쇠나무의 낙하종자량과 종자활력의 연년변이와 그 원인을 밝혀보고자, 평창군 소재의 중왕산 천연활엽수림에서 종자트랩을 설치하여 낙하종자량과, 낙하종자의 활력을 6년(2009~2014)간 조사하였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의 낙하종자량은 각각 55,700, 4,060, 60,900, 45,670, 403,450 ea/ha였으며, 2014년에는 310ea/ha로 평년에 비하여 매우 적은 양이었다. 2013년은 고로쇠나무 종자풍년(masting year)이었다고 판단된다. 종자활력 간 낙하종자량은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가장 많은 낙하종자는 피해 또는 부후된 종자이며 평균 47.88%였고, 다음으로 쭉정이 종자, 미발육 종자, 건전종자 순으로 낮아졌다. 건전종자는 6.7~31.0% 범위, 평균은 16.74%로 가장 낮았다. 종자풍년인 2013년에 건전종자는 평년(320~17,840ea/ha)보다 월등히 많은 125,070ea/ha이 숲바닥에 떨어졌다. 한편 피해 또는 부후종자의 비율이 38%로 가장 낮았으나, 종자립수는 153,310립/ha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종자풍년에 천연갱신을 위한 충분한 건전종자가 공급됨을 암시하고, 포식자물림 가설(seed predator satiation hypothesis)을 지지한다고 사료된다. 연구가 미흡한 활엽수종의 종자생산에 대한 장기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콩 생식생장단계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흡즙에 의한 콩 종실 피해 (Soybean Seed Injury by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at Reproductive Stage of Soybean (Glycine max Linnaeus))

  • 정진교;윤종탁;임대준;박종호;김욱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99-306
    • /
    • 2005
  • 콩 생식생장 단계별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접종하거나, 침으로 꼬투리를 치르는 인위적 가해를 통해 콩 종자 피해를 조사하였다. 착협기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리재 성충을 섭식시켰을 때, 빈 꼬투리와 종자로 전혀 발육하지 못한 판형종자의 생성비율이 종실비대성기에서의 가해보다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종실비대성기에 섭식시켰을 때는 종자모양은 거의 정상적이나 종피에 피해흔적이 뚜렷한 종자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종자모양이 많이 변형되거나 불완전하게 성숙한 기형종자의 비율은 처리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다른 종자형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착협시 피해에서 생성된 판 종자의 83%, 종실비대성기에 생성된 피해흔적이 있는 종자의 91%에서 종자 표면 위에 실험곤충의 빨대피막이 관찰되었다. 개화기 섭식은 피해종자 생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았다. 종실비대성기와 성숙기에 침을 이용하여 콩 꼬투리를 찔러 물리적인 가해를 하였을 때, 수확기에 건전한 종자들을 발견할 수 없었고, 피해gms적이 있는 종자의 비율이 기형종자 보다 많았다. 종실비대성기에 침으로 찌른 회수가 많은 경우 판형종자와 기형종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피해흔적 종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는데 무게감소 비율은 적게 찌른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켰다. 그러나 성숙기 인위적 가해에서는 수확종자의 무게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Variation in Seed and Cone Characteristics of Loblolly Pine (Pinus taeda L.) Families in Southern Part of Korea

  • Lee, Hyunseok;Lim, Hyemin;Lee, Wiyoung;Jang, Kyunghwan;Kang, Junw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82-86
    • /
    • 2018
  • Loblolly pine (Pinus taeda L.)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United States and it has been used as a major economic species in the region due to its excellent growth and stem straightness. The tree also grows only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because it is susceptible to cold. Recently climate changes have had widespread impacts on forest trees. Thus, the use of good quality seeds is prerequisite for assessing assisted migration adaptation trial. In this study, we conducted to investigate its cone and seed characteristics of each family, which is expected to improve seeds productivity for planting valuable timber trees. A total of 14 families were selected from the experimental forest in Boseong, Jeonnam province in 1981. The seed production capacity was estimated to range from 87.2 to 129.4 among families and the average was 111.3. The number of aborted ovules was investigated in the range of 11.4 to 29.5 for the first test and 7.4 to 22.2 for the second test. The average number of empty and filled seeds was 1.4 and 79.2 per cone,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ertile scale and the seed production ability.

벼종자수반진균의 검정 및 종자발아에 따른 깨씨무늬병균의 전염경로 (Detecting Seed-Borne Fungi of Rice and Transmission of Helminthosporium oruzae in Germinating Seed)

  • 이창은;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9-126
    • /
    • 1979
  • 깨씨무늬병에 심하게 이병된 병팔굉 공시종자는 배양 $5\~7$일에 호영, 내외영 및 주병의 $86\~92\%$ 그리고 과피의 $74\~83\%$가 Helminthosporium oryzae에 감염 되어 있음을 보였다. 동균은 종립전면에 분생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배유의 약10여세포층까지 감염되어 있었으나 배조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usarium moniliforme는 과피, 경유 및 배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F. roseum, Trichoconis padwicku, Curvularia spp.,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oides 및 Phoma sp.는$ 3\%$ 이하의 영 및 과피에서 검출되었다. 배양일주일에 $60\~87\%$가 깨씨무늬 병징을 나타냈으며 $13\~40\%$는 외관상 건전하였다. 깨씨무늬병균은 감염된 종자의 제점으로부터 과피를 거쳐 시아및 유근에 전염 발병케 하였다.

  • PDF

나물용 콩 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변이 (Changes of Yield Components and Yield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

  • 김학신;김홍식;김경호;오영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84-592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콩나물 원료콩의 안정적 생산 공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 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당 협수, 공협수, 입수 및 100립중은 파종기 및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협당 입수별 협수의 분포비율은 $2{\sim}3$립 협이 $80.9{\sim}77.5%$이었으며 파종기에 따라 2립 협의 변이가 컸다. 2. 수량은 2년간 시험품종 평균 5월 25일 파종은 290 kg/10a, 6월 15일 파종은 269 kg/10a 및 7월 5일 파종은 221 kg/10a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풍산나물콩이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수량 감소 정도가 적었고 그 외 품종들은 파종기에 따른 수량의 감소 정도가 컸다. 3. 수량은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분지수, 줄기굵기,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수 및 개체당 엽면적과 정의 상관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개체당 입수,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개체당 입수는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정의 상관이었다.

섬강개갓냉이: 한국에서 발견된 개갓냉이속(배추과)의 1신종 (Rorippa apetala: A new species of Rorippa Scopoli. (Brassicaceae) from Korea)

  • 김윤영;지성진;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4-89
    • /
    • 2010
  • 개갓냉이속(배추과)의 신종인 섬강개갓냉이가 한국의 강원도 원주시 섬강에서 발견되어 기재하였다. 신종은 결실기 때 근경에 생기는 부정아, 일반적으로 무판화이거나 드물게 1-4개의 축소된 화판, 도제금형의 열매, 종자가 대부분 결실하지 않거나 드물게 실당 1-2개를 가짐으로써, 근연종인 속속이풀(R. palustris) 및 구슬갓냉이(R. globosa)와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 종들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강원도 중왕산 당단풍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 낙하량 및 종자활력 (Flowering, Fruiting, Seed Fall and Seed Viability of Acer pseudosieboldianum in Mt. Jungwang, Gangwondo)

  • 김회진;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42-47
    • /
    • 2016
  • 천연활엽수림의 천연갱신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당단풍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낙하, 종자활력을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하였다. 당단풍나무 꽃은 산방화서에 양성화와 웅성화가 달렸으며, 화서 내에서 성형태간 개화시기가 달랐다. 양성화가 먼저 개화하는 개체에서는 암술이 수분되어 자라기 시작한 꽃에서는 수술은 더 이상 성숙하지 않고 소실되었으며, 웅성화가 먼저 개화하는 수술이 발달한 꽃에는 암술은 흔적으로만 존재하였다. 다른 개체에서의 화분이 꿀벌, 애꽃벌류 및 꽃등에류에 의하여 수분이 이루어지는 이형자웅이숙(heterodichogamy)의 성 형태로 자가수분을 회피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었다. 종자 낙하량은 310~234,840 ea/ha의 범위로 평균은 70,780 ea/ha이었다. 종자생산에 있어 연년변동이 심하며, 최대치가 최소치의 760배 가량이었다. 당단풍나무의 연년종자생산은 정규분포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성숙한 종자 중에서 피해 또는 부후종자가 59.3%로 가장 많았고, 건전종자가 23.9%, 미발육 종자 9.2%, 쭉정이종자 7.6% 등으로 나타났다. 건전종자 생산량을 좌우하는 요인은 개화기인 5월 중,하순에 화분매개충의 활동과 어린 자방이 자라는 시기에 흡즙성 해충의 밀도와 활동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사료된다. 당단풍나무의 천연갱신은 종자풍년 이듬해에 발아와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낙엽활엽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개화결실 특성과 비산 전후 종자 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